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임진-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의 석기분포와 형성과정 연구 = The lithic distribu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paleolithic sites in Imjin-Hantan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19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문화인류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92 p. : 채색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배기동
        참고문헌: p. 174-18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탄임진강 유역의 구석기유적들에서 보이는 유물의 출토현상들이 유적의 어떠한 형성과 퇴적후의 변형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것인가를 유물의 집중현상과 퇴적물의 종류 그리...

      본 연구는 한탄임진강 유역의 구석기유적들에서 보이는 유물의 출토현상들이 유적의 어떠한 형성과 퇴적후의 변형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것인가를 유물의 집중현상과 퇴적물의 종류 그리고 퇴적의 지형적인 환경을 상호 복합적으로 적용․고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된 유적들은 1979년 전곡리유적 발굴조사 이후에 조사된 임진-한탄강유역의 구석기유적으로 이른시기부터 늦은시기에 이르는 22개 유적의 유물이 포함된 62개 지층이 대상이 되었다. 이 지층들은 하천의 의해 형성된 사질층과 사면붕적퇴적층 그리고 풍성기원 퇴적층 등 다양한 퇴적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총 유물은 38,485점이다.
      발굴에서 나타나는 유물의 분포현상은 결국 인간행위 이후에 퇴적되고 그 이후에 지속적으로 변형된 것이라는 점에서 각 퇴적층과 유물집중면을 하나의 분석단위로 하였다. 분석에서 유물의 수평적 그리고 층위 내에서 수직적 분포의 양상을 확인하고, 각 유물층 내 석기조합이나 유물집중면의 소형석기의 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출토유물 내용과 양상들은 이미 지질학적이나 유적형성학에서 수립된 퇴적물의 형성과정에서 제시된 모델들에 적용하여 그 원인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퇴적물의 운반 에너지를 추론에 있어 퇴적물의 종류와 퇴적구조를 현대 지형과 추정되는 고지형의 구조 속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적용되는 에너지, 즉 생물학적, 중력, 압력에 의한 변형은 시간적 차원에서 그 누적적인 에너지를 추산하여 나타나는 유물분포 현상의 과정을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 퇴적층이 오래될수록 변형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② 하천범람퇴적층에서는 강한 에너지에 의한 산발적 분포와 침식과정에서의 단면 밀집도가 높은 현상이 관찰, ③ 사질층 직상부 유물층에서는 조리질현상의 집중화가 관찰, ④ 곡부 사면에서는 이동한 석기유물이 웅덩이와 같은 패인 곳의 쏠림 현상, ⑤ 사면붕적퇴적층에서는 상부에 있던 석기군이 사면붕적에 의한 퇴적과정에서 서로 다른 퇴적층에 공반되었을 가능성, ⑥ 물에 의한 에너지의 영향을 받은 곳 중 석기유물의 분급 현상이 관찰, ⑦ 이른시기의 유물층의 경우 미세지형, 생물학적 변형에 의한 수직이동의 가능성, ⑧ 유적형성과정에서 석기크기에 따라 석기조합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석기분포와 석기구성 양상에서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적형성의 변형과정은 석기조합을 비교하여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유적의 변형은 하나의 요인이 아닌 다양한 요인이 복합되어지며, 야외에 위치한 유적의 경우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이러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 변형과정은 시간과 에너지의 양과 상관성이 있으며, 석기의 산란과 집중, 석기구성의 혼합과 분리 등 반복적인 과정으로 거친다. 