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楚辭 文獻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35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초사학계에서는 일본과 서양의 楚辭 문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필자는 학계에서 처음으로 한국의 초사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전반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자가 수집 한국의 초사 문헌은 모두 148종이다. 그 중에 초사의 중국 간인본은 28종, 일본 간인본 7종, 한국 간인본 12종, 한국 필사본 101종이 있다. 중국 간본 28종 중에 한국에 전파된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은 朱熹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 元 至治 元年 虞信亨宅 刻本, 朱熹 ��楚辭集注�� 山陽楊上林 刻本, 屈復 ��楚辭新注��, 王逸 ��楚辭章句�� 清 溪香館 刻本, 張鳳翼注 ��楚辭�� 등 5종이다. 그중에 朱熹의 虞信亨宅 刻本은 늦어도 1428년 이전에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그 후 17세기 이전에 朱熹의 ��楚辭集注�� 山陽 楊上林 刻本이 조선에 유입되고 屈復의 ��楚辭新注��과 王逸의 ��楚辭章句�� 清 溪香館 刻本이 18세기 이전에 유입되었으며, 張鳳翼 注의 ��楚辭��가 19세기에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한국 간인본 12종은 庚子字, 初鑄甲寅字混入補字, 戊申字(四鑄甲寅字), 訓鍊都監字 등 네 종의 활자본이 있다. 그 중 간행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은 9종이 있는데, 가장 이른 시기는 1429년에 금속활자로 간행된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 庚子字本이고, 가장 늦은 시기는 1886년의 방각본 ��賦家正宗�� 文成堂本이다. 그리고 101종의 필사본 중에 필사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李頤命의 ��楚辭�� 필사본으로서 약 1689∼1722년경에 필사한 것이다.
      본고는 현재까지 조사한 148종의 한국 초사 문헌 중에서 문헌적 가치가 높은 몇 종을 선별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초사의 중국 간인본 중에서 淸初 溪香館 목판본 ��楚辭章句��와 屈復의 ��楚辭新注��를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王逸의 ��楚辭章句��청초 溪香館 목판본은 18세기에 이미 조선에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초 溪香館 목판본 ��楚辭章句��의 출판자 嚴先生은 바로 盧之頤의 선생인 명말청초 항주의 유명한 유학자 嚴武順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屈復의 ��楚辭新注��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 國家圖書館 소장의 受業門人同梓本이 초간본일 것으로 추정했고, 초간본과 고려대 소장본은 모두 ��楚辭新注��의 선본이며, 居易堂本은 戊午年에 刊記가 있는 판본 중에서도 졸본이고, 서울대 소장본은 戊午年에 刊記가 있는 판본 중에서도 다른 판본으로 그 출판시기가 초간본 및 弱水草堂本보다 늦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屈復의 ��楚辭新注��가 1756년 이전에 이미 조선에 전파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초사의 한국 간인본에 대한 연구에서 필자는 朝鮮時期 간행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와 朝鮮時期 초사의 방각본 두 종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시기 중간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의 虞信亨宅刻本의 간인본은 1429년에 금속활자로 간행한 중앙관판본이 있고, 이 1429년 활자본의 복각본, 1454년 지방관판본 및 訓鍊都監本 등이 있다. 조선시기 중간한 ��楚辭集注�� 楊上林本의 판식으로 볼 때에 ��楚辭集注��·��楚辭後語��·��楚辭辯證�� 金屬活字本(戊申字)과 木板本(戊申字覆刻本) 두 종의 간인본이 있다. 조선시기 간행된 방각본 중에서는 ��楚辭�� 庚申本과 ��賦家正宗�� 丙戌本을 연구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인 ��楚辭�� 庚申本의 간행 시기는 1860년이고, 장서각 소장본인 ��賦家正宗�� 丙戌本의 간행 시기는 1886년이다. 병술본은 경신본의 補刻本이다. ��楚辭�� 경신본은 지금까지 필자가 찾아낸 초사의 조선 판본 중에서 유일하게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편찬하고 주석을 가한 초사 문헌이며 ��楚辭��가 한국에 널리 전파된 것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초사의 한국 필사본에 대한 연구에서 필자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楚辭�� 필사본과 장서각 소장 ��離騷經解�� 필사본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楚辭�� 필사본을 안정복이 필사한 것으로 추정했다. 장서각 소장의 ��離騷經解�� 필사본의 저자는 조선조 후기 문인이고 필사 시기는 1779년 이후이다. 이 필사본은 필자가 현재까지 조사한 자료 중에서 유일하게 「離騷」에 대한 釋義가 비교적 전면적이고 계통적으로 되어 있는 주석본이다.
      필자는 또 韓國 文集 속의 楚辭 序跋文과 朝鮮時期 刊行된 ��選賦抄評注解刪補��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명의 조선 문인들이 지은 13편의 초사 서발문이 있는데 모두 한중 양국에서 초사 문헌의 전파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자료이다. ��選賦抄評注解刪補��는 稿本, 官板本, 坊刻本, 傳寫本 네 종류가 있다. 관판본의 간행 시기는 1630년 혹은 1690년일 가능성이 높다. ��選賦抄評注解刪補��는 조선시기 ��楚辭��의 「離騷經」, 「九歌」, 「九章」, 「天問」에 대한 수용과 朱熹의 ��楚辭集注��를 높이 평가한 양상을 연구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가 있다.
      필자는 이상의 한국의 초사 문헌의 수집과 정리,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楚辭 文獻의 韓國 傳播 原因과 意義에 대해서도 탐구해 보았다.
      초사 문헌은 한국에 전해진 이후로 부단히 간행되고 필사되어 왔는데 이러한 전파의 요인을 분석해 보면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주요한 내적 요인으로 첫째는, 굴원과 초사작품에서 체현되는 忠君愛國, 好修爲常, 獨立不遷, 上下求索의 정신이 한국의 역대 뜻있는 선비들의 정신과 공명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朱熹가 주석한 초사 문헌이 조선시기에 조정에서 수차례 간행되었는데, 이것은 주자의 초사 주석본 자체의 학술적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셋째는, 초사는 辭賦의 원류로서 한국 문인들이 초사를 공부하는 동시에 초사를 통해 자신의 문학적 수양도 풍부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외적 요인으로는 주로 첫째, 조선시기 통치계급이 유교사상을 추숭하고 또한 주자학을 존중하기에 중앙에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를 간행하고 또 지방 각도에 반사하여 이로써 초사 문헌이 한국에서 대량 간행되도록 추진하였다. 둘째, 조선의 과거제도에서 賦를 중시하였으므로 초사의 독서와 간행이 추진되었다. 셋째, 18세기 중기 이후 한국의 방각본의 성행은 초사의 방각본 유통을 추진하였다.
      이상으로 분석해본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인해 초사 문헌은 한국의 조정에서부터 지방관아, 서책시장까지 부단히 간행되고 유통되었으면 독자들의 붓끝에서 끊임없이 필사되기도 하였다.
      초사 문헌이 한국에 전파되고 유통된 의미를 분석해 보면,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의 초사간인본과 필사본은 楚辭學 연구의 일부분이며 동아시아 楚辭學 연구에 필요한 구성부분으로서 문헌의 간행과 유통 자체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 본다면, 초사의 한국 전파에 의해 많은 한국 간인본과 필사본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 문인들은 초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시와 시가 창작에서 초사의 전고를 인용하여 창작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擬騷 작품을 창작하였고 초사를 연구한 저술들을 창작하였다. 또한 굴원의 인격과 초사의 사상은 조선 문인들의 인격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에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한 발굴과 연구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의 연구는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며 필자가 수집한 자료 외에도 향후 더욱 많은 자료의 발견이 있고 보충되어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현재 초사학계에서는 일본과 서양의 楚辭 문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 전면...

