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발전하면서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및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역의 안전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역안전지수’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26928
2016
-
530
학술저널
281-28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가 발전하면서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및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역의 안전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역안전지수’의 ...
사회가 발전하면서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및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역의 안전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역안전지수’의 개념이 생겨났다. 지역안전지수는 7개 분야별(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 화재, 안전사고, 자연재해) 계량화된 수치인 위해 지표, 취약지표, 경감지표에 따라 산출된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7개 분야 지역안전지수는 교통사고 1등급, 범죄 5등급, 자살 1등급, 감염병 1등급, 화재 1등급, 안전사고 2등급, 자연재해 4등급으로, 전국 82개 군(郡) 중에서 7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지역안전지수는 재난 및 안전사고의 발생현황을 분석하여 지역별 취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안전개선사업을 실시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데에 기반 자료로 활용된다. 전체 연구 프로세스는 현황분석 → 취약부문 도출 → 지역별 취약부문 개선대책 도출로 구성된다. 현재 대부분의 경우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후 대응/복구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역주민의 안전을 위해서는 대응/복구 중심의 활동뿐만 아니라 선제적인 예방 및 대비 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범조직적 협업체계 구축을 통해 개별 사건 중심의 해결보다는, 협업의 관점에서 사고 발생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제품 및 안전교육을 위한 BCM기반 거버넌스(기관)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