따라서 변형 요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그 정도에 따라서 인간해위 복원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은 목탄, 화산재, 화분 등 퇴적층 내 다양한 분석자료 역시 영향을 미치며 유적형성과정에 따라 그리고 화학적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국내의 유적형성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로서 석기분포의 변형요인을 해석하는데 지질학적 요인에 의한 모델 이외에도 생물학적․인위적 요인에 의한 여러 가지 모델이 더 많이 경우의 수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지속적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모델을 만들어가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유적형성과정에서 인간 행위에 대한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지 13
      • 제1장 서론 15
      • 1. 서론 및 연구목적 15
      • 2. 연구사 16
      • 국문요지 13
      • 제1장 서론 15
      • 1. 서론 및 연구목적 15
      • 2. 연구사 16
      • 1) 임진-한탄강 구석기 연구사 16
      • 2) 유적형성과정 연구사 19
      • 3) 연구의 필요성 22
      • 제2장 연구 방법 및 대상 23
      • 1. 연구의 이론적 배경 23
      • 2. 연구방법 30
      • 3. 연구대상 35
      • 제3장 임진-한탄강유역 현무암의 형성과정 41
      • 1. 임진-한탄강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징 41
      • 1) 연구지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징 41
      • 2) 임진-한탄강유역의 현재 유로의 특징 47
      • 2. 용암의 유출과 현무암의 형성 그리고 하천의 변화 49
      • 1) 임진-한탄강유역 현무암의 절대연대 50
      • 2) 전곡현무암과 차탄현무암의 암질 53
      • 3) 현무암의 형성과정과 하천의 변화 54
      • 3. 현무암의 형성과정과 그 시기 64
      • 제4장 현무암 상부 퇴적층의 구조와 형성과정 67
      • 1. 지역별 현무암 상부의 퇴적 구조 71
      • 1) 한탄강 상류 71
      • 2) 한탄강 중류 75
      • 3) 한탄강 하류 79
      • 4) 임진강 하류 83
      • 2. 상부 퇴적층의 형성기원과 형성시기 89
      • 1) 상부 퇴적물의 기원 89
      • 2) 현무암 상부 퇴적층의 형성시기 92
      • 3. 퇴적구조 분석을 통한 퇴적유형 설정 96
      • 1) 퇴적구조의 특징과 유물층 96
      • 2) 퇴적환경에 따른 퇴적유형의 분류 101
      • 제5장 석기분포와 유적형성과정 103
      • 1. 개별유물층 석기의 분포특성 103
      • 1) 퇴적환경별 개별유물층 집중면의 석기 분포 103
      • 2) 개별유물층의 석기분포 특징 128
      • 2. 시기별 석기의 분포양상 비교분석 132
      • 1) 시기별 석기분포 특성 132
      • 2) 이른시기와 늦은시기 구석기유적의 유형별 비교 133
      • 3) 시간적 흐름에 따른 석기의 분포 양상 변화 136
      • 3. 퇴적환경별 석기분포 양상의 특징 137
      • 1) 퇴적환경별 석기분포 양상 137
      • 2) 퇴적환경에 따른 석기분포 특성 147
      • 4. 퇴적환경별 석기구성과 특성 153
      • 1) 퇴적환경별 석기구성 양상 153
      • 2) 제작과정 개별 석기구성의 특성 156
      • 5. 임진-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의 석기분포 변형모델에 적용 158
      • 1) 석기 변형의 시간성과 에너지의 양의 상관관계 158
      • 2) 지질․생물학적 석기분포 변형모델의 적용 161
      • 제6장 결론 169
      • 참고문헌 175
      • ABSTRACT 191
      • 윤리서약서 1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주환, "『지형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2 정영화, "「전곡리유적」", 『한국구석기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1981

