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멜랑콜리, 노스탤지어, 그리고 고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5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방인을 비롯한 모든 실향인들의 귀향 본능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이 과연 무엇일지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이방인 또는 실향인이 고향을 떠올릴 때 가지는 감정들인 멜랑콜리와 노스탤지어를 먼저 다루고 있다. 그 후 고향의 본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로고스 개념 분석에 주목하고 그의 로고스의 이해를 통해 고향의 본성을 파헤치고 있다. 이렇게 한 이유는 고향이 상실된 현대 세계에서 대부분의 실향인들이 고향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로 그들의 모국어, 즉 말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고향은 결코 과거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은폐와 들통남이라는 끊임없는 과정이 일어나는 합치가 최종적으로 안착하는 곳이며, 초월자만이 품을 수 있는 것이며, 절대적인 희열을 주는, 미래의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이방인을 비롯한 모든 실향인들의 귀향 본능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이 과연 무엇일지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이방인 또는 실향인이 ...

      이 논문은 이방인을 비롯한 모든 실향인들의 귀향 본능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이 과연 무엇일지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이방인 또는 실향인이 고향을 떠올릴 때 가지는 감정들인 멜랑콜리와 노스탤지어를 먼저 다루고 있다. 그 후 고향의 본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로고스 개념 분석에 주목하고 그의 로고스의 이해를 통해 고향의 본성을 파헤치고 있다. 이렇게 한 이유는 고향이 상실된 현대 세계에서 대부분의 실향인들이 고향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로 그들의 모국어, 즉 말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고향은 결코 과거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은폐와 들통남이라는 끊임없는 과정이 일어나는 합치가 최종적으로 안착하는 곳이며, 초월자만이 품을 수 있는 것이며, 절대적인 희열을 주는, 미래의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placed people, and reflects on what “home” really is for these people which they want to go back to so badly. For this, the paper deals with emotions such as melancholy and nostalgia which these people suffer when they think of the home. After doing that, to grasp the nature of the hom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ogos which M. Heidegger elaborates. By understanding his suggestion on the concept of logos, this paper scrutinizes the nature of the home. The reason for such is that in modern society where the home is lost to the most of the people, the displaced persons find their home in their mother-tongue languag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ome is not the one belongs to the past, but the future. Also, this paper shows the home is the place where the agreement takes place finally through the constant processes of concealment and revealment, where only those who are transcendental possess, and where provides the joy for the those who are yearning for the home.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placed people, and reflects on what “home” really is for these people which they want to go back to so badly. For this, the paper deals with emotions such as melancholy and nostalgia which these people suffer when they...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placed people, and reflects on what “home” really is for these people which they want to go back to so badly. For this, the paper deals with emotions such as melancholy and nostalgia which these people suffer when they think of the home. After doing that, to grasp the nature of the hom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ogos which M. Heidegger elaborates. By understanding his suggestion on the concept of logos, this paper scrutinizes the nature of the home. The reason for such is that in modern society where the home is lost to the most of the people, the displaced persons find their home in their mother-tongue languag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ome is not the one belongs to the past, but the future. Also, this paper shows the home is the place where the agreement takes place finally through the constant processes of concealment and revealment, where only those who are transcendental possess, and where provides the joy for the those who are yearning for the ho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멜랑콜리
      • Ⅲ. 노스탤지어
      • Ⅳ. 고향이란 무엇인가
      • [국문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멜랑콜리
      • Ⅲ. 노스탤지어
      • Ⅳ. 고향이란 무엇인가
      • Ⅴ. 말로서의 고향 또는 고향으로서의 말
      • Ⅵ. 나가는 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철규, "그리스 비극: 인간과 역사에 바치는 애도의 노래" 한길사 2007

      2 임철규, "귀환" 한길사 2009

      3 김광기, "관용과 환대, 그리고 이방인: 하버마스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6 (36): 133-160, 2012

