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chool-Aged Children: Application of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2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IMB model),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chool-age children's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209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2023, to March 31, 2023, using a self-written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questions that measur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subjects was 104 (49.8%) for men and 105 (50.2%) for women, 77 (36.8%) for fifth grade and 132 (63.2%) for sixth grade. As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96 students (45.9%) were ‘healthy’, and academic performance was ‘good’ with 109 students (52.2%). As for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120 students (57.4%) answered ‘no’ and 89 students (42.6%) answered ‘yes’. As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65 students (31.1%) received the most information from ‘friends and family’, and 84 students (40.2%) expressed interest in health as ‘normal’. Regarding schoo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111 students (53.1%) answered ‘no’ and 98 students (46.9%) answered ‘yes’, and the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was ‘middle’ with 129 students (61.7%).

      Second, the average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29.35±4.22 points out of 42 points. The average score of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was 19.62±3.36 points out of 2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social support was 97.18±13.02 points out of 12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was 35.87±7.34 points out of 5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113.07±14.09 points out of 145 points.

      Third, in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t=2.546, p=.012), subjective health status (F=8.731, p<.001), academic performance (F=5.918, p=.003), interest in health (F=12.960, p<.001), schoo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2.848, p=.005) and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F=18.844, p<.001).

      Fourth,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696, p<.001),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r=.622, p<.001), self-efficacy (r=.561, p<.001), health literacy (r=.330, p<.001).

      Fif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chool-age children,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health were found. Social support (β=.419, p<.001)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Next,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β=.267, p<.001), self-efficacy (β=.134, p=.021), health literacy (β=.109, p=.025), and interest in health (β=.102, p=.043).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60.4% (F=32.677, p<.001).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consider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health in order to promote the practice of school-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Keywords: IMB model,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chool-Aged Children
      번역하기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IMB model),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chool-age children's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IMB model),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chool-age children's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209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2023, to March 31, 2023, using a self-written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questions that measur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subjects was 104 (49.8%) for men and 105 (50.2%) for women, 77 (36.8%) for fifth grade and 132 (63.2%) for sixth grade. As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96 students (45.9%) were ‘healthy’, and academic performance was ‘good’ with 109 students (52.2%). As for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120 students (57.4%) answered ‘no’ and 89 students (42.6%) answered ‘yes’. As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65 students (31.1%) received the most information from ‘friends and family’, and 84 students (40.2%) expressed interest in health as ‘normal’. Regarding schoo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111 students (53.1%) answered ‘no’ and 98 students (46.9%) answered ‘yes’, and the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was ‘middle’ with 129 students (61.7%).

      Second, the average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29.35±4.22 points out of 42 points. The average score of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was 19.62±3.36 points out of 2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social support was 97.18±13.02 points out of 12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was 35.87±7.34 points out of 5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113.07±14.09 points out of 145 points.

      Third, in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t=2.546, p=.012), subjective health status (F=8.731, p<.001), academic performance (F=5.918, p=.003), interest in health (F=12.960, p<.001), schoo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2.848, p=.005) and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F=18.844, p<.001).

      Fourth,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696, p<.001),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r=.622, p<.001), self-efficacy (r=.561, p<.001), health literacy (r=.330, p<.001).