      현재 초사학계에서는 일본과 서양의 楚辭 문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필자는 학계에서 처음으로 한국의 초사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전반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자가 수집 한국의 초사 문헌은 모두 148종이다. 그 중에 초사의 중국 간인본은 28종, 일본 간인본 7종, 한국 간인본 12종, 한국 필사본 101종이 있다. 중국 간본 28종 중에 한국에 전파된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은 朱熹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 元 至治 元年 虞信亨宅 刻本, 朱熹 ��楚辭集注�� 山陽楊上林 刻本, 屈復 ��楚辭新注��, 王逸 ��楚辭章句�� 清 溪香館 刻本, 張鳳翼注 ��楚辭�� 등 5종이다. 그중에 朱熹의 虞信亨宅 刻本은 늦어도 1428년 이전에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그 후 17세기 이전에 朱熹의 ��楚辭集注�� 山陽 楊上林 刻本이 조선에 유입되고 屈復의 ��楚辭新注��과 王逸의 ��楚辭章句�� 清 溪香館 刻本이 18세기 이전에 유입되었으며, 張鳳翼 注의 ��楚辭��가 19세기에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한국 간인본 12종은 庚子字, 初鑄甲寅字混入補字, 戊申字(四鑄甲寅字), 訓鍊都監字 등 네 종의 활자본이 있다. 그 중 간행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은 9종이 있는데, 가장 이른 시기는 1429년에 금속활자로 간행된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 庚子字本이고, 가장 늦은 시기는 1886년의 방각본 ��賦家正宗�� 文成堂本이다. 그리고 101종의 필사본 중에 필사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李頤命의 ��楚辭�� 필사본으로서 약 1689∼1722년경에 필사한 것이다.
      본고는 현재까지 조사한 148종의 한국 초사 문헌 중에서 문헌적 가치가 높은 몇 종을 선별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초사의 중국 간인본 중에서 淸初 溪香館 목판본 ��楚辭章句��와 屈復의 ��楚辭新注��를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王逸의 ��楚辭章句��청초 溪香館 목판본은 18세기에 이미 조선에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초 溪香館 목판본 ��楚辭章句��의 출판자 嚴先生은 바로 盧之頤의 선생인 명말청초 항주의 유명한 유학자 嚴武順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屈復의 ��楚辭新注��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 國家圖書館 소장의 受業門人同梓本이 초간본일 것으로 추정했고, 초간본과 고려대 소장본은 모두 ��楚辭新注��의 선본이며, 居易堂本은 戊午年에 刊記가 있는 판본 중에서도 졸본이고, 서울대 소장본은 戊午年에 刊記가 있는 판본 중에서도 다른 판본으로 그 출판시기가 초간본 및 弱水草堂本보다 늦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屈復의 ��楚辭新注��가 1756년 이전에 이미 조선에 전파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초사의 한국 간인본에 대한 연구에서 필자는 朝鮮時期 간행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와 朝鮮時期 초사의 방각본 두 종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시기 중간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의 虞信亨宅刻本의 간인본은 1429년에 금속활자로 간행한 중앙관판본이 있고, 이 1429년 활자본의 복각본, 1454년 지방관판본 및 訓鍊都監本 등이 있다. 조선시기 중간한 ��楚辭集注�� 楊上林本의 판식으로 볼 때에 ��楚辭集注��·��楚辭後語��·��楚辭辯證�� 金屬活字本(戊申字)과 木板本(戊申字覆刻本) 두 종의 간인본이 있다. 조선시기 간행된 방각본 중에서는 ��楚辭�� 庚申本과 ��賦家正宗�� 丙戌本을 연구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인 ��楚辭�� 庚申本의 간행 시기는 1860년이고, 장서각 소장본인 ��賦家正宗�� 丙戌本의 간행 시기는 1886년이다. 병술본은 경신본의 補刻本이다. ��楚辭�� 경신본은 지금까지 필자가 찾아낸 초사의 조선 판본 중에서 유일하게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편찬하고 주석을 가한 초사 문헌이며 ��楚辭��가 한국에 널리 전파된 것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초사의 한국 필사본에 대한 연구에서 필자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楚辭�� 필사본과 장서각 소장 ��離騷經解�� 필사본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楚辭�� 필사본을 안정복이 필사한 것으로 추정했다. 장서각 소장의 ��離騷經解�� 필사본의 저자는 조선조 후기 문인이고 필사 시기는 1779년 이후이다. 이 필사본은 필자가 현재까지 조사한 자료 중에서 유일하게 「離騷」에 대한 釋義가 비교적 전면적이고 계통적으로 되어 있는 주석본이다.
