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동초제 판소리 <심청가>를 중심으로 강산제 <심청가>와 그 음악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동초제 <심청가>는 김연수가 직접 작창하거나 다른 창본에서 수용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03613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2013
한국어
경기도
(A) Study on Musical Characteristic Aspects of Dongchoje <Simchungga>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Gangsanje
x,139 p.: 삽도; 30 cm.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윤명원
참고문헌 : p.97-10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초제 판소리 <심청가>를 중심으로 강산제 <심청가>와 그 음악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동초제 <심청가>는 김연수가 직접 작창하거나 다른 창본에서 수용한 ...
본 논문은 동초제 판소리 <심청가>를 중심으로 강산제 <심청가>와 그 음악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동초제 <심청가>는 김연수가 직접 작창하거나 다른 창본에서 수용한 대목이 존재하고, 창극적인 특성이 적절히 어우러져 독특한 판소리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동초제 <심청가>의 음악적 특성을 입증하기 위해 장단별로 주요대목을 선정하여 사설과 장단, 그리고 선율과 시김새를 기준으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대목별로 김수연이 부른 강산제 <심청가>와 비교하였다.
연구범위는 심청가 중에서도 장단형이 각기 다른 ‘추월만정’ 대목, ‘방아타령’ 대목, ‘안씨 부인과 심봉사 화촉 밝히는’ 대목, ‘만좌 맹인 눈을 뜬다’ 대목에 한정하였다. 동초제의 사설 형성과정이나 선율형의 분석은 다른 류의 소리 중에서도 강산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변별점과 유사점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동초제 <심청가>의 특성을 드러내도록 하였다. 또한 ‘안씨부인과 심봉사 화촉 밝히는’ 대목과 ‘만좌맹인 눈을 뜬다’ 대목의 분석을 통해서는 다른 창본의 수용 과정이나 양상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월만정’ 대목의 음악적 특성
이 대목에서는 사설의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심청이 품고 있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을 잘 표현하고 있는 사설은 강산제에 비해 더더욱 길게 확대되거나 또는 새로운 사설이 첨가되었다. 이러한 배경은 김연수 자신이 한학을 수학한 것과 깊은 관련이 있어서 기존의 사설 위에 직접 창작한 사설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동초제는 40장단, 강산제는 29장단이어서 동초제의 구성이 길게 확대되었으며 음절수도 많다. 장단형은 대마디 대장단이 기본 장단으로 짜여 있으며 엇붙임의 형태도 나타난다.
선율형의 분석에서는 동초제와 강산제 모두 계면조로 이루어져 있고, 선율의 주요 골격음은 B♭, e♭, f, g♭, a♭, b♭이다. 중심음을 기준으로 4도 아래의 음을 굵게 떨어주거나 2도 위 음을 꺾는 등 계면조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강산제에 비해 동음(同音)반복형 선율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한 음을 길게 지속시키되 시김새로 처리하는 표현법이 나타난다.
창법에 있어서도 동초제는 심황후의 서글픈 느낌을 애절하게 강조하는 부분이나 기러기의 울음소리를 높은 음역으로 구슬프게 표현하는 대목에서 꺾는 목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강산제에 비해 한 음을 길게 지속시키는 창법으로 슬픈 감정을 효과적으로 강화하는 극적인 표현이 특징이라 하겠다.
둘째, ‘방아타령’ 대목의 음악적 특성
‘방아타령’ 대목의 사설 역시 동초제와 강산제가 서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자어의 사용에서 ‘귀목이소’를 ‘구목위소(求木爲巢)’라고 표현하는 등 발음의 정확을 기하고 있다. 또한 방아의 종류를 표현함에 있어서도 강산제의 3종에 비해 동초제는 6종으로 확대하고 있다.
