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당삼채(唐三彩) 마용(馬俑) 장식 연구 = Study on the decoration of three-color horse figurines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6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삼채는 중국 당대(唐代)에 유행했던 납이 함유된 저온 유약도자기이다. 유약색은 노란색, 녹색, 흰색, 갈색, 남색, 검은색 등으로 발색이 되는데 그중 노란색, 녹색, 흰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것을 ‘당삼채’라고 부르게 되었다. 당대 도자기 문화의 대표로써 조형이 풍부하고, 생동감이 넘치고, 색채가 화려하며, 당대 생활양상과 시대성을 반영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당삼채마용의 수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고 다른 조형물에 비해 희소성이 있으며 연구의 가치가 높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당삼채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인 제작 기술 중심이고 말용의 장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은 장식적인 각도에서 당삼채 말용에 대해 논하였다. 제1장 서론은 말용의 연구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소개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를 진행했다. 제2장에서는 당삼채 역사 배경 및 국내외 연구 현황을 소개하였다. 당삼채만의 풍부한 문화적 가치와심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당삼채는 이미 1,3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귀중한 역사적 자산으로써천년의 세월이 흐른 후에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마용의 전체적인 조형 장식, 조형은생동감이 있어서 생활 정취가 가득 차고 장식 예술 수법이 특색이 있었다. 마용의 부분적인 조각 장식, 삼채 마를 외형적으로 생생하게 조각하면서 예술적인 과장된 기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말의 내적 정신도 남김없이 잘 드러냈다. 마용의 색채 장식, 색상은 화려하고 풍부하며 보조 색조로 메인 색조를 돋보이게 했다. 마용의 무늬 장식 네 가지 방면으로 당삼채 마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장인들은 삼채마를외형적으로 매우 생생하게 만들면서 예술적으로 상상력을 발휘해 과장된 수법을 적절히 구사하여 말의 내적 정신까지 유감없이 구현했다. 시유(施釉)의 방법은 다양하고 색채 미학이 돋보인다. 장식은 꽃과식물, 동물, 기학 무늬를 위주로 하고 신화와 종교 특색으로 보완했다. 마용은 형태, 색상, 기운의 아름다움을 독특한 예술 특성으로 형성하였다. 결론 부분은 당삼채 마용의 장식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비교했다. 당삼채 마용은 비율이 조화롭고 조형이 아름다우며 체형이 커서 말의 역동적인 미감과 도공(陶工)의 뛰어난 예술적 수준이 높고 완벽한 조화를 충분히 보여주었다. 이것은 당삼채 마용의 장식 예술이 현대 도자기 미감과 도자기 예술 창작에 중요한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당삼채는 중국 당대(唐代)에 유행했던 납이 함유된 저온 유약도자기이다. 유약색은 노란색, 녹색, 흰색, 갈색, 남색, 검은색 등으로 발색이 되는데 그중 노란색, 녹색, 흰색이 많이 사용되었...