      필자는 또 韓國 文集 속의 楚辭 序跋文과 朝鮮時期 刊行된 ��選賦抄評注解刪補��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명의 조선 문인들이 지은 13편의 초사 서발문이 있는데 모두 한중 양국에서 초사 문헌의 전파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자료이다. ��選賦抄評注解刪補��는 稿本, 官板本, 坊刻本, 傳寫本 네 종류가 있다. 관판본의 간행 시기는 1630년 혹은 1690년일 가능성이 높다. ��選賦抄評注解刪補��는 조선시기 ��楚辭��의 「離騷經」, 「九歌」, 「九章」, 「天問」에 대한 수용과 朱熹의 ��楚辭集注��를 높이 평가한 양상을 연구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가 있다.
      필자는 이상의 한국의 초사 문헌의 수집과 정리,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楚辭 文獻의 韓國 傳播 原因과 意義에 대해서도 탐구해 보았다.
      초사 문헌은 한국에 전해진 이후로 부단히 간행되고 필사되어 왔는데 이러한 전파의 요인을 분석해 보면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주요한 내적 요인으로 첫째는, 굴원과 초사작품에서 체현되는 忠君愛國, 好修爲常, 獨立不遷, 上下求索의 정신이 한국의 역대 뜻있는 선비들의 정신과 공명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朱熹가 주석한 초사 문헌이 조선시기에 조정에서 수차례 간행되었는데, 이것은 주자의 초사 주석본 자체의 학술적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셋째는, 초사는 辭賦의 원류로서 한국 문인들이 초사를 공부하는 동시에 초사를 통해 자신의 문학적 수양도 풍부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외적 요인으로는 주로 첫째, 조선시기 통치계급이 유교사상을 추숭하고 또한 주자학을 존중하기에 중앙에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를 간행하고 또 지방 각도에 반사하여 이로써 초사 문헌이 한국에서 대량 간행되도록 추진하였다. 둘째, 조선의 과거제도에서 賦를 중시하였으므로 초사의 독서와 간행이 추진되었다. 셋째, 18세기 중기 이후 한국의 방각본의 성행은 초사의 방각본 유통을 추진하였다.
      이상으로 분석해본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인해 초사 문헌은 한국의 조정에서부터 지방관아, 서책시장까지 부단히 간행되고 유통되었으면 독자들의 붓끝에서 끊임없이 필사되기도 하였다.
      초사 문헌이 한국에 전파되고 유통된 의미를 분석해 보면,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의 초사간인본과 필사본은 楚辭學 연구의 일부분이며 동아시아 楚辭學 연구에 필요한 구성부분으로서 문헌의 간행과 유통 자체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 본다면, 초사의 한국 전파에 의해 많은 한국 간인본과 필사본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 문인들은 초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시와 시가 창작에서 초사의 전고를 인용하여 창작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擬騷 작품을 창작하였고 초사를 연구한 저술들을 창작하였다. 또한 굴원의 인격과 초사의 사상은 조선 문인들의 인격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에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한 발굴과 연구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의 연구는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며 필자가 수집한 자료 외에도 향후 더욱 많은 자료의 발견이 있고 보충되어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目前,楚辭學界對日本、歐美楚辭文獻已有一定的研究,但韓國楚辭文獻幾乎沒有得到關注和挖掘,進而還未開展全面、系統的收集與研究。因此,本文首次對韓國楚辭版本進行全面的收集與系統的研究。筆者可以斷定是韓國的楚辭文獻共148種中,其中有中國刊印本28種,日本刊印本7種,韓國刊印本12種,韓國筆寫本101種。