장단구성을 보면 동초제가 전체 81장단, 강산제는 전체 70장단이다. 구성이 확대되었으며, 강산제의 중중모리 46장단을 동초제에서는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로 변화를 주고 있는 점 또한 다르다. 장단형에 있어서도 대마디 대장단 이외에도 잉어걸이, 완자걸이, 당겨붙임과 같은 다양한 장단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선율은 계면조의 선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강산제는 중간 중간에 우조의 구성음들이 계면조의 선율진행에 섞여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동초제는 사설의 지루함을 피하고자 선율적 변화를 주었는데 리듬 분할과 함께 시김새를 넣어 화려하게 표현하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이처럼 우조적 성격을 띤 가락들이 포함되어 있는 강산제의 다채로운 선율진행에 비해, 동초제는 계면조적인 선율진행이 주를 이루어 극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셋째, ‘안씨 부인과 심봉사 화촉 밝히는’ 대목의 음악적 특성
이 대목은 ‘꿈 해몽’ 부분에서 양 제가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동초제의 경우 한자어를 쉽게 풀어 쓰고 있다. 강산제에는 없는 동초제의 심봉사의 탄식 부분은 김연수의 창작이 아니라 이해조의 『강상련』에서 차용해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산제가 중모리 15장단의 구성인 반면, 동초제는 자진모리 32, 중모리 28, 중중모리 16장단 등으로 다채롭게 확대되었으며 대마디대장단이 중심되고 부분적으로는 잉어걸이나 당겨붙임과 같은 형태가 나타난다.
동초제의 선율구조는 초반부분(1~8장단)은 동음반복이 강조되며 평이한 선율형으로 이어진다. 장면을 설명하는데 있어 아니리보다는 소리가 적합하다는 김연수의 생각이 반영된 부분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강산제의 아니리 부분을 동초제에는 장단을 붙이고 있는데, 이 또한 사설의 절박하고 격한 느낌을 이면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이 대목의 선율형 비교는 양 제가 다른 가사를 노래하고 있으며 장단도 달라 비교가 불가하다. 동일한 사설을 부르는 부분은 “간밤에 꿈을 꾸니 일월이 떨어져서 물에가 잠긴 것을” 까지의 3장단뿐인데, 이 역시 장단도 다르고 선율형도 달라 다른 진행이라 하겠다.
출현음의 비교는 강산제가 7음인데 비해 동초제가 12개 음이 출현하고 있어 보다 다채로운 선율진행을 보여주고 있으며, 음을 첨가하여 슬픔을 강조하기 위해 기존의 평조를 계면조로 변화시키는 등 다채로운 선율진행을 구사한다. 빠른 장단으로 부르는 대목이어서 시김새의 활용은 다양하지 않은 편이다.
넷째, ‘만좌 맹인 눈을 뜬다’ 대목의 음악적 특성
이 대목의 동초제 사설 내용은 강산제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사설을 장단에 안배하는 모양새는 차이가 있다. 동초제는 자진모리와 휘모리를 혼용하고, 강산제는 자진모리 장단으로 진행되나 장단 형태는 대마디 대장단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장단의 붙임이 자유스럽게 잉어걸이나 엇붙임의 형태가 자주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이다.
선율구조에 있어서 도섭(唱調) 부분으로 처리하는 세 부분의 사설은 유사하나, 선율은 다르다. 길게 늘어뜨리는 강산제에 비해 동초제에서는 동음을 반복하며 일자일음(一字一音)식 진행을 하고 있는 것이 독특하다.
양 제의 선율형에서 최저음은 같으나 최고음은 동초제가 3도가량 높다. 다채로운 선율진행을 위해 전반적인 음역을 약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출현음은 B♭, e♭, f, g♭, a♭, b♭, e♭’이어서 평조의 구성음과도 유사하나 빈도수가 높은 음은 e♭, a♭, b♭ 등이어서 계면조의 성격이 진하다.
양 제가 동일내지 유사사설을 부르는 장단은 도섭을 제외하면 19장단인데, 그 중 8장단은 선율형이 서로 다르게 진행된다. 빠른 장단으로 불러나가기 때문에 시김새의 활용도 두드러지지 않다.