      3 정영화, "「영남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1983

      4 정영화, "「전곡리 구석기문화」", 『동아시아의 구석기문화』, 문화재연구소, 1992

      5 배기동, "『금파리 구석기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6 이동영, "『한국 제사기학 연구』", 혜안, 고이동동박사추모집 간행위원회, 1999

      7 김원용, 최무장, 정영화, "『한국구석기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8 조등룡, "「임진강대의 연대층서」", 『동북아 지각의 지체구조적 대비 및 지질정보 구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3-78, 2007

      9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지』18(4), 한국지형학회, 2001

      10 김태호,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18(4), 70-96, 2011

      1 김주환, "『지형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2 정영화, "「전곡리유적」", 『한국구석기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1981

      3 정영화, "「영남대학교 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1983

      4 정영화, "「전곡리 구석기문화」", 『동아시아의 구석기문화』, 문화재연구소, 1992

      5 배기동, "『금파리 구석기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6 이동영, "『한국 제사기학 연구』", 혜안, 고이동동박사추모집 간행위원회, 1999

      7 김원용, 최무장, 정영화, "『한국구석기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8 조등룡, "「임진강대의 연대층서」", 『동북아 지각의 지체구조적 대비 및 지질정보 구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3-78, 2007

      9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지』18(4), 한국지형학회, 2001

      10 김태호,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18(4), 70-96, 2011

      11 강민규, 홍성수, 이명희, 권수진, 고재용, 고수길, "『포천 중리 늘거리유적』", 기 호문화재연구원, 2016

      12 원종관, 최무장, 진명식, 정병호, 이문원, "『한탄강 지질탐사 일지』", 지성사, 2010

      13 김원용, 배기동, "「서울대학교 발굴 1979-82」", 『전곡리』. 문화재관리국, 1983

      14 심선미, 이정우, "「포천 운산리 뒷골 유적」", 한국구석기학회, 『구석기유적 발굴조사의 최근성과 제14회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발표집』, 한국구석기학회, 2014

      15 이선복, "『동북아시아 구석기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16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진인진, 진인진, 2012

      17 이선복, "「신발견 구석기유적 소개」", 『손보기선생 정년퇴임기념논총』,손보기선 생 정년퇴임기념논총사업회, 1988

      18 최무장, "『연천 남계리 구석기유적』", 문화재연구소, 1991

      19 이재, 최복규, 차재동, "『연천 전곡리 구석기유적』", 국방문화재연구원, 국방문화재연구원, 2010

      20 서대원, 이승원, 윤병일, 우종윤, "『연천 통현리 구석기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 원, 2015

      21 김연주, 최승엽, 손성진, "『철원 상사리 구석기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철원 군, 2013

      22 이해용, 최승엽, 최삼용, 최복규, 차재동, "『철원 장흥리 구석기유적』", 강원고고 학연구소, 2001

      23 차재동, "『포천 용정리 구석기유적』", 국강고고학연구소, 2013

      24 최승엽, "『강원지역의 구석기고고학』",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10

      25 이선복, "「유적의 지질고고학적 성격」",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1983

      26 박동원, "「유적의 고환경 및 지형조사」", 『전곡리』, 문화재연구소, 1983

      27 박세원, 최복규, 장준원, 이재, 이규민, 원철재, 박진우, "『포천 대회산리 구석 기유적』", 국방문화재연구원, 2015

      28 김연준, 이은미, 서인선, "『포천 중리 용수재울유적 Ⅱ』",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3

      29 高柳弘昌, "「玄武巖 年代測定」,『전곡리』",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586-588, 1983

      30 新井房夫, 이선복, 早田勉, "「아이라 Tn화산재[AT]의 신발견」", 대한지리학회, 447-454,『대한지리학회 지』제33권 3호, 1998

      31 김광호, 이대성, 유기주, "「추가령열곡의 지구조직 해석」", 『지질학회지』19-1, 대한지질학회, 19-38, 1980

      32 이철민, "「금파리 구석기유적 박편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3 배기동, "「전곡리 유적의 연대관의 변화」", 『전곡리유적의 지질학적 형성과정과 동아세아석기』, 한양대학교문화재연구소 연천군, 2003

      34 최무장, "『연천 원당리 구석기시대 유적』",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1

      35 김원용, 황용훈, 최무장, 정영화, 배기동, "『전곡리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국 립문화재연구소, 1983

      36 이해용, 최승엽, 최삼용, 최복규, 차재동, "『포천 화대리 쉼터 구석기유적』", 江原考古學硏究所, 강 원대학교 유적조사단, 2005

      37 김상태,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연구』",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12

      38 유용욱(Yoo, Yongwook), "임진-한탄강유역 구석기의 다양성", 중앙문화재연구원, 『중앙고고연구』15, 중앙문화재연 구원, 1-40, 2014

      39 배기동, "『전곡리(1986년도 발굴조사보고)』", 서울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 박물관, 1989