在中國刊印本28種中可以確定傳入時期的有5種,即,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元至治元年虞信亨宅刻本,朱熹��楚辭集注��山陽楊上林刻本,屈復��楚辭新注��,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張鳳翼注��楚辭��。其中,建安虞信亨宅木板本傳入韓半島的時間最遲在1428年。之後,在17世紀之前楊上林本也已傳入,屈復��楚辭新注��與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在18世紀之前傳入,張鳳翼注��楚辭��在19世紀傳入。在韩国刊印本12種中,其曾用庚子字、初鑄甲寅字混入補字、戊申字(四鑄甲寅字)、訓鍊都監字四類活字刊印,可以確定刊行時期的刊印本有9種,其中最早的刊行時期爲1429年��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庚子字本,最晚爲1886年��賦家正宗��文成堂本。在101種筆寫本中,李頤命��楚辭��鈔本的鈔錄時間最早,在1689年至1722年之間。
      在以上調查的148種韓國楚辭文獻中,筆者選取有價值的文獻進行深入研究。在研究中國刊印本時,筆者選取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與屈復��楚辭新注��。研究結論是:首先,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最晚在18世紀時就已傳至朝鮮,同時考證出此刻本的出版者嚴先生即明末餘杭文人嚴武順先生。其次,關於屈復��楚辭新注��,筆者認爲中國國家圖書館藏受業門人同梓本似爲初印本;高麗大學藏本與初印本均爲��楚辭新注��文獻中的善本;居易堂本是有戊午年刊記的刻本中劣本;首爾大學藏本是有戊午年刊記的刻本中的另一種版本,其出版時期應晚於初印本與弱水草堂本。此外,屈復��楚辭新注��傳入朝鮮朝的最早時間應在1756年之前。
      在研究韓國刊印本時,筆者從朝鮮時期刊行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與朝鮮時期刊楚辭坊刻本兩方面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朝鮮時期重刻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虞信亨宅刻本的刊印本主要有1429年中央官板本庚子字本,1429年中央官板本庚子字本的覆刻本,1454年地方官板本庚子字覆刻本,以及訓鍊都監本。其次,從朝鮮時期重刻��楚辭集注��楊上林刻本的版式來看,其主要分爲重刻朱熹��楚辭集注����楚辭後語����楚辭辯證��金屬活字本(戊申字)和木板本(戊申字覆刻本)兩類。再次,在研究韓國刊坊刻本時,筆者選取��楚辭��庚申本與��賦家正宗��丙戌本。國立中央圖書館藏庚申本的刊印時間在1860年,藏書閣藏丙戌本的刊刻時間在1886年,丙戌本是在庚申本的基礎上的補刻本。��楚辭��庚申本是目前筆者所收集到的朝鮮楚辭刊印本中唯一一本在韓半島獨立編選、注疏,并得以出版的楚辭文獻,是楚辭文獻在韓國傳入過程中一座重要的里程碑。
      在研究韓國筆寫本時,筆者對国立中央图书馆藏��楚辭��與藏書閣藏��離騷經解��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筆者得出��楚辞��筆寫本确为安鼎福所钞。其次,藏書閣藏��離騷經解��的著者是朝鮮朝後期文人,撰寫時間在1779年之後。此版本是筆者在韓國目前所見的唯一一本關於「離騷」釋義較爲全面、系統的注本。
      此外,笔者选取韓國文集所載楚辭序跋文與朝鮮時期刊行��選賦抄評注解刪補��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韓國文集中由10位文人撰寫的13條楚辭序跋,都可視爲韓中兩國在歷史上楚辭文獻流播的重要證據。其次,��选赋抄評注解刪補��有稿本,官板本,坊刻本,傳寫本四種,其官板本的開刊時間在1630年或1690年的可能性較大。同時,��選賦抄評注解刪補��體現出朝鮮時期對��楚辭��中「離騷經」「九歌」「九章」「天問」的認同,以及對朱熹注��楚辭集註��的偏愛,故具有重要的文獻價值。
      筆者在從以上韓國楚辭文獻的收集,整理與研究的基礎上探求楚辭文獻的傳播原因與意義。從楚辭文獻在韓國不斷被刊印、筆寫的傳播情況來看,有其發展的內在原因與外在原因。內部原因主要有,第一,屈原及楚辭作品中體現出忠君愛國,好修爲常,獨立不遷,上下求索的品格與韓半島歷代有志之士在精神上產生了共鳴。第二,朱熹注楚辭在中央多次刊行的原因在於朱熹注疏本身的學術價值。第三,楚辭是辭賦的源頭,韓國文人通過學習楚辭來豐富自身的文學修養。外在原因主要有,第一,因朝鮮時期統治階層對儒家思想的推崇,同時又伴隨著朱子學在朝鮮初期的形成和展開,使得在中央刊印有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之後頒賜各道,由此極大地促進了楚辭文獻在朝鮮半島的大量刊行。第二,受韓國科舉制度的影響,進而促使楚辭在韓國的刊行。第三,18世紀中期之後,韓國坊刻本的產生帶動了楚辭坊刻本的流通。因此,在以上內外因的共同作用下,才使得楚辭文獻在韓國的中央官府,地方官府,書肆等處不斷被刊印,在讀者筆下不斷被傳抄。
      楚辭文獻在韓國傳播的意義在於,對於中國來說,韓國楚辭文獻是韓國楚辭學的一部分,也是東亞楚辭學不可或缺的一部分,是楚辭文獻學研究的重要資料。對於韓國來說,首先,因楚辭在韓國的流傳使得韓國保存有楚辭的韓國刊印本與筆寫本。其次,韓半島文人在學習楚辭的過程中,不僅在漢詩和歌辭創作中引用楚辭中的典故創作詩句,更寫有了大量的擬騷作品和研騷論斷。再次,屈原的品格與楚辭的思想對韓半島部分文人的志向起到了一定的影響。
      總之,關於韓國楚辭文獻的發掘與研究是非常重要的研究課題。但因筆者收集文獻有限,故以上研究結論僅是今後繼續研究的基礎,期待會有更多的考古發現和文獻考證來進行補充。
      번역하기