결론적으로 동초제 <심청가> 사설은 기존의 것보다 확대되었는데, 부분적으로 기존의 신재효 창본이나 이해조의 강상련을 인용하거나 발췌한 내용들이라는 점, 사설과 함께 장단형도 다양한 형태로 전개시켰다는 점, 그리고 선율의 진행이나 시김새의 활용이 보다 극적으로 전개되었다는 점 등이 특징이라 하겠다.
이처럼 김연수 자신에 의해 사설의 확대, 장단의 변화형 구성, 선율과 시김새의 다양한 활용, 이야기의 전개나 작중 인물의 대화를 재구성하여 판소리의 연극성을 보다 강화시켰다. 그의 폭넓은 사설 수용과 창작, 그리고 음악적 적용은 판소리를 기본으로 하는 창극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업적이며 창극의 극적 흥미를 고조시킨 근원이 된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ngsanje <Shimchungga>, focusing on pansori <Shimchungga>. Dongchoje <Shimchungga> has parts that Kim, Yeon-su created sounds or were accepted from other Changbon's and sh...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ngsanje <Shimchungga>, focusing on pansori <Shimchungga>. Dongchoje <Shimchungga> has parts that Kim, Yeon-su created sounds or were accepted from other Changbon's and shows a distinctive world of pansori by properl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opera.
In order to verify musical characteristics of Dongchoje <Shimchungga> in this thesis, major parts were selected for each rhythm, discussion was conducted based on words and rhythm and melody and Shighimse, and each part was compared with <Shimchungga> sung by Kim, Su-yeon.
Considering the rang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limited to parts including 'Tsuwolmanjeong' that had different Jangdans, 'Bang-a taryeong', 'wedding of Mrs. Ahn and Blind Shim', and 'the scene that a blind person opened the eyes.'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creating words or analysis on melody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Dongchoje <Shimchungga> were considered to become distinctive by examining distinctive features and similar points,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Gangsanje among other types of songs. In addition, through the parts of 'wedding of Mrs. Ahn and Blind Shim', and 'the scene that a blind person opened the ey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accepting other songs and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een below.
First, the differences in words were obvious in the part of 'Tsuwolmanjeong.'
The words that well express Shimchung's longing for her father were more expanded or added with new words than Gangsanje. As such backgrounds are deeply related to the fact that Kim, Yeonsu learned Chinese classics, it seems that creative words were added in previous words. While Dongchoje has 40 Jangdans and Gangsanje has 29 Jangdans, the composition of Dongchoje was expanded and has more words. The style of rhythms is basically Dae Jangdan and enjambement types are observed.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n melody types, both Dongchoje and Gangsanje have Kyemyeonjo and the major tones of the melody are B♭, e♭, f, g♭, a♭, and b.♭ They well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Kyemyeonjo such as dropping a tone below four-line octave or swerving a tone up on two-line octave and etc. The melody that repeats the same tone appears more than Gangsanje and although a single tone tends to be expanded, the expression method that applies Shighimse is seen.
In singing methods, Dongchoje open uses a swerving method in parts that sorrowfully emphasize touching feelings of Empress Shim or express the crying sound of wild gooses with high tones. Especially, it seems to be a characteristics of dramatic expression that reinforces sorrow feeling effectively by lasting a single tone in comparison with Gangsanje.
Second, also a part of words in 'Bang-a taryeong (miller's songs) show a huge difference between Dongchoje and Gangsanje.
Especially, it considers a correct pronunciation such as expressing 'Gwimokiso' to 'Gumokwiso' in the usage of Chinese. In addition, considering to express the kinds of mills, Dongchoje uses 6 kinds while Gangsanje applies 3 kinds.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Jangdan, both of them are expanded while Dongchoje consists of 81 Jangdans and Gangsanje has 70 Jangdan and it is different that 46 Jangdans of Gangsanje's jungjungmori were changed to Jungjungmori, Jajinmori, and jakeunmori in Dongchoje. In addition, various styles of Jangdans such as Ingeoguli, Wanjaguli. Danggyebukim and etc. were observed except Daemadidajangdan.