      당삼채는 중국 당대(唐代)에 유행했던 납이 함유된 저온 유약도자기이다. 유약색은 노란색, 녹색, 흰색, 갈색, 남색, 검은색 등으로 발색이 되는데 그중 노란색, 녹색, 흰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것을 ‘당삼채’라고 부르게 되었다. 당대 도자기 문화의 대표로써 조형이 풍부하고, 생동감이 넘치고, 색채가 화려하며, 당대 생활양상과 시대성을 반영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당삼채마용의 수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고 다른 조형물에 비해 희소성이 있으며 연구의 가치가 높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당삼채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인 제작 기술 중심이고 말용의 장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은 장식적인 각도에서 당삼채 말용에 대해 논하였다. 제1장 서론은 말용의 연구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소개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를 진행했다. 제2장에서는 당삼채 역사 배경 및 국내외 연구 현황을 소개하였다. 당삼채만의 풍부한 문화적 가치와심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당삼채는 이미 1,3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귀중한 역사적 자산으로써천년의 세월이 흐른 후에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마용의 전체적인 조형 장식, 조형은생동감이 있어서 생활 정취가 가득 차고 장식 예술 수법이 특색이 있었다. 마용의 부분적인 조각 장식, 삼채 마를 외형적으로 생생하게 조각하면서 예술적인 과장된 기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말의 내적 정신도 남김없이 잘 드러냈다. 마용의 색채 장식, 색상은 화려하고 풍부하며 보조 색조로 메인 색조를 돋보이게 했다. 마용의 무늬 장식 네 가지 방면으로 당삼채 마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장인들은 삼채마를외형적으로 매우 생생하게 만들면서 예술적으로 상상력을 발휘해 과장된 수법을 적절히 구사하여 말의 내적 정신까지 유감없이 구현했다. 시유(施釉)의 방법은 다양하고 색채 미학이 돋보인다. 장식은 꽃과식물, 동물, 기학 무늬를 위주로 하고 신화와 종교 특색으로 보완했다. 마용은 형태, 색상, 기운의 아름다움을 독특한 예술 특성으로 형성하였다. 결론 부분은 당삼채 마용의 장식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비교했다. 당삼채 마용은 비율이 조화롭고 조형이 아름다우며 체형이 커서 말의 역동적인 미감과 도공(陶工)의 뛰어난 예술적 수준이 높고 완벽한 조화를 충분히 보여주었다. 이것은 당삼채 마용의 장식 예술이 현대 도자기 미감과 도자기 예술 창작에 중요한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ng Sancai is a type of lead containing low-temperature glazed porcelain popular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Glaze colors include yellow, green, white, brown, blue, black, etc. Among them, yellow, green, and white are more commonly used. This is known as the "Tang Sancai". As a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ceramic cultur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ich and vivid shapes, brilliant colors, reflecting the face of contemporary life and modernity. The number of Tang Sancai horse dragons is relatively small, and compared to other shaped objects, they are scarce and have high research value. The research on Tang Sancai in countries such as China, South Korea, and Japan is centered around the overall production technology, and there is still a relatively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dragon decoration.This paper discusses the final use of Tang Sancai from the perspective of decoration.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Ma Long. Based on the survey data, a systematic analysis and research were conducted.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search status of Tang Sancai at home and abroad. It narrates the unique rich cultural value and aesthetics of Tang Sancai. Tang Sancai has a history of 1300 years, and as a precious historical asset, it still maintains its vitality after thousands of years have passed. Chapter 3: The overall design and decoration of Marlon is vivid and full of life charm, with unique decorative art techniques. Part of the fragment decoration of the magic dragon, While vividly carving the three colored horse in appearance, appropriate artistic exaggeration techniques were used to fully showcase the horse's inner spirit. The color decoration of Malone features gorgeous and rich colors, complemented by tonal accents that highlight the main tone.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ang's three colored horse dragons from four aspects of horse dragon decoration. Craftsmen not only bring the appearance of the tricolor horse to life, but also use their imagination in art and exaggeration appropriately, fully reflecting the inner spirit of the horse. Shi Yu's methods are diverse and his color aesthetics stand out. The decoration mainly features flowers, plants, animals, and artistic patterns, supplemented by mythological and religious features. Malone has formed a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 by combining the beauty of form, color, and atmosphere. The conclusion section analyzes and compares the decorative characteristics of Tang Sancai Magic Dragon. The Tang three colored horse dragon has a harmonious proportion, beautiful shape, and huge body shape, fully showcasing the dynamic beauty of the horse and the superb artistic level of the potter, with perfect coordination. This can confirm that the decorative art of Tang Sancai Malong has important research value for modern ceramic aesthetics and ceramic art creation.
      번역하기

      Tang Sancai is a type of lead containing low-temperature glazed porcelain popular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Glaze colors include yellow, green, white, brown, blue, black, etc. Among them, yellow, green, and white are more commonly used. This is kn...