      目前,楚辭學界對日本、歐美楚辭文獻已有一定的研究,但韓國楚辭文獻幾乎沒有得到關注和挖掘,進而還未開展全面、系統的收集與研究。因此,本文首次對韓國楚辭版本進行...

      目前,楚辭學界對日本、歐美楚辭文獻已有一定的研究,但韓國楚辭文獻幾乎沒有得到關注和挖掘,進而還未開展全面、系統的收集與研究。因此,本文首次對韓國楚辭版本進行全面的收集與系統的研究。筆者可以斷定是韓國的楚辭文獻共148種中,其中有中國刊印本28種,日本刊印本7種,韓國刊印本12種,韓國筆寫本101種。在中國刊印本28種中可以確定傳入時期的有5種,即,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元至治元年虞信亨宅刻本,朱熹��楚辭集注��山陽楊上林刻本,屈復��楚辭新注��,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張鳳翼注��楚辭��。其中,建安虞信亨宅木板本傳入韓半島的時間最遲在1428年。之後,在17世紀之前楊上林本也已傳入,屈復��楚辭新注��與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在18世紀之前傳入,張鳳翼注��楚辭��在19世紀傳入。在韩国刊印本12種中,其曾用庚子字、初鑄甲寅字混入補字、戊申字(四鑄甲寅字)、訓鍊都監字四類活字刊印,可以確定刊行時期的刊印本有9種,其中最早的刊行時期爲1429年��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庚子字本,最晚爲1886年��賦家正宗��文成堂本。在101種筆寫本中,李頤命��楚辭��鈔本的鈔錄時間最早,在1689年至1722年之間。
      在以上調查的148種韓國楚辭文獻中,筆者選取有價值的文獻進行深入研究。在研究中國刊印本時,筆者選取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與屈復��楚辭新注��。研究結論是:首先,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最晚在18世紀時就已傳至朝鮮,同時考證出此刻本的出版者嚴先生即明末餘杭文人嚴武順先生。其次,關於屈復��楚辭新注��,筆者認爲中國國家圖書館藏受業門人同梓本似爲初印本;高麗大學藏本與初印本均爲��楚辭新注��文獻中的善本;居易堂本是有戊午年刊記的刻本中劣本;首爾大學藏本是有戊午年刊記的刻本中的另一種版本,其出版時期應晚於初印本與弱水草堂本。此外,屈復��楚辭新注��傳入朝鮮朝的最早時間應在1756年之前。
      在研究韓國刊印本時,筆者從朝鮮時期刊行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與朝鮮時期刊楚辭坊刻本兩方面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朝鮮時期重刻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虞信亨宅刻本的刊印本主要有1429年中央官板本庚子字本,1429年中央官板本庚子字本的覆刻本,1454年地方官板本庚子字覆刻本,以及訓鍊都監本。其次,從朝鮮時期重刻��楚辭集注��楊上林刻本的版式來看,其主要分爲重刻朱熹��楚辭集注����楚辭後語����楚辭辯證��金屬活字本(戊申字)和木板本(戊申字覆刻本)兩類。再次,在研究韓國刊坊刻本時,筆者選取��楚辭��庚申本與��賦家正宗��丙戌本。國立中央圖書館藏庚申本的刊印時間在1860年,藏書閣藏丙戌本的刊刻時間在1886年,丙戌本是在庚申本的基礎上的補刻本。��楚辭��庚申本是目前筆者所收集到的朝鮮楚辭刊印本中唯一一本在韓半島獨立編選、注疏,并得以出版的楚辭文獻,是楚辭文獻在韓國傳入過程中一座重要的里程碑。
      在研究韓國筆寫本時,筆者對国立中央图书馆藏��楚辭��與藏書閣藏��離騷經解��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筆者得出��楚辞��筆寫本确为安鼎福所钞。其次,藏書閣藏��離騷經解��的著者是朝鮮朝後期文人,撰寫時間在1779年之後。此版本是筆者在韓國目前所見的唯一一本關於「離騷」釋義較爲全面、系統的注本。
      此外,笔者选取韓國文集所載楚辭序跋文與朝鮮時期刊行��選賦抄評注解刪補��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韓國文集中由10位文人撰寫的13條楚辭序跋,都可視爲韓中兩國在歷史上楚辭文獻流播的重要證據。其次,��选赋抄評注解刪補��有稿本,官板本,坊刻本,傳寫本四種,其官板本的開刊時間在1630年或1690年的可能性較大。同時,��選賦抄評注解刪補��體現出朝鮮時期對��楚辭��中「離騷經」「九歌」「九章」「天問」的認同,以及對朱熹注��楚辭集註��的偏愛,故具有重要的文獻價值。
      筆者在從以上韓國楚辭文獻的收集,整理與研究的基礎上探求楚辭文獻的傳播原因與意義。從楚辭文獻在韓國不斷被刊印、筆寫的傳播情況來看,有其發展的內在原因與外在原因。內部原因主要有,第一,屈原及楚辭作品中體現出忠君愛國,好修爲常,獨立不遷,上下求索的品格與韓半島歷代有志之士在精神上產生了共鳴。第二,朱熹注楚辭在中央多次刊行的原因在於朱熹注疏本身的學術價值。第三,楚辭是辭賦的源頭,韓國文人通過學習楚辭來豐富自身的文學修養。外在原因主要有,第一,因朝鮮時期統治階層對儒家思想的推崇,同時又伴隨著朱子學在朝鮮初期的形成和展開,使得在中央刊印有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之後頒賜各道,由此極大地促進了楚辭文獻在朝鮮半島的大量刊行。第二,受韓國科舉制度的影響,進而促使楚辭在韓國的刊行。第三,18世紀中期之後,韓國坊刻本的產生帶動了楚辭坊刻本的流通。因此,在以上內外因的共同作用下,才使得楚辭文獻在韓國的中央官府,地方官府,書肆等處不斷被刊印,在讀者筆下不斷被傳抄。
      楚辭文獻在韓國傳播的意義在於,對於中國來說,韓國楚辭文獻是韓國楚辭學的一部分,也是東亞楚辭學不可或缺的一部分,是楚辭文獻學研究的重要資料。對於韓國來說,首先,因楚辭在韓國的流傳使得韓國保存有楚辭的韓國刊印本與筆寫本。其次,韓半島文人在學習楚辭的過程中,不僅在漢詩和歌辭創作中引用楚辭中的典故創作詩句,更寫有了大量的擬騷作品和研騷論斷。再次,屈原的品格與楚辭的思想對韓半島部分文人的志向起到了一定的影響。
      總之,關於韓國楚辭文獻的發掘與研究是非常重要的研究課題。但因筆者收集文獻有限,故以上研究結論僅是今後繼續研究的基礎,期待會有更多的考古發現和文獻考證來進行補充。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literature of Chuci in Japan, Europe and America has been studied by scholars in Chuci circles, but Korean literature of Chuci has been of little concern and excavation, let alone complet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exploration. Therefore, this thesis aims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research of Korean Chuci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research, the author has definitely ensured that there are 148 types of Korean editions among all the collected Chuci literature, including 28 and 7 versions printed in China and Japan,respectively, as well as 12 printed editions and 101 written editions in Korea. Among the 28 Chinese editions, the time when 5 of them were introduced has been determined. They are the wooden edition of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Chuci Houyu in Yu Xinheng House in 1321( the first year of Zhizhi in Yuan Dynasty), Zhu Xi’s Chuci Jizhu of Yang Shanglin edition in Shanyang County, QuFu’s Chuci Xinzhu, wooden edition in Xixiang pavilion of Wang Yi’s Chuci Zhangju in Qing Dynasty and Zhang Fengyi’s annotated Chuci. The wooden edition in Yu Xinheng House in Jian’an Province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no later than1428. Later, Yang Shanglin edition in Shanyang County was introduced before 17thcentury, Xixiang Pavilion edition and QuFu’s Chuci Xinzhu, before 18thcentury, ZhengFengyi’ annotated Chuci, in 19thcentury. The 12 Korean printed versions are printed in 4 movable types and 9 editions can be clear on the is suing period. The 12 editions were once in Gengzi font, then firstly cast in Jiayin font mixed with other fort and Wushen font(castin Jiayin for fourtimes) and Xunliandujian font. The earliest publications were the Gengzi font editions in 1429 of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while the latest was the printed edition in Wencheng Hall in 1886 of Fujiazhengzong. Among the 101 Korean written versions, Li Yiming’s manuscript edition of Chuci was the first to be copied between 1689 and 1722.
      Among all the above 148 Korean literature of Chuci, the author selects some documents of literature value to do deeper research. For Chinese printed versions, the author selects the printed edition in Xixiang Hall of Wang Yi’s Chuci Zhangju and Qu Fu’s Chuci Xinzhu.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Wang Yi’s Chuci Zhangju was introduced to Joseon Dynasty no later than 18thcentury. It’s also tracked down that the publisher of this edition was the very person, MrYan, who was called YanWushun, literatus in Yuhang Strict in Ming Dynasty. Second, the author believes that ShouyeMenrenTongzi edition of QuFu’s Chuci Xinzhu in National Library of China seemed the originally printed edition. Korea University collection and the original one were both reliable editions, while the Juyi Hall edition was a bad one among several versions in 1738(Qianlong perio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ction was another edition in 1738(Qianlong period) and published later than the original edition of National Library of China collection and the edition of Ruoshui Caotang. Third, The earliest introduction of Qu Fu’s Chuci Xinzhu should be before 1756.