      40 박성권, 현남주, 임남진, 이정우, 심선미, 송윤정, "『포천 운산리 뒷골 구석기유 적』",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6

      41 이광률 ( Gwang Ryul Lee ), 이민부 ( Min Boo Lee ), "추가령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 10(2), 한국지형학회, 157-173, 2003

      42 최무장, "「전곡 구석기 유적출토 대형 석기」",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지』5-1, 한국과학 사학회, 37-41, 1983

      43 이선복, 좌용주, "「흑요석 산지 추정 연구의 재검토」", 한국구석기학회, 『한국구석기학보』31, 156-180, 2015

      44 김기룡, 이선복, 유용욱, 배기동, 김대일, "『파주 가월리 주월리 구석기 유적』",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2005

      45 이교동, 이선복, "『파주 주월리 가월리 구석기 유적』",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 과 경기도, 1993

      46 이상만, "「유적의 지질학적 조사」,『전곡리』", 문화재연구소, 1983

      47 김남신, 이민부, "「지형계측 기법을 적용한 지형분류」",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11(4), 한국지형학회, 2004

      48 최복규, "「한탄강변 철원 장흥리 구석기유적」", 한국선사고고학회, 『한국선사고고학보』6, 한국선사 고고학회, 107-114, 1999

      49 최복규, "『강원구석기 고고학의 어제와 오늘』", 주류성, 2011

      50 이동영, "「제4기 지질학과 고고학의 공동연구」", 『선사문화』2, 한국고대학회, 1994

      51 이형우, "「주먹도끼 형식에 대한 계량적 고찰」", 호남고고학회, 『호암고고학보』18, 5-25, 2003

      52 배기동, 전범환, "『연천 횡산리유적 -시굴조사보고서-』",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 소 연천군, 2004

      53 고재원, 배기동, "『전곡리구석기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양대학교문화인류학 과 연천군, 1992

      54 이동영, "「한반도의 제4기 지층의 층서적 고찰」", 『제4기학회지』1, 한국제4기학 회, 1987

      55 김종욱, 이용일, 이선복, "「장산리단구와 임진강 상류의 용암층」",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 지』11-1, 한국지형학회, 77-90, 2004

      56 차재동, "「신발견 철원 군탄리 구석기유적 연구」", 강원향토문화연구회, 『강원문화사연구』11, 강원향 토문화연구회, 2006

      57 박종현, "「임진-한탄강유역 출토 대형박편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8 이기길, "「전곡리 석기의 만듬새와 쓰임새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59 김민경, "「한강하류 구석기 유적 형성과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0 김주황, "「한탄강 일대의 지표기복에 관한 정보」", 『한국동굴학회지』72, 한국동 굴학회, 15-20, 2006

      61 성현경, "「전곡리 구석기 유적의 격지 석기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62 정영화, "「전곡리 아슐리안 양면핵석기 문화예보」", 『영대문화』11. 32-52, 1978

      63 김원용, 정영화, "「전곡리 아슐리안 양면핵석기문화 예보」", 진단학회, 『진단학보』46 47, 진단학회, 1979

      64 이동영, "「한반도 문화유적지층의 지질학적 특성」", 『고문화』49, 한국대학박물관 협회, 239-260, 1996

      65 차재동, "「임진강 중류 민통선 지역의 구석기유적」", 강원사학회, 『강원사학』21, 강원사학회, 2006

      66 김남신,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한국제4기학회, 『제4기학회지』8-1, 한 국제4기학회, 43-68, 1994

      67 배기동, "「전곡리출토 핸드엑스의 비교분석의 연구」", 서울대학교 고고학전공 문 학석사학위논문, 1980

      68 유용욱, 이선복, "『파주 장산리 구석기유적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 박물 관, 2004

      69 김상태, "「한반도 출토 흑요석기와 원산지 연구현황」", 한국구석기학회, 『한국구석기학보』6, 한국 구석기학회, 2002

      70 박성진, "「임진-한탄강 지역의 구석기시대 몸돌 분석」", 한국구석기학회, 『한국구석기학보』제1호, 한국구석기학회, 29~42, 2000

      71 박성진, "「임진-한탄강 지역의 구석기시대 몸돌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98