      Tang Sancai is a type of lead containing low-temperature glazed porcelain popular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Glaze colors include yellow, green, white, brown, blue, black, etc. Among them, yellow, green, and white are more commonly used. This is known as the "Tang Sancai". As a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ceramic cultur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ich and vivid shapes, brilliant colors, reflecting the face of contemporary life and modernity. The number of Tang Sancai horse dragons is relatively small, and compared to other shaped objects, they are scarce and have high research value. The research on Tang Sancai in countries such as China, South Korea, and Japan is centered around the overall production technology, and there is still a relatively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dragon decoration.This paper discusses the final use of Tang Sancai from the perspective of decoration.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Ma Long. Based on the survey data, a systematic analysis and research were conducted.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search status of Tang Sancai at home and abroad. It narrates the unique rich cultural value and aesthetics of Tang Sancai. Tang Sancai has a history of 1300 years, and as a precious historical asset, it still maintains its vitality after thousands of years have passed. Chapter 3: The overall design and decoration of Marlon is vivid and full of life charm, with unique decorative art techniques. Part of the fragment decoration of the magic dragon, While vividly carving the three colored horse in appearance, appropriate artistic exaggeration techniques were used to fully showcase the horse's inner spirit. The color decoration of Malone features gorgeous and rich colors, complemented by tonal accents that highlight the main tone.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ang's three colored horse dragons from four aspects of horse dragon decoration. Craftsmen not only bring the appearance of the tricolor horse to life, but also use their imagination in art and exaggeration appropriately, fully reflecting the inner spirit of the horse. Shi Yu's methods are diverse and his color aesthetics stand out. The decoration mainly features flowers, plants, animals, and artistic patterns, supplemented by mythological and religious features. Malone has formed a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 by combining the beauty of form, color, and atmosphere. The conclusion section analyzes and compares the decorative characteristics of Tang Sancai Magic Dragon. The Tang three colored horse dragon has a harmonious proportion, beautiful shape, and huge body shape, fully showcasing the dynamic beauty of the horse and the superb artistic level of the potter, with perfect coordination. This can confirm that the decorative art of Tang Sancai Malong has important research value for modern ceramic aesthetics and ceramic art cre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성, "도자공예개론" 예경 2008

      2 김병억, "도예장식기법" 태학원 2002

      3 李正安, "陶瓷設計" 中國美術學院出版社 2002

      4 王瓊珊, "論洛陽唐三彩燒制技藝的活態流變性" 中國藝術研究院 2017

      5 郭兵要, "論唐三彩的顏色裝飾對現代陶藝的影響" (4) : 23-24, 2014

      6 "洛陽唐三彩陶藝博物館"

      7 洛陽博物館, "洛陽唐三彩" 河南美術出版社 1985

      8 濱口良光, "朝鮮之工藝" 美術出版社 1966

      9 "文化藝術網"

      10 柳宗悅, "工藝之道"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11

      1 이진성, "도자공예개론" 예경 2008

      2 김병억, "도예장식기법" 태학원 2002

      3 李正安, "陶瓷設計" 中國美術學院出版社 2002

      4 王瓊珊, "論洛陽唐三彩燒制技藝的活態流變性" 中國藝術研究院 2017

      5 郭兵要, "論唐三彩的顏色裝飾對現代陶藝的影響" (4) : 23-24, 2014

      6 "洛陽唐三彩陶藝博物館"

      7 洛陽博物館, "洛陽唐三彩" 河南美術出版社 1985

      8 濱口良光, "朝鮮之工藝" 美術出版社 1966

      9 "文化藝術網"

      10 柳宗悅, "工藝之道"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11

      11 胡聽汀, "唐墓出土三彩陶器研究" 復旦大學 2012

      12 胡小麗, "唐三彩鑒定與鑒賞" 江西美術出版社 2002

      13 黑麗娜, "唐三彩與遼三彩制作工藝比較研究" (2) : 36-39, 2019

      14 惠俊芳, "唐三彩的特點及興起原因" (1) : 15-, 2022

      15 閻存良, "古陶珍寶唐三彩" 天津百花文藝出版社 2015

      16 洛文亮, "中國文化陶瓷史" 中央編譯出版社 2012

      17 李正中, "中國唐三彩" 天津人民出版社 1997

      18 朱裕平, "中國三彩" 山東美術出版社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