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 대중화와 역사 왜곡의 문제 = On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Distortion of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4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 대중화와 역사 왜곡의 문제권 태 경*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 드라마, 역사 예능 등 역사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준 역사 대중화와 이로 인한 역사 왜곡의 문제를 다루는 ...

      역사 대중화와 역사 왜곡의 문제권 태 경*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 드라마, 역사 예능 등 역사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준 역사 대중화와 이로 인한 역사 왜곡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역사 대중화에 대한 실제와 역사 왜곡의 문제를 논할 것이다. 역사 대중화가 가진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로 인한 역사 왜곡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역사 대중화로 인하여 나타난 역사 왜곡의 사례를 역사 스타강사(설민석)와 역사 드라마( 조선 구마사 사태)를 통해 구체적인 역사왜곡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역사 대중화를 위한 역사가의 책임이 무엇인지 다루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역사 대중화로 인해 야기되는 역사 왜곡의 문제에 역사가들이 비판적인 입장에만 머물지 말고 더 책임성을 갖고 역사 대중화에 역사가의 참여와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핵심어: 역사대중화, 역사왜곡, 영상역사학, 역사 예능, 역사 드라마















      □ 접수일: 2022년 8월 31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총신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Professor, Chongshin Univ., Email:7361234@gmail.com)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Distortion of HistoryTaekyoung Kw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shown through TV programs and historical dramas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The resea...

      On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Distortion of HistoryTaekyoung Kw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shown through TV programs and historical dramas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The research methods will discuss the issues of historical distortions and the realities of popularization of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caused by it. I will look at examples of historical distortion caused by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through TV program (star lecturer of Mr Seol) and a historical drama(Joseon Exorcist) and finally, I would like to deal the historian's responsibility for popularizing history.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through this study is that historians should not stand in a critical position on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caused by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but rather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the role of historians is needed.


      Key Words: Popularization of History, Distortion of History, Media History, History Entertainment, History Dram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TVN, "철인왕후"

      2 권태경, "창조적인 역사학을 위하여" 솔로몬 1994

      3 김경림, "중국 사극인줄 조선구마사 역사왜곡에 광고기업들 손절"

      4 SBS, "조선구마사, 사과문"

      5 김기덕, "정보화시대의 역사학 : ‘映像歷史學’을 제창한다" 75 : 14-, 2000

      6 로버트 로젠스톤(Robert Resenstone), "영화 역사" 소나무 2002

      7 정다함, "역사학은 어떻게 “예능”이 되었나- 2000년대 이후 한국사의 대중화와 TV 미디어의 여러 문제들 -" 한국사연구회 (183) : 105-148, 2018

      8 이진순, "역사의 판단에 맡겨? 역사가 쓰레기통이냐?"

      9 최태성, "역사의 쓸모" 다산초당 2009

      10 김상민, "역사의 대중화인가 역사인식의 왜곡인가" 4-6, 2006

      1 TVN, "철인왕후"

      2 권태경, "창조적인 역사학을 위하여" 솔로몬 1994

      3 김경림, "중국 사극인줄 조선구마사 역사왜곡에 광고기업들 손절"

      4 SBS, "조선구마사, 사과문"

      5 김기덕, "정보화시대의 역사학 : ‘映像歷史學’을 제창한다" 75 : 14-, 2000

      6 로버트 로젠스톤(Robert Resenstone), "영화 역사" 소나무 2002

      7 정다함, "역사학은 어떻게 “예능”이 되었나- 2000년대 이후 한국사의 대중화와 TV 미디어의 여러 문제들 -" 한국사연구회 (183) : 105-148, 2018

      8 이진순, "역사의 판단에 맡겨? 역사가 쓰레기통이냐?"

      9 최태성, "역사의 쓸모" 다산초당 2009

      10 김상민, "역사의 대중화인가 역사인식의 왜곡인가" 4-6, 2006

      11 이하나,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한국사학회 (121) : 7-40, 2016

      12 정종복, "역사영화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32) : 193-243, 2018

      13 사라 마자(Sarah Maza), "역사에 대해 생각하기" 책과함께 2019

      14 김은경, "역사문화콘텐츠 전공 교육의 현실과 전망-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0 : 203-241, 2011

      15 주성지, "역사대중화와 디지털 역사자료-역사소비의 변곡-" 한국역사민속학회 (55) : 23-54, 2018

      16 류승주, "역사대중화로의 길" 41 : 22-23, 2000

      17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 함께 2007

      18 권태경, "역사교육에서 역사영화의 활용" 인문사회 21 10 (10): 919-932, 2019

      19 설민석, "역사 왜곡에 대한 사과문"

      20 오항녕, "역사 대중화와 역사학 - 역사의 향유와 모독사이 -" 한국역사연구회 (100) : 91-128, 2016

      21 오종록, "역사 대중화에 대한 제언" 31 : 10-15, 1998

      22 김재원,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에서의 한국사 콘텐츠 생산과 판매 - 팟캐스트(Podcast)와 유튜브(YouTube)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83) : 1-35, 2018

      23 곽민수, "설민석의 역사 왜곡에 대한 입장"

      24 MBC, "선을 넘는 녀석들"

      25 차하순, "새로 고쳐 쓴 역사의 본질과 인식" 학연사 2007

      26 TVN, "벌거벗은 세계사"

      27 린 헌트(Lynn Hunt), "무엇이 역사인가?" 프롬북스 2019

      28 유성운, "링컨도 흡혈귀됐다. 조선 구마사 폐지, 中과 뭐가 다른가"

      29 서재석, "디지털시대의 역사읽기" 57 : 310-333, 2001

      30 샘 와인버그(Sam Wineburg), "내 손안에 스마트폰이 있는데,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휴머니스트 2019

      31 정병설, "길 잃은 역사 대중화―이덕일의 『사도세자의 고백』에 대한 비판" 역사문제연구소 (94) : 329-360, 2011

      32 권태경, "기독교세계관과 역사" 그리심 2002

      33 권태경,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나오는 삽화에 대한 고찰 -종교개혁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0 (10): 1685-1700, 2019

      34 김기봉, "‘민족사 암기과목’ 되면 독약 ‘세계 속 한국’ 시민교육 절실"

      35 최형국, "TV 역사물의 考證 한계와 그 대안- KBS 다큐멘터리 <의궤 8일간의 축제>의 무예사·군사사 고증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14) : 83-124, 2014

      36 Oakeshott, Michael, "On History and Other Essays" Liberty Fund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