      72 이선복, "「임진강 유역 구석기 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34, 135-159, 1996

      73 배기동, "「전곡리 구석기조사와 한국 제4기학의 발전」", 『한국제4기학회 2006년 도 추계학술대회』, 한국제4기학회, 2-8, 2006

      74 이민부, 최한성,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 율리리 퇴적층 분석」", 『한국지형학회 지』10(1), 한국지형학회, 1-10, 2004

      75 Kennedy MUNYIKWA, 최광희, 김종옥, "「탄성파 탐사를 이용한 전곡리 퇴적층 조사」",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 39-50,『한국지형학회지』12(2), 2005

      76 최무장, "「연천 원당리 구석기유적 4차 발굴조사 성과」", 한국선사고고학회, 『한국선사고고학보』6, 한국선사고고학회, 115-127, 1999

      77 이혜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대 흑요석제 석기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78 유용욱, "「임진-한탄강유역 주먹도끼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36, 한 국고고학회, 1997

      79 정영화, "「전곡리 발굴조사 - S1W2, TR-E, S1W0를 중심으로-」", 『고문화』2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83

      80 김동완, 이선복, 유용욱, "『연천전곡농협신축부지일대 발굴조사보고서』", 서울대 학교박물관, 2006

      81 최승엽, "「강원지역 구석기 유물군의 변화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26, 강 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342, 2010

      82 이선복,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형성에 대한 신자료」",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 12-3, 한국지형학회, 2005

      83 배기동, "「전곡리출토 주먹도끼류석기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22, 한국대학 박물관협회, 1983

      84 이선복, "「임진강 유역 출토 주먹도끼 연구의 두 세 과제」", 한국구석기학회, 『한국구석기학보』, 한국구석기학회, 3-18, 2009

      85 김동완, "「임진-한탄강유역 주먹도끼류 석기의 형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6 배기동, "「전곡리 구석기유적 조사와 연구의 성과와 전망」", 『동북아세아구석기연 구』,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연천군, 55-75, 2002

      87 김윤규, 이문원, 원종관, "「추가령 알칼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자원개발연구소, 『지 질학회지』26(1), 대한지질학회, 70-81, 1990

      88 김남신, 이민부, 이광률, "「추가령 열곡 영평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 『대 한지리학회지』40(6), 716-729, 2005

      89 이민부 ( Min Boo Lee ), 한욱(Uk Han), 양철수(Chul-Soo Yang), 김남신 ( Nam Shin Kim ), "추가령 구조곡 하계망의 방향성과 프랙탈차원 해석",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37(4), 대한지질학회, 597-609, 2001

      90 최무장, 최형수,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구석기시대의 석기」", 한국선사고고학회, 『한국선사 고고학보』2, 한국선사고고학회, 9-25, 1995

      91 이승렬, "「임진강대 각성암의 지구화학 및 Nd 동위원소 특성」", 『동북아 지각의 지체구조적 대비 및 지질정보 구축』,한국지질자원연구원. 79-85, 2007

      92 이기길, "「전곡리 구석기유적의 연구-지표석기를 중심으로-」", 『고문화』27, 한국 대학박물관협회, 1-18, 1985

      93 원종관, 이문원, "「한반도에서의 제4기 화산활동과 화산암류의 특징」", 『자원개발 연구』2, 강원대학교자원개발연구소, 34-49, 1987

      94 김영연, 홍미영, 이한용, 배기동, "『전곡리구석기유적 : 2000-2001 전면시굴조사 보고서』",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연천군, 2001

      95 이민부,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지역의 지형면 분석",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 학회지』17(1), 한국지형학회, 1-14, 2010

      96 김남신, 이민부, 이광률,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42(1), 대한지리학회, 15-26, 2007

      97 배기동, "「한국의 구석기유적의 탄소연대측정치와 편년문제」", 한국제4기학회, 『제4기학회지』 15-2, 한국제4기학회, 53-73, 2001

