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독일인들」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의 친화적 상관관계 고찰 - 역사적 성좌구조와 희망의 불꽃 = Eine Betrachtung über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in Zusammenhang mit seinen Geschichtsthes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3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Bedeutungen und konstruktive Merkmale von Benjamins Deutsche Menschen auf Grundlage der wichtigsten Thesen, die er in seinem Aufsatz Ü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 (1940) aufstellt. Viel deutet darauf hin, dass Benjamin mit dieser kommentierten Zusammenstellung alter Briefe praktisch vorwegnimmt, was er später in seinen geschichtsphilosophischen Thesen theoretisch erörtert. Vor allem hatte Benjamin bereits die historische Aufgabe im Blick, die er dem Historiker später in seinem Geschichtsbegriff-Essay übertrug. Deutsche Menschen ist der Versuch, die vergangenen Bilder des deutschen Bürgertums, das in bestimmten historischen Zeiten florierte und danach im Untergang begriffen war, lebendig zu erfassen. Dabei zeigt die Briefsammlung bereits die monadologische Vorstellung, die in seinen geschichtsphilosophischen Thesen zentral wird. Mit anderen Worten versteht Benjamin die einzelnen Briefe jeweils als Monaden, die einen bestimmten gesamten Zeitraum im Inneren bewahren. Darüber hinaus hat Benjamin die Briefe so angeordnet, dass sie als historische Konstellationstruktur zitierbar und erkennbar werden. Im engen Zusammenhang dazu enthalten die alten Brieftexte insgeheim “Funken der Hoffnung”, die laut der geschichtsphilosophischen Thesen “anzufachen” sind. Im Geschichtsthesen-Essay setzt Benjamin also seinen geschichtsphilosophischen Gedanken über jene Hoffnungsfunken, die im individuellen Schreiben zu finden sind, ohne Unterbrechung fort.
      번역하기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Bedeutungen und konstruktive Merkmale von Benjamins Deutsche Menschen auf Grundlage der wichtigsten Thesen, die er in seinem Aufsatz Ü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 (1940) aufstellt. Viel deutet darauf hin, dass Benj...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Bedeutungen und konstruktive Merkmale von Benjamins Deutsche Menschen auf Grundlage der wichtigsten Thesen, die er in seinem Aufsatz Ü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 (1940) aufstellt. Viel deutet darauf hin, dass Benjamin mit dieser kommentierten Zusammenstellung alter Briefe praktisch vorwegnimmt, was er später in seinen geschichtsphilosophischen Thesen theoretisch erörtert. Vor allem hatte Benjamin bereits die historische Aufgabe im Blick, die er dem Historiker später in seinem Geschichtsbegriff-Essay übertrug. Deutsche Menschen ist der Versuch, die vergangenen Bilder des deutschen Bürgertums, das in bestimmten historischen Zeiten florierte und danach im Untergang begriffen war, lebendig zu erfassen. Dabei zeigt die Briefsammlung bereits die monadologische Vorstellung, die in seinen geschichtsphilosophischen Thesen zentral wird. Mit anderen Worten versteht Benjamin die einzelnen Briefe jeweils als Monaden, die einen bestimmten gesamten Zeitraum im Inneren bewahren. Darüber hinaus hat Benjamin die Briefe so angeordnet, dass sie als historische Konstellationstruktur zitierbar und erkennbar werden. Im engen Zusammenhang dazu enthalten die alten Brieftexte insgeheim “Funken der Hoffnung”, die laut der geschichtsphilosophischen Thesen “anzufachen” sind. Im Geschichtsthesen-Essay setzt Benjamin also seinen geschichtsphilosophischen Gedanken über jene Hoffnungsfunken, die im individuellen Schreiben zu finden sind, ohne Unterbrechung f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독일인들」의 의미와 구성적 특징을 그의 「역사의 개념에 하여」의 주요테제들에 기반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벤야민의 편지모음집에서 그의 역사철학적 방법론의 맹아들이 발견되고 있다. 즉 옛 매체인 편지를 수집한 벤야민의 편지모음집은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형성된 독일 시민계급의 지나간 이미지를 생생하게 포착하려는 시도이며 이때 이 편지모음집은 역사개념 에세이의 역사적 유물론 자가 중시하는 모나드적 구성의 원칙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벤야민은 수집된 편지들을 한 시대 전체를 내부에 간직하고 있는 모나드들로 간주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벤야민은 「독일인들」의 개별 편지들이 하나의 전체를 이루어 역사적 성좌구조의 구성요소로서 상기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있다. 역사개념 에세이와 마찬가지로 「독일인들」에서도 <진정한> 전승의 문제는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어떻게 <과거의 진정한 이미 지>를 붙잡을 수 있느냐라는 질문에서 <전승>의 문제가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와 긴밀히 결부되어 역사개념 에세이가 점화시키고자 한 <희망의 불꽃>을 옛 편지텍스트들이 은밀히 간직하고 있으며, 이렇게 벤야민은 미시적인 개별 편지들에서 발견했던 <희망의 불꽃>에 대한 역사철학적 사유를 이후에도 거시적인 역사서술이라는 차원에서 중단 없이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독일인들」의 의미와 구성적 특징을 그의 「역사의 개념에 하여」의 주요테제들에 기반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벤야민의 편지모음집에서 그의 역...

