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학습에서 학생은 학습의 주체이며, 역사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는 의미구성자이다. 이를 위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역사 학습을 이끌어 나아가고, 역사를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7129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초등사회과교육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372.83 판사항(22)
충청북도
ⅷ, 169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봉석
참고문헌 : p.150-16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역사 학습에서 학생은 학습의 주체이며, 역사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는 의미구성자이다. 이를 위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역사 학습을 이끌어 나아가고, 역사를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는 ...
역사 학습에서 학생은 학습의 주체이며, 역사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는 의미구성자이다. 이를 위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역사 학습을 이끌어 나아가고, 역사를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최근 학생의 흥미와 상상을 불러일으키고, 지식 구성을 촉진하는 이미지를 활용한 역사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비주얼씽킹’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비주얼씽킹은 수업현장을 중심으로 활용에만 초점을 두고 연구되고 있으며,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체계화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씽킹의 연구 영역을 학문적 논의로 확장시켜야 할 필요에 따라 지식구성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서 비주얼씽킹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논의를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즉, 지식구성을 위한 비주얼씽킹에 대한 개념, 성격 등을 정의하여 이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역사수업에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주얼씽킹을 적용한 교수·학습 절차 및 활동을 구안하고 수업을 전개한 뒤,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지식구성을 위한 역사수업은 학생이 사고 과정을 통해 수업 내용을 체계적,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내면화한 내용을 역사와 학습자의 삶을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이해·활동이 이루어지며, 나의 역사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주얼씽킹을 ‘학습 내용에 대한 정보와 학생 본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생각을 핸드드로잉(hand-drawing) 이미지와 글 등으로 체계화·조직화하여 지식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비주얼씽킹의 과정을 시각화 과정으로 보고 ‘내적 이해 과정(정보 조직화)’과 ‘외적 표현 과정(정보 시각화)’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비주얼씽킹과 유사한 시각화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시각적 맵핑, 시각적 형태, 시각화 목적 대상을 준거로 하여 비주얼씽킹의 지식구성적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통해 표현 원리를 추출하였다.
역사학습에서 비주얼씽킹의 교육적 가능성은 지식구성에 방향을 두고, 논의하였다. 지식의 시각화로서의 비주얼씽킹 과정에서 학습자는 시각적·역사적 사고를 통해 편집 주체로서 자신의 관점을 시각적 형태, 시각적 맵핑으로 드러낼 수 있다.
지식구성을 위한 비주얼씽킹 적용은 실행연구로 이루어졌으며, 계획수립, 실행, 결과 고찰 단계로 진행하였다.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문헌 연구 및 예비 연구 수업 등을 토대로 실행 단계 및 수업 과정을 구안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총 20차시 수업을 하였다. 결과 고찰 단계에서는 얻어진 효과 및 문제점을 토대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비주얼씽킹 활용은 역사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및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사고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하였으며, 소통과 과정 중심의 역사수업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수업 활용에 관한 보완점으로 지식 구성을 수업의 방향으로 설정, 활동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설계, 간략화로 인한 지식의 공백을 매우기 위한 설명하기 활동, 비교육적 요소 및 오개념에 대한 지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주얼씽킹의 이론적·학문적 논의와 설계·실행에 관한 연구로서 초등역사수업에서 학생이 자신의 역사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