      98 김정민, 최정헌, 전수인, 박울재, 남성수, "「전곡지역 제4기 현무암질 암석의 40AR-39AR 연대 측정」", 한국암석학회, 『암석학회지』23(4), 한국암석학회, 385-391, 2014

      99 황소희, "「한탄-임진강유역 구석기공작의 제작과정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8

      100 이선복, "「구석기고고학의 편년과 시간층위 확립을 위한 가설」", 『한국고고학보』 42, 1-22, 2000

      101 김동완, 유용욱, "「대칭으로 살펴본 임진-한탄강유역 주먹도끼의 성격」",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보』, 한국고고학회, 4-45, 2010

      102 김윤중, 한정희, 최만식, 정창식, 이인성, 이석훈, 이광식, 신형선, 박준범, 박계헌, "『지질 및 해양시료의 미량조성 및 구조분석법 연구(Ⅰ)』", 기초과학지원연 구소, UCPN00010-025-4, 34-37., 1996

      103 배기동, "「파주금파리 구석기 유적의 구덩이 유구 형성과정 연구」", 한국제4기학회, 『제4기학회 지』12-1, 한국제4기학회, 45-54, 1998

      104 조남철, 최승엽, "「철원 장흥리 구석기유적 흑요석 성분조성 및 산지 연구」", 『고 문화』7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7-82, 2009

      105 기원서, 황재하, 황상구, 김세현, "「철원분지 백악기 화성암의 암석구조적 위치 와 암석성인」", 『암석학회지』19, 암석학회, 67-86, 2010

      106 배기동, "「전곡리 구석기문화와 동북아시아 홍적세 고인류생존활동」", 『논문집』 28, 대한민국학술원, 1989

      107 이선복, "「임진강유역의 플라이스토세 전기 중초기 구석기유적 상보」", 『한국고 고학보』45, 한국고고학회, 81-105, 2002

      108 이동영, "「선사유적 지층의 형성시기와 고환경 해석을 위한 지질연구」", 『한국상 고사학보』20, 한국상고사학회, 521-546, 1995

      109 김동완, 이정은, 이선복, 유용욱, 양시은, "『전곡 도로 중2-5호선 도로개설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경기도 연천군, 2011

      110 홍혜원, "「임진-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 출토 원추형 양원추형석핵 연구」", 한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1 원종관, "「한반도에서 제4기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추가령 열곡 내에서」", 『지질 학회지』19(3), 대한지질학회, 13-25, 1983

      112 이광률, 이민부, "「추가령 열곡 내 전곡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 층서 분 석」",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20(3), 한국지형학회, 55-63, 2013

      113 김남신, 이민부, "「Hough변환과 음영기복을 이용한 추가령구조곡의 선형구조 분 석」",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38(4), 대한지질학회, 457-469, 2002

      114 양교석, "추가령 열곡내 한탄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지구과학회지』1, 13-25, 1982

      115 이선복,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방사성탄소연대와 구석기 연구의 문제」", 한국구석기학회, 『한 국구석기학보』, 한국구석기학회, 3-20, 2010

      116 김기룡, 배기동, "「한국 초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절대연대값의 고고학적인 읽 기」", 『2014한국제4기학회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제4기학회, 2014

      117 유용욱, "「임진-한탄강유역 구석기 공작의 성격 연구-주먹도끼를 중심으로」", 서 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화 석사학위논문, 1997

      118 김종욱, 이용일, 이선복, "「임진강 유역 제4기 용암대지 형성 이전의 하안단구 (장산리단구)」",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10, 한국지형학회, 19-32, 2003

      119 김정민, 최정헌, 정창식, 장호완, 김종욱, "「루미네선스 연대측정법을 이용한 전 곡현무암 연대추정: 예비결과」",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2004년 공동학술발 표회 논문집』,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2004

      120 배기동, "「전곡리구석기유적의 형성과정과 문화전통이해에 있어서의 문제점」", 『창산 김정기박사 회갑 기념논총』, 창산 김정기박사 회갑기념논총 출간외원회, 1990