      Fif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chool-age children,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health were found. Social support (β=.419, p<.001)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Next,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β=.267, p<.001), self-efficacy (β=.134, p=.021), health literacy (β=.109, p=.025), and interest in health (β=.102, p=.043).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60.4% (F=32.677, p<.001).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consider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health in order to promote the practice of school-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Keywords: IMB model,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Literacy,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chool-Aged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IMB model)을 기반으로 학령기 아동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09명을 편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3년 3월 13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 목적 및 변수의 특성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104명(49.8%), 여자가 105명(50.2%)이었고, 학년은 5학년 77명(36.8%), 6학년 132명(63.2%)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96명(45.9%)으로 가장 많았고, 학업성적은 ‘좋은 편이다’가 109명(52.2%)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입원경험은 ‘없다’가 120명(57.4%), ‘있다’가 89명(42.6%)이었다. 건강과 관련된 정보는 주로 ‘친구, 가족 등 주변 사람들’에게서 얻는 경우가 65명(31.1%)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이다’가 84명(40.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교 보건교육 경험 유무는 ‘없다’가 111명(53.1%), ‘있다’가 98명(46.9%)이었고, 주관적 가정 경제상태는 ‘중’이 129명(61.7%)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평균은 42점 만점을 기준으로, 29.35±4.22점이었다.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의 평균은 25점 만점을 기준으로, 19.62±3.36점이었다.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120점 만점을 기준으로, 97.18±13.02점이었다.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50점 만점을 기준으로, 35.87±7.34점이었다.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145점 만점을 기준으로, 113.07±14.09점이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년(t=2.546, p=.012), 주관적 건강상태(F=8.731, p<.001), 학업성적(F=5.918, p=.003), 건강에 대한 관심도(F=12.960, p<.001), 학교 보건교육 경험 유무(t=2.848, p=.005), 주관적 가정 경제상태(F=18.84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증진행위는 사회적 지지(r=.696, p<.001),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r=.622, p<.001), 자기효능감(r=.561, p<.001), 건강정보이해능력(r=.330, p<.001) 순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419, p<.00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β=.267, p<.001), 자기효능감(β=.134, p=.021), 건강정보이해능력(β=.109, p=.025), 건강에 대한 관심도(β=.102, p=.043)의 순서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의 설명력은 60.4%로 나타났다(F=32.677, p<.001).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고려한 보건교육과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IMB model)을 기반으로 학령기 아동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IMB model)을 기반으로 학령기 아동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09명을 편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3년 3월 13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 목적 및 변수의 특성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104명(49.8%), 여자가 105명(50.2%)이었고, 학년은 5학년 77명(36.8%), 6학년 132명(63.2%)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96명(45.9%)으로 가장 많았고, 학업성적은 ‘좋은 편이다’가 109명(52.2%)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입원경험은 ‘없다’가 120명(57.4%), ‘있다’가 89명(42.6%)이었다. 건강과 관련된 정보는 주로 ‘친구, 가족 등 주변 사람들’에게서 얻는 경우가 65명(31.1%)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이다’가 84명(40.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교 보건교육 경험 유무는 ‘없다’가 111명(53.1%), ‘있다’가 98명(46.9%)이었고, 주관적 가정 경제상태는 ‘중’이 129명(61.7%)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평균은 42점 만점을 기준으로, 29.35±4.22점이었다.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의 평균은 25점 만점을 기준으로, 19.62±3.36점이었다.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120점 만점을 기준으로, 97.18±13.02점이었다.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50점 만점을 기준으로, 35.87±7.34점이었다.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145점 만점을 기준으로, 113.07±14.09점이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년(t=2.546, p=.012), 주관적 건강상태(F=8.731, p<.001), 학업성적(F=5.918, p=.003), 건강에 대한 관심도(F=12.960, p<.001), 학교 보건교육 경험 유무(t=2.848, p=.005), 주관적 가정 경제상태(F=18.84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증진행위는 사회적 지지(r=.696, p<.001),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r=.622, p<.001), 자기효능감(r=.561, p<.001), 건강정보이해능력(r=.330, p<.001) 순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419, p<.00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β=.267, p<.001), 자기효능감(β=.134, p=.021), 건강정보이해능력(β=.109, p=.025), 건강에 대한 관심도(β=.102, p=.043)의 순서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의 설명력은 60.4%로 나타났다(F=32.677, p<.001).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고려한 보건교육과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 고찰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 고찰 7
      • 1. 정보-동기-행동기술 모델 7
      • 2. 건강정보이해능력 12
      • 3.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16
      • 4. 사회적 지지 19
      • 5. 자기효능감 22
      • 6.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24
      •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29
      • Ⅳ. 연구 방법 31
      • 1. 연구 설계 31
      • 2. 연구 대상 31
      • 3. 연구 도구 31
      • 4. 자료 수집 및 윤리적 고려 36
      • 5. 자료 분석 36
      • 6. 연구의 제한점 37
      • Ⅴ. 연구 결과 38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8
      • 2.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40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41
      • 4.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행위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 43
      • 5.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5
      • Ⅵ. 논의 47
      • Ⅶ. 결론 및 제언 55
      • 1. 요약 및 결론 55
      • 2. 제언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