      For Korean printed versions, the author does researches from two aspects of printed editions of Zhu Xi’s Z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and the folk printed edition of Chuci in Joseon Kingdom perio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author finds that the reprints of the wooden editions of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in Yuxinheng House were mianly the central official edition printed in Gengzi font in 1429, the second printed edition of it after 1429, Gengzi font cover edition of locally official edition and XunJian Dujian edition. Second, in view of reprints of Yang Shanglin edition of Zhu Xi’s Chuci Jizhu in Joseon Kingdom period, the reprinted editions mainly contained metal movable type of ZhuXi’s Chuci Jizhu, Chuci Houyu and Chuci Bianzheng(Wushen font) and wooden edition(cover print in Wushen font). Besides, for Korean folk printed versions, the author selects Gengshen Year edition of Chuci and Bingxu Year edition of Fujia Zhengzong. The Gengshen Year edition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printed in 1860, and Bingxu Year edition in Jangseogak Archivers, in 1886. Bingxu Year edition was a reprint based on the Gengshen Year edition. The Gengshen Year edition was the only one of all editions collected in Korean printed Chuci that was solely compiled and annotated in Korean Peninsula, and even got published. It was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Chuci literature. For Korean written versions, the author conducts a research on the Chuci stor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isaojingjie, stored in Jangseogak Archivers.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written edition of Chuci was copied exactly by An Dingfu. Second, the author of Lisaojingjie was a literat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copied after 1779. This version has been the only one annotation edition that the author has read so far in Korea to interpret Lisao both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esides, The author selects prefaces and postscripts of Chuci recorded in Korean documents and Xuanfu Chaoping Zhujie Shanbu published in Joseon Kingdom perio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13 prefaces and postscripts of Chuci written by 10 literati in Korean works can be regarded as propagation evidence of Chuci in both Korean and Chinese history. Second, Xuanfu Chaoping Zhuije Shanbu boasted manuscript, official edition, folk printed edition and written edition. Chances were high that the official edition was published in 1630 or 1690. In addition, Xuanfu Chaoping Zhujie Shanbu reflected identification for Lisao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as a piece of fu(a lierature genre) and also showed preference for the contents of Lisao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annotated by Zhu Xi, which led to its significant literature value. The author tries to explore the propagation causes and significance of Chuci literature on the basis of collection, sorting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of Chuci. From the propagation situation where Chuci literature was constantly printed and written in Korea, its development attributes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As for internal causes, first, Qu Yuan was patriotic and loyal to the throne, always ready to enhance self-cultivation, unmoved to adhere to self principle and eager to search with no ending, yet high and low, which are also obviously reflected in Chuci works. All these characters and morals resonated with great figures with noble aspirations in history in Korean Peninsula. Second, the annotated Chuci by Zhu Xi was prin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several times was because Zhu Xi’s annotation of Chuci itself boasted great academic value. Third, Chuci was the origin of ci and fu, two types of literature genre, through which Korean literati can enrich their literary appreciation. As for external causes, first, because of the worship of Confucianism by ruling classes in Joseon Kingdom period as well a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Zhu Xi’s Theory in the early Joseon,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was got published in central government and then presented and granted to all directions, which, to a great extent, led to their publication in a large quantity in Korean Peninsula. Second, it was influenced by Korean imperial examination system. Examinees needed to read Chuci literature, which also led to their publication in Korea. Third, after the mid-1700s, the folk printed works in Korea were produced, attributing to the appearance of folk edition of Chuci. Therefore,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made the Chuci works constantly printed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bookshops, and also constantly spread and copied by readers.
      For China, the significance of propagation of Chuci literature in Korea lies in that Korean version of Chuci is a part of Korean Chuci study and also an indispensable part of Eastern Asian Chuci study, as well as important materials for Chuci literature research. For Korea, the significance of propagation of Chuci literature in Korea lies in that Korean printed edition and written edition of Chuci still exists and are stored in Korea due to the propagation in Korea in that period. Second, the literati in Korean Peninsula do not only quote classic allusions from Chuci to create poems in their creation of Han poetry and iambic, but also write down a large number of mimetic works of Lisao and assertions on Lisao research in the process of learning Chuci. Third, Qu Yuan’s morals and the thoughts in Chuci have an impact on the aspiration of literati in Korean Peninsula.
      In a word, it is a significant research project to mine and study Korean literature of Chuci. However, due to the author’s limited collection of Chuci documents, the above conclusions are just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expecting more and more archaeological discoveries or textual literature for supplement.
      번역하기