      121 이형우, "「유물속성의 연구와 계량적 분석 : 전기 구석기 주먹도끼를 중심으 로」", 『한국구석기학보』, 한국구석기학회, 71-84, 2001

      122 배기동, "「한국고고학의 최근 성과와 과제 , 최근 구석기고고학의 성과와 전 망」", 『한국선사고고학보』12, 한국선사고고학회, 79-102, 2006

      123 김남신, 이민부, 이광률,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 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39(6), 833-844, 2004

      124 조남철, "「성분분석, 미세조직 및 자기적 특성에 의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 구」", 가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25 이선복, 임현수, 이용일, "『임진강 유역 구석기 유적 형성의 지질학적 배경 이해 를 위한 기초연구 Ⅰ』", 서울대학교 박물관, 2005

      126 박성진, "「뗀석기 변형에 대한 실험고고학적 연구 - 의사 잔손질된 석기를 중심 으로 -」", 『야외고고학』제15호, 한국매장문화재협회, 5-36, 2012

      127 배기동, "「구석기유적의 형성과정 - 야외유적의 유물출토 상황과 변형과정 복원 시도 -」", 『한국구석기학회』제1권, 한국고고학회, 73-83, 2000

      128 배기동, "「On the Date of the Chongokni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Geological Process of the Hantan River Basin」", 『삼불 김원용교수 정년퇴임 기 념논총』1, 83-98, 1987

      129 유용욱, "「전곡리 주먹도끼의 시간적 위치에 대한 시론 : 전곡 중2-5호선 자료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고고학』8-1, 서울경기고고학회, 2009

      130 김기룡, "「청원 만수리 구석기유적의 석기공작 비교연구-4지점 출토유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한국구석기학보』제24호, 3-18, 2011

      131 배기동, 최재호, "『보성강 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전곡리 5지 점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1

      132 전범환, "「파주 상지석리 구석기유적의 발굴조사 성과 –파주 운정 택지개발 2 지 구 17지점-」", 『제10회 학술대회 발표집』, 13-27, 한국구석기학회, 2009

      133 배기동, "「The Development of the Hantan River Basin, Korea and the Age of the Sediment on the Top of the Chongok Basalt」", 『제4기학회지』3, 한국제4기 학회, 1988

      134 이정철, "「한강 하류역 구석기유적 형성 과정의 일양상 - 파주 운정(1)지구 36-5 지점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회, 『한국구석기학보』제27집, 한국구석기학회, 3-17, 2013

      135 송무영, 신광수, "철원 부근 추가령 지구대의 지질구조 및 지표환경 해석을 위한 인공위성 영상자료 분석연구",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19(6), 한국지구과학회, 675-683, 1998

      136 이기길, "「구석기시대의 석기에서 관찰된 본 자국의 연구 - 전곡리와 수양개 유 적의 유물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3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13, 1988

      137 이정은, "「3차원 스캔을 이용한 주먹도기 제작 패턴 연구 : 임진 한탄강 유역 출 토 주먹도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8 권수진, "「포천 늘거리 후기구석기시대 유적(1지점)에서의 돌감획득과 이용양상 - 철원분지 화성암을 통해서 -」",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39 Toshiro Naruse Akira Hayashida, 유강민, 신재봉, "「전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 지인 E55S20-Ⅳ지점의 미고결 퇴적층에 대한 뢰스-고토양층 층서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40-4, 2004

      140 성영배, "「복수의 방사성 우주기원 동위원소를 이용한 매몰연대측정의 가능성 탐 구-전곡현문암과 백의층의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14,한국지형학회, 2007

      141 성영배, "「복수의 방사성 우주기원 동위원소를 이용한 매몰 연대측정의 가능성 탐구: 전곡현무암과 백의리층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 『한국지형학회지』14(2), 한국지형학회, 101-107, 2007

      142 이정철, "「한강하류역 주요 구석기유적의 사질각렬층 내 유물층에 대한 고찰 -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석기의 해석 -」", 『야외고고학』제27호, 한국매장문화 재협회, 39-62,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