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이 지각하는 체험활동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적 영향력 및 공동체 의식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374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박사]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 조직신학 전공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 of Activities Satisf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chool Adaptation: Longitudinal Influence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nd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Spirit

      • 형태사항

        ix, 142 p.: 차트; 26cm

      • 일반주기명

        국문 및 영문 초록 수록
        총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손병덕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4-20000022301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al assets model of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eory, and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al assets model of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eor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between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Studies so far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have been mostly conducted in cross-sectional studies, so there has been a limit that cannot explain the change in School Adaptation that covers the entire adolescenc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endency over time and changes in adaptation through longitudinal data, since School Adaptation is not a one-time occurrence at any point in adolescence, but a continuous and developmental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longitudinal analyses with 6 years' panel data of 1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from Korea Children & Young Panel Survey using STATA 15.0 program which is a statistical package. In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t first to determine general trends of main variables over time, and how they were related. Next, Latent Growth Modeling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each variable and to verify an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impact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s a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utilized to identify how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each variable affects each other variable's. Finally,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in a relationship where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ffected School Adapt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were found to increase gradually as the grade of students went up, and they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Each variable showed a steady increase with time and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econ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showed linearly increasing developmental trajectory over time,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The linear change model was the most suitable among no change, linear change, and quadratic change model, the variance estimates of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level and change rate. Thir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precedently affect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Community Spirit precedently affect School Adaptation. The result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confirmed the direction of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variables. Fourth,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of each variable affect those of other variables depending on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with time. The initial valu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e change rat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Adaptation.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Adaptation. Fifth, it emerged that there was the mediation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where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ffected School Adaptation. The initial valu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change rat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lso affected the change rate of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analyzes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eory which focuses on the Developmental assets that promote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with being away from the focus of the existing pathological and negative factors of School Adaptation, so that it adopte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as factors that affect School Adaptation, and that it verifies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m. Also,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the purpose of improving School Adaptation can be maximized when pursuing to foster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to enhancing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that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experience activities should not only take into account School Adaptation but also develop Sense of Community whil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activation and practice direction of youth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Sense of Community. In further studies, longitudinal researches on School Adaptation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chool Adapt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with more diverse approaches and various methodologies. While it is important that various studies for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are actively carried out, efforts should be also made so that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se studies lead to actual policy reflection and produce effectiv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청소년발달(Positive Youth Development) 이론의 발달자산(Developmental assets) 모형에 근거하여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체험...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청소년발달(Positive Youth Development) 이론의 발달자산(Developmental assets) 모형에 근거하여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체험활동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동안 청소년 학교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횡단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중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청소년기 전반을 아우르는 학교적응에 관한 변화관계를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학교적응은 연속적이며 발달적인 개념으로 학교적응이 청소년기의 어느 한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단적인 자료를 통해 시간에 따른 변화경향 및 영향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ren & Young Panel Survey) 중 중학교 1학년부터 6차 연도의 반복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패키지 STATA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요 변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일반적 경향을 나타내고 변수 사이에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각 변수의 발달궤적을 파악하고 변화의 개인차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해 변수들 사이에 영향관계의 방향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모형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각 변수들의 발달궤적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활동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매개역할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 변수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서로 간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각 변수들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발달궤적을 보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변화, 선형변화, 2차변화 모형 중에서 선형변화 모형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각각 초기치와 변화율의 분산 추정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해 초기 수준과 변화 속도에 개인차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체험활동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에 선행하고,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선행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결과를 통해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주요 변수들 사이에 종단적 인과관계의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각 변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시간에 따른 종단적 인과관계에 따라 다른 변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활동 만족도의 초기치는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 학교적응 초기치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도의 변화율은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는 학교적응 초기치에 정(+)적인 영향을, 학교적응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은 학교적응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활동 만족도의 초기치가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를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 초기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체험활동 만족도의 변화율이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교적응에 대해 기존의 병리적이고 부정적인 요인 위주의 연구 초점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적응 및 성장을 촉진하는 발달자산에 중점을 둔 긍정적 청소년발달(PYD) 이론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을 채택하여 이들 사이의 종단적 관계성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도 증진과 더불어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추구할 때 학교적응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과, 체험활동의 내용 및 구성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고려함 동시에 그 안에서 공동체 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가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한 청소년 체험활동의 활성화와 실천방향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적응에 대한 종단연구가 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다각적인 접근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학교적응과 그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들에서 제시하는 내용이 실제적인 청소년 정책 반영이라는 실효성 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4. 연구의 의의 및 한계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4. 연구의 의의 및 한계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긍정적 청소년 발달(PYD) 이론과 학교적응 10
      • 1) 긍정적 청소년 발달 이론 10
      • 2) 긍정적 청소년발달 이론과 학교적응의 관계 15
      • 3) 발달자산 모형 16
      • 4) 발달자산 모형과 학교적응 18
      • 2. 주요변수 22
      • 1)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 22
      • 2) 공동체 의식 29
      • 3) 학교적응 34
      • 3. 주요 변수들의 관계 41
      • 1)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관계 41
      • 2)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공동체 의식의 관계 43
      • 3)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의 관계 44
      • 4)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의 관계 45
      • Ⅲ. 연구모형 및 가설 47
      • 1. 연구모형 47
      • 2. 연구가설 49
      • Ⅳ. 연구방법 52
      • 1.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52
      • 2. 주요변수의 측정 53
      • 1)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 54
      • 2) 공동체 의식 55
      • 3) 학교적응 56
      • 3. 분석방법 58
      • 1) 종단적 매개모형 활용 분석 58
      • 2) 분석절차 63
      • Ⅴ. 연구결과 65
      •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65
      • 1) 기술통계 결과 65
      • 2) 변수 간 상관관계 67
      • 2.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69
      • 1)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 69
      • 2) 공동체 의식 73
      • 3) 학교적응 77
      • 3.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 결과 81
      • 1) 체험활동 만족도와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인과관계 81
      • 2)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 83
      • 3)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 85
      • 4)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86
      • 4.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91
      • 1)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91
      • 2) 연구모형의 가설 검증 95
      • V. 결론 99
      •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99
      • 2. 연구의 함의 103
      • 1) 이론적 함의 103
      • 2) 실천적 함의 104
      • 3. 제언 108
      • 참고문헌 110
      • ABSTRACT 14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교육부, "2018년 교육기본통계.", 2018년 교육기본통계, 2018