      4 Heidegger, M., "…Poetically Man Dwells…, In Poetry, Language, and Thought" Harper & Row 1971

      5 Davis, Fred, "Yearning for Yesterday: A Sociology of Nostalgia" The Free Press

      6 Heller, Agnes, "Where Are We at Home?" 41 (41): 1-18, 1995

      7 Samuel, Raphael, "Theatres of Memory: Past and Present in Contemporary Culture" Verso 1994

      8 Lukács, Georg, "The Theory of The Novel" MIT Press 1971

      9 Radstone, Susannah, "The Sexual Politics of Time: Confession, Nostalgia, Memory" Routledge 2007

      10 Simmel, Georg, "The Philosophy of Money" Routledge 1978

      1 임철규, "그리스 비극: 인간과 역사에 바치는 애도의 노래" 한길사 2007

      2 임철규, "귀환" 한길사 2009

      3 김광기, "관용과 환대, 그리고 이방인: 하버마스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6 (36): 133-160, 2012

      4 Heidegger, M., "…Poetically Man Dwells…, In Poetry, Language, and Thought" Harper & Row 1971

      5 Davis, Fred, "Yearning for Yesterday: A Sociology of Nostalgia" The Free Press

      6 Heller, Agnes, "Where Are We at Home?" 41 (41): 1-18, 1995

      7 Samuel, Raphael, "Theatres of Memory: Past and Present in Contemporary Culture" Verso 1994

      8 Lukács, Georg, "The Theory of The Novel" MIT Press 1971

      9 Radstone, Susannah, "The Sexual Politics of Time: Confession, Nostalgia, Memory" Routledge 2007

      10 Simmel, Georg, "The Philosophy of Money" Routledge 1978

      11 Starobinski, Jean, "The Idea of Nostalgia" 14 (14): 81-103, 1966

      12 Boym, Svetlana, "The Future of Nostalgia" Basic Books 2001

      13 Heidegger, M., "The Fundamental Concepts of Metaphysics: World, Finitude, Solitud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5

      14 Margalit, Avishai, "The Ethics of Mem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15 Heidegger, M., "Sprache und Heimat, In Denkerfahrungen, 1910-1976" V. Klostermann 1983

      16 Peters, Roderick,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Aim of Nostalgia" 30 (30): 135-148, 1985

      17 Stewart, Susan, "On Longing: Narratives of the Miniature, the Gigantic, the Souvenir, the Collection" Duke University Press 1993

      18 Zjiderveld, Anton, "On Cliché: The Supersedure of Meaning by Function in Modernity" Routledge & Keagan Paul 1979

      19 Derrida, J., "Of Hospital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20 McCann, Willis H., "Nostalgia: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udy" 62 (62): 97-104, 1943

      21 Lowenthal, David, "Nostalgia tells it like it wasn’t, In The Imagined Past: History and Nostalg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9

      22 Kristeva, Julia, "Nations Without Nation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23 Derrida, J., "Monolingualism of the Other: or, The Prosthesis of Origi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24 Adorno, T. W., "Minima Moralia: Reflections on a Damaged Life" Verso 2005

      25 Gehlen, A., "Man: His Nature and Place in The World"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26 Hutcheon, Linda, "Irony, Nostalgia, the Postmodern, In Methods for a Study of Literature as Cultural Memory: Stud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Rodopi 189-207, 2000

      27 Heidegger, M., "Introduction to Metaphysics" Yale University Press 2000

      28 Mulhall, Stephen, "Inheritance and Originality: Wittgenstein, Heidegger, Kierkegaa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9 Bambach, Charles, "Heidegger’s Roots: Nietzsche, National Socialism, and the Greeks"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30 Bauman, Zygmunt, "Globalization: The Human Consequenc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31 Casey, Edward S., "Getting Back into Place: Toward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Place-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32 Phillips, James, "Distance, Absence and Nostalgia" SUNY Press 64-75, 1985

      33 Heidegger, M., "Die Sprache Johann Peter Hebels, In Denkerfahrungen, 1910-1976" V. Klostermann 1983

      34 Heidegger, M., "Contributions to Philosoph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35 Heidegger, M., "Being and Time" Harper & Row 1962

      36 Heller, Agnes, "A Theory of Modernity" Blackwell 1999

      37 Berger, Peter L., "A Far Glory: The Quest for Faith in an Age of Credulity" Anchor Books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7 2.1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