      Currently, literature of Chuci in Japan, Europe and America has been studied by scholars in Chuci circles, but Korean literature of Chuci has been of little concern and excavation, let alone complet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exploration. Therefore,...

      Currently, literature of Chuci in Japan, Europe and America has been studied by scholars in Chuci circles, but Korean literature of Chuci has been of little concern and excavation, let alone complet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exploration. Therefore, this thesis aims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research of Korean Chuci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research, the author has definitely ensured that there are 148 types of Korean editions among all the collected Chuci literature, including 28 and 7 versions printed in China and Japan,respectively, as well as 12 printed editions and 101 written editions in Korea. Among the 28 Chinese editions, the time when 5 of them were introduced has been determined. They are the wooden edition of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Chuci Houyu in Yu Xinheng House in 1321( the first year of Zhizhi in Yuan Dynasty), Zhu Xi’s Chuci Jizhu of Yang Shanglin edition in Shanyang County, QuFu’s Chuci Xinzhu, wooden edition in Xixiang pavilion of Wang Yi’s Chuci Zhangju in Qing Dynasty and Zhang Fengyi’s annotated Chuci. The wooden edition in Yu Xinheng House in Jian’an Province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no later than1428. Later, Yang Shanglin edition in Shanyang County was introduced before 17thcentury, Xixiang Pavilion edition and QuFu’s Chuci Xinzhu, before 18thcentury, ZhengFengyi’ annotated Chuci, in 19thcentury. The 12 Korean printed versions are printed in 4 movable types and 9 editions can be clear on the is suing period. The 12 editions were once in Gengzi font, then firstly cast in Jiayin font mixed with other fort and Wushen font(castin Jiayin for fourtimes) and Xunliandujian font. The earliest publications were the Gengzi font editions in 1429 of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while the latest was the printed edition in Wencheng Hall in 1886 of Fujiazhengzong. Among the 101 Korean written versions, Li Yiming’s manuscript edition of Chuci was the first to be copied between 1689 and 1722.
      Among all the above 148 Korean literature of Chuci, the author selects some documents of literature value to do deeper research. For Chinese printed versions, the author selects the printed edition in Xixiang Hall of Wang Yi’s Chuci Zhangju and Qu Fu’s Chuci Xinzhu.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Wang Yi’s Chuci Zhangju was introduced to Joseon Dynasty no later than 18thcentury. It’s also tracked down that the publisher of this edition was the very person, MrYan, who was called YanWushun, literatus in Yuhang Strict in Ming Dynasty. Second, the author believes that ShouyeMenrenTongzi edition of QuFu’s Chuci Xinzhu in National Library of China seemed the originally printed edition. Korea University collection and the original one were both reliable editions, while the Juyi Hall edition was a bad one among several versions in 1738(Qianlong perio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ction was another edition in 1738(Qianlong period) and published later than the original edition of National Library of China collection and the edition of Ruoshui Caotang. Third, The earliest introduction of Qu Fu’s Chuci Xinzhu should be before 1756.
      For Korean printed versions, the author does researches from two aspects of printed editions of Zhu Xi’s Z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and the folk printed edition of Chuci in Joseon Kingdom perio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author finds that the reprints of the wooden editions of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in Yuxinheng House were mianly the central official edition printed in Gengzi font in 1429, the second printed edition of it after 1429, Gengzi font cover edition of locally official edition and XunJian Dujian edition. Second, in view of reprints of Yang Shanglin edition of Zhu Xi’s Chuci Jizhu in Joseon Kingdom period, the reprinted editions mainly contained metal movable type of ZhuXi’s Chuci Jizhu, Chuci Houyu and Chuci Bianzheng(Wushen font) and wooden edition(cover print in Wushen font). Besides, for Korean folk printed versions, the author selects Gengshen Year edition of Chuci and Bingxu Year edition of Fujia Zhengzong. The Gengshen Year edition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printed in 1860, and Bingxu Year edition in Jangseogak Archivers, in 1886. Bingxu Year edition was a reprint based on the Gengshen Year edition. The Gengshen Year edition was the only one of all editions collected in Korean printed Chuci that was solely compiled and annotated in Korean Peninsula, and even got published. It was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Chuci literature. For Korean written versions, the author conducts a research on the Chuci stor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isaojingjie, stored in Jangseogak Archivers.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written edition of Chuci was copied exactly by An Dingfu. Second, the author of Lisaojingjie was a literat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copied after 1779. This version has been the only one annotation edition that the author has read so far in Korea to interpret Lisao both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esides, The author selects prefaces and postscripts of Chuci recorded in Korean documents and Xuanfu Chaoping Zhujie Shanbu published in Joseon Kingdom perio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13 prefaces and postscripts of Chuci written by 10 literati in Korean works can be regarded as propagation evidence of Chuci in both Korean and Chinese history. Second, Xuanfu Chaoping Zhuije Shanbu boasted manuscript, official edition, folk printed edition and written edition. Chances were high that the official edition was published in 1630 or 1690. In addition, Xuanfu Chaoping Zhujie Shanbu reflected identification for Lisao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as a piece of fu(a lierature genre) and also showed preference for the contents of Lisao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annotated by Zhu Xi, which led to its significant literature value. The author tries to explore the propagation causes and significance of Chuci literature on the basis of collection, sorting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of Chuci. From the propagation situation where Chuci literature was constantly printed and written in Korea, its development attributes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As for internal causes, first, Qu Yuan was patriotic and loyal to the throne, always ready to enhance self-cultivation, unmoved to adhere to self principle and eager to search with no ending, yet high and low, which are also obviously reflected in Chuci works. All these characters and morals resonated with great figures with noble aspirations in history in Korean Peninsula. Second, the annotated Chuci by Zhu Xi was prin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several times was because Zhu Xi’s annotation of Chuci itself boasted great academic value. Third, Chuci was the origin of ci and fu, two types of literature genre, through which Korean literati can enrich their literary appreciation. As for external causes, first, because of the worship of Confucianism by ruling classes in Joseon Kingdom period as well a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Zhu Xi’s Theory in the early Joseon,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was got published in central government and then presented and granted to all directions, which, to a great extent, led to their publication in a large quantity in Korean Peninsula. Second, it was influenced by Korean imperial examination system. Examinees needed to read Chuci literature, which also led to their publication in Korea. Third, after the mid-1700s, the folk printed works in Korea were produced, attributing to the appearance of folk edition of Chuci. Therefore,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made the Chuci works constantly printed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bookshops, and also constantly spread and copied by readers.
      For China, the significance of propagation of Chuci literature in Korea lies in that Korean version of Chuci is a part of Korean Chuci study and also an indispensable part of Eastern Asian Chuci study, as well as important materials for Chuci literature research. For Korea, the significance of propagation of Chuci literature in Korea lies in that Korean printed edition and written edition of Chuci still exists and are stored in Korea due to the propagation in Korea in that period. Second, the literati in Korean Peninsula do not only quote classic allusions from Chuci to create poems in their creation of Han poetry and iambic, but also write down a large number of mimetic works of Lisao and assertions on Lisao research in the process of learning Chuci. Third, Qu Yuan’s morals and the thoughts in Chuci have an impact on the aspiration of literati in Korean Peninsula.
      In a word, it is a significant research project to mine and study Korean literature of Chuci. However, due to the author’s limited collection of Chuci documents, the above conclusions are just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expecting more and more archaeological discoveries or textual literature for suppl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홍길주, "孰遂念", 규장각 소장본, null