While the melody method of Gyemyeonjo was applied in melody, it is distinctive that the structural tones of Wujo are seen in the melody progress of Gangsanje. Especially, while Dongchoje has melodical changes to avoid the boredom of the words in Dongchoje, splendid expression stands out by dividing rhythms and adding Shighimse.
Thus, unlike various melody progress in Gangsanje that includes melodies with a sorrow feeling, Dongchoje shows dramatic effects by mainly applying the melody progress of Gyemyeonjo.
Third, the part that express 'the wedding with Mrs. Ahn and Blind Shim' shows a huge difference in 'dream interpretation' in jega.
Dongchoje expresses Chinese easily. It is confirmed that the part of Blind Shim's sigh in Dongchoje, not in Gangsanje is borrowed from Lee, Hae-jo's 『Gangsangryen』, not created by Kim,Yeon-su.
While Gangsanje is composed of Jungmori 15 Jangdan, Dongchoje is expanded to Jajinmori 32, Jungmori 28, Jungjungmori 16 jandan, Daemadidaejangdan is maily focused and the types of Ingeoguli, Danggyebukim and etc. are observed.
The melody composition of Dongchoje emphasizes the same tone in the beginning part (1-8 Jangdan) and goes on with simple melody lines. Kim, Yeon-su's thought that sound is suitable to express scenes than Aniri is seemed to be reflected.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desperate and fierce feelings of words are applied to the other side. It is impossible to compare the melody comparison in this part since both Jegas sing other lyrics and have different Jandans. While only 3 Jangdans "Dreaming last night, the Sun and Moon took apart and were sunk into water" are the same, it is considered different progresses due to different Jangdans and melody styles.
With regard to the comparison with appearing tones, Dongchoje shows various melody progresses while Gangsanje has 7 tones, 12 tones appear in Dongchoje and applies a variety of melody progresses such as adding tones and changing Pyeongjo to Gyemyeonjo in order to emphasize. Shighimse is not variously applied due to the fast Jangdan.
Fourth, the content of words in the part 'a blind person opens the eyes' is as same as Gangsanje. However, the figure that arranges words into Jangdan is different. Dongchoje uses Jajinmori mixed with Hwimori, Gangsanje progresses Jajinmori Jangdan while focusing on Daemadi Daejandan in the types of Jangdan, and it is distinctive that Ingeoguli or Eokbukim types appear frequently in adding Jangdan.
While three parts that apply Doseob parts in the melody composition are similar, melodies are different. It is distinctive that Dongchoje repeats the same tone and applies one tone to one word while Gangsanje expands tones.
In the melody types in both Jes, the bass tone is the same but the highest tone in Dongchoje has 3 line octave high. It seems to expand the range of tones to create various melody progresses. As appearing tones are B♭, e♭, f, g♭, a♭, b♭, and e♭′ it seems similar to the structural tones of Pyeongjo; however, it is close to Gyemyeonjo while high tones of e♭, a♭, and b♭ frequently appear.
Since there are 19 Jangdans except Doseob that both Jegas sing similar or the same words, the melody progresses of 8 Jangdans are different. Shighimse is not well applied due to the fast Gangdan.
Finally, as the words in Dongchoje <Shimchungga> are expanded, it is distinctive that they are partically quoted or extracted from Shin, Jae-hyo's changbon or Lee, Hae-jo's gangsangryen, along with words, Jangdan styles are variously progressed, and the melody progress or the application of Shighimse is more dramatically progressed.
Like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atricality is more reinforced by expanding words, composing various types of Jangdan, a variety of application of melodies and Shighimse, story telling or reconstructing the conversation of characters,
It is a very important achievement that he accepted various words and creative works and musical application for Korean traditional opera that is based on pansori and it is considered to increase dramatic interests in Korean traditional oper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