      2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령 제135호", 별지 제3호서식, 2019

      3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5

      4 여성가족부,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2017

      5 관계부처합동,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2018

      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2016

      7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8년도 청소년활동 참여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8년도 청소년활동 참여실태 및 요구조사, 2018

      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2016

      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초・중등교육통계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초・중등교육통계편, 2018

      1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2015

      1 교육부, 교육부, "2018년 교육기본통계.", 2018년 교육기본통계, 2018

      2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령 제135호", 별지 제3호서식, 2019

      3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5

      4 여성가족부,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2017

      5 관계부처합동,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2018

      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2016

      7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8년도 청소년활동 참여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8년도 청소년활동 참여실태 및 요구조사, 2018

      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2016

      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초・중등교육통계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초・중등교육통계편, 2018

      1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2015

      11 이정은, 조미형, "남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 년연구, 18(3), 79~102, 2007

      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제1-7차 조 사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제1-7차 조 사표, 2017

      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체험활동의 발달적 가치 및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체험활동의 발달적 가치 및 사회 경제적 가치 연구, 2012

      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 1-7차 조사 데이 터 코드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 1-7차 조사 데이 터 코드북, 2017

      15 여성가족부, "청소년 체험활동의 발달적 가치 및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 여성가족부 청소년 체험활동의 발달적 가치 및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 2012

      1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의 발전 방향 자료집",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의 발전 방향 자료집, 2014

      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 1-7차 조사 데이 터 유저가이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 1-7차 조사 데이 터 유저가이드, 2017

      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예방의 국제적 동향과 전망: 학교 안과 밖의 소 통과 연계", 2018 학업중단예방 국제포럼, 2018

      19 이정선,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ㆍ문화적 관계 : 콜맨의 사회자본을 중심으 로", 교육인류학연구, 4(2), 147-190, 2001

      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Ⅴ: 기초분석보고서 Ⅲ - 청소 년의 체험활동 및 문화활동 참여 실태와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Ⅴ: 기초분석보고서 Ⅲ - 청소 년의 체험활동 및 문화활동 참여 실태와 추이 분석,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