      2 윤호병, "비교문학", 民音社, 1994

      3 허경진, "조선평민열전", 알마, 2014

      4 이상욱, "조선 과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 김장환, "중국문학의 갈래", 차이나하우스, 2010

      6 김장환, "중국문학의 벼리", 차이나하우스, 2010

      7 박무영, 홍길주, 이주해, "역주, 縹礱乙㡨", 태학사, 2006

      8 김동욱, "「坊刻本에 대하여」", 東方學志11권, 1970

      9 여승구, "한국 고활자의 세계", 화봉문고, 2013

      10 강태영, "雅丹文庫藏書目錄二", 아단문화기획실, 1996

      1 홍길주, "孰遂念", 규장각 소장본, null

      2 윤호병, "비교문학", 民音社, 1994

      3 허경진, "조선평민열전", 알마, 2014

      4 이상욱, "조선 과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 김장환, "중국문학의 갈래", 차이나하우스, 2010

      6 김장환, "중국문학의 벼리", 차이나하우스, 2010

      7 박무영, 홍길주, 이주해, "역주, 縹礱乙㡨", 태학사, 2006

      8 김동욱, "「坊刻本에 대하여」", 東方學志11권, 1970

      9 여승구, "한국 고활자의 세계", 화봉문고, 2013

      10 강태영, "雅丹文庫藏書目錄二", 아단문화기획실, 1996

      11 노경희, 조계영, 장유승, 이유리, 당윤희,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 소명출판, 2014

      12 孫寶基, "새판 한국의 고활자", 寶晋齎, 1982

      13 박애경, "가요 어떻게 읽을 것인가", 책세상, 2000

      14 千惠鳳, "日本篷左文庫韓國典籍", 지식산업사, 2003

      15 이배용, "조선 시대 과거 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16 박상국, 천혜봉, 이정섭, 양진조, "日本尊經閣文庫所藏韓國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17 김학주, "「조선간楚辭集注간설」", 東亞文化 제27집, 1989

      18 허경진, "통신사 필담창화집 문학연구", 보고사, 2011

      19 박상국, 천혜봉, 이정섭, "日本宮內廳書陵部韓國本目錄", 韓國海外典籍調查研究會, 2001

      20 신두환, "「韓國의 ‘楚辭’ 受容樣相硏究」", 한문고전연구 제32집, 2016

      21 허경진,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이동의 기록", 보고사, 2015

      22 남권희, 이정섭, 양진조, 박상국, "카자흐스탄 國立圖書館所藏韓國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23 김영희, 허경진, 이윤석, 박애경, 박무영, "한국 고전문학 읽기의 맥락과 지평", 민속원, 2015

      24 허경진(Hur, Kyoung-JIn), "조선 후기 과문에 나타난 장안의 심상",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제29집, 2014

      25 김학주, "조선시대 간행 중국문학 관계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6 허경진,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의 한국고서들", 웅진북스, 2003

      27 김영진, "「例軒이철환의 생애와 象山三昧」", 민족문학사연구 제27호, 2005

      28 김장환, 이영섭, "중국문학의 숨결 - 중국문학 정선 작품 감상", 학고방, 2014

      29 신두환, "「조선사인들의 ‘초사’ 수용과 그 미의식」", 근역한문학회 제30집, 2010

      30 이윤석, "조선시대 상업출판-서민의 독서, 지식과 오락의 대중화", 민속원, 2016

      31 유춘동, 허경진, "「‘구한말~일제강점기’, 외국인의 朝鮮典籍수집의 현황과 의미」", 고전번역연구 제 4집, 2013

      32 허경진,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다양한 層位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한민족 어문학 제66집,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