      본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독일인들」의 의미와 구성적 특징을 그의 「역사의 개념에 하여」의 주요테제들에 기반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벤야민의 편지모음집에서 그의 역사철학적 방법론의 맹아들이 발견되고 있다. 즉 옛 매체인 편지를 수집한 벤야민의 편지모음집은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형성된 독일 시민계급의 지나간 이미지를 생생하게 포착하려는 시도이며 이때 이 편지모음집은 역사개념 에세이의 역사적 유물론 자가 중시하는 모나드적 구성의 원칙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벤야민은 수집된 편지들을 한 시대 전체를 내부에 간직하고 있는 모나드들로 간주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벤야민은 「독일인들」의 개별 편지들이 하나의 전체를 이루어 역사적 성좌구조의 구성요소로서 상기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있다. 역사개념 에세이와 마찬가지로 「독일인들」에서도 <진정한> 전승의 문제는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어떻게 <과거의 진정한 이미 지>를 붙잡을 수 있느냐라는 질문에서 <전승>의 문제가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와 긴밀히 결부되어 역사개념 에세이가 점화시키고자 한 <희망의 불꽃>을 옛 편지텍스트들이 은밀히 간직하고 있으며, 이렇게 벤야민은 미시적인 개별 편지들에서 발견했던 <희망의 불꽃>에 대한 역사철학적 사유를 이후에도 거시적인 역사서술이라는 차원에서 중단 없이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벤야민, 발터, "서사, 기억, 비평의 자리" 도서출판 길 2012

      2 임석원, "발터 벤야민의 『독일인들』의 휴머니즘에 대한 성찰" 한국독어독문학회 59 (59): 99-120, 2018

      3 벤야민, 발터, "발터 벤야민 선집 5.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초현실주의 외" 도서출판 길 327-350, 2008

      4 벤야민, 발터, "발터 벤야민 선집 2.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도서출판 길 151-196, 2007

      5 벤야민, 발터, "괴테의 친화력" 도서출판 길 2012

      6 Benjamin, Walter, "Werke und Nachlaß. Kritische Gesamtausgabe. Bd. 10. Deutsche Menschen" 2008

      7 Brodersen, Momme,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9-22, 2008

      8 Oesterle, Günter,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91-110, 2008

      9 Hahn, Barbara,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68-80, 2008

      10 Diers, Michael,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23-44, 2008

      1 벤야민, 발터, "서사, 기억, 비평의 자리" 도서출판 길 2012

      2 임석원, "발터 벤야민의 『독일인들』의 휴머니즘에 대한 성찰" 한국독어독문학회 59 (59): 99-120, 2018

      3 벤야민, 발터, "발터 벤야민 선집 5.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초현실주의 외" 도서출판 길 327-350, 2008

      4 벤야민, 발터, "발터 벤야민 선집 2.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도서출판 길 151-196, 2007

      5 벤야민, 발터, "괴테의 친화력" 도서출판 길 2012

      6 Benjamin, Walter, "Werke und Nachlaß. Kritische Gesamtausgabe. Bd. 10. Deutsche Menschen" 2008

      7 Brodersen, Momme,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9-22, 2008

      8 Oesterle, Günter,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91-110, 2008

      9 Hahn, Barbara,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68-80, 2008

      10 Diers, Michael, "Walter Benjamins Deutsche Menschen" 23-44, 2008

      11 Adorno, Theodor W., "Noten zur Literatur" 686-692, 1981

      12 Schöne, Albrecht, "Juden in der deutschen Literatur" 350-365, 1986

      13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GS. Bd. V-1" 1998

      14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GS. Bd. IV-2" 942-963, 1991

      15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GS. Bd. I-2" 691-704, 1991

      16 Benjamin, Walter, "Gesammelte Schriften (GS). Bde. I-VII" 149-233, 1991

      17 Gagnebin, Jeanne Marie, "Benjamin Handbuch. Leben-Werk-Wirkung" 284-300,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2-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Germanistik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KCI등재
      2018-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독일문학 -> 독어독문학
      외국어명 : DOKIL MUNHAK -> Koreanische Zeitschrift für Germanistik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5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