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성별, 연령 및 다문화 유아 접촉 경험에 따른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 및 다문화 가족에 대한 편견 =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race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3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인종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유아의 편견이 유아의 성별, 나이 및 다문화 유아에 대한 노출 경험에 따라 다른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3∼5 세...

      이 연구의 목적은 인종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유아의 편견이 유아의 성별, 나이 및 다문화 유아에 대한 노출 경험에 따라 다른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3∼5 세 유아 273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유아들을 개별 인터뷰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테스트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종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인과 백인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은 다문화 유아 노출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문화 유아와 상호작용 경험이 있는 유아들은 그렇지 않은 유아들보다 흑인에 대해 더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 유아에 대한 편견은 유아의 나이와 다문화 유아와의 상호작용 경험에 따라 크게 달랐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아들은 남아들보다 인종과 다문화 가족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다른 인종과 다문화 가족의 유아들에 대한 유아들의 긍정적인 인식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했다. 따라서 인종적 고정관념이 조기에 시작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아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교류 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힐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 s perceptions of race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experienc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273 3- to 5-year-old children.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 s perceptions of race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experienc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273 3- to 5-year-old children. For data collection, children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asked to respond to given questionnaires. Additionally, their mothers and teachers were also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ng children’s perceptions of race differed by their sex and age. Their perceptions of Asian and Caucasian individuals did not differ by their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children who had been exposed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play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black individuals. Second, the children’s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and experience, but did not differ by sex. Third, girl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people of different rac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an boys. Children’s positive perceptions of people of different rac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lso increased with age. Given that racial stereotypes start early, it is necessary to re-design multicultural education by giving children more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those from different backgroun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운석,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 현황: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1-39, 2010

      2 송영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 지종화, "한국의 다문화 국가 현상과 새로운 정책모형"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109-136, 2009

      4 김정화, "한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문화다양성태도 영향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83-210, 2010

      5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6 金京美, "취학전 아동의 성역할 식별 및 선호발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1

      7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9 권재기,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 -잠재계층 성장분석(LCGA)⋅다집단 성장혼합모형(GMM)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4) : 95-126, 2011

      10 정현숙, "중학생의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 서운석,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 현황: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1-39, 2010

      2 송영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 지종화, "한국의 다문화 국가 현상과 새로운 정책모형"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109-136, 2009

      4 김정화, "한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문화다양성태도 영향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83-210, 2010

      5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6 金京美, "취학전 아동의 성역할 식별 및 선호발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1

      7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8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9 권재기,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 -잠재계층 성장분석(LCGA)⋅다집단 성장혼합모형(GMM)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4) : 95-126, 2011

      10 정현숙, "중학생의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황은정,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지침 및 평가체계 개발" 보건복지부 2005

      12 권경자,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이 중학생의 통합교육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최은자, "일반학급학생의 통합교육 경험이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박찬옥,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방법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83-403, 2010

      15 김현주, "유아의 편견인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장영희, "유아의 인종 인식에 대한 연구" 19 (19): 95-110, 1999

      17 안라리, "유아의 성, 연령, 또래 관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8 : 105-124, 2002

      18 신유림, "유아의 또래 괴롭힘 피해에 대한 유아 개인 및 학급 맥락의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7 (27): 13-20, 2009

      19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Ⅲ : 다문화주의의 적용" 21 (21): 11-30, 2010

      20 강현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이해가 다문화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07-228, 2016

      21 이윤진, "유아 부모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적 자녀양육 현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원숙연, "외국인 정책에 대한 공무원 인식의 역학: 서울시 25개 구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85-112, 2013

      23 배지희,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9-54, 2014

      24 류미향, "영유아 또래 괴롭힘 및 따돌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효능감" 512-, 2015

      25 황선이, "역할놀이 중심의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인종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6 김선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 편견 및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73-96, 2017

      27 고아라, "수도권 초등학생의 인종 편견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8 최미순, "세계 여러 나라 전통놀이를 통한 다문화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9 지술현,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81-105, 2011

      30 성구진, "반편견(anti-bias) 그림 동화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31 고경자, "매스미디어가 조장하는 다문화 청소년의 부정적인 성(性) : 편견과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6 (6): 111-136, 2017

      32 차금안, "동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33 민성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83-206, 2009

      34 김정연, "다문화실천가의 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35 최연경,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6 유난영,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 김포시 일반 청소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2008

      37 최혜지,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7) : 405-439, 2011

      38 정수진, "다문화 시대 한국 청소년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발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9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40 지영주,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41 최경숙,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가족구조 및 이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2 정순영,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가족구조 및 이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3 이종일, "다문화 교육에서 ‘다양성’의 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05-120, 2010

      44 황지민, "다문화 가족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들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2): 174-210, 2012

      45 박찬옥, "기본 교육과정으로서의 유아 다문화 교육 적용 효과"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0) : 165-194, 2011

      46 유향선, "그림책과 영상매체를 활용한 다문화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인종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37-164, 2013

      47 문병기, "국내체류 아동에 대한 실태조사" 법무부 2018

      48 양영자, "가족 연계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49 David S. J. Hawker, "Twenty Years' Research on Peer Victimization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A Meta‐analytic Review of Cross‐sectional Studies" Wiley 41 (41): 441-455, 2008

      50 David J. Kelly, "Three-month-olds, but not newborns, prefer own-race faces" Wiley 8 (8): F31-F36, 2005

      51 Hall, N. S., "The affective curriculum : Teaching the anti-bias approach to young children" Nelson Canada 1995

      52 Ramsey, P. G., "Teaching and learning in a diverse worl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College Press 1987

      53 Christine A. Fawcett, "Similarity predicts liking in 3-year-old children" Elsevier BV 105 (105): 345-358, 2010

      54 J. K. Morland, "Racial Recognition by Nursery School Children in Lynchburg, Virginia" Oxford University Press (OUP) 37 (37): 132-137, 1958

      55 Mary Kircher, "Racial Preferences in Young Children" JSTOR 42 (42): 2076-2078, 1971

      56 Kinzler, K. D., "Preschoolers’ use of accent when deciding which informant to trust" 14 : 106-111, 2011

      57 Statham, J. A., "Non traditional sex role socialisation: Parents' perceptions of non-sexist childrearing" The Open University 1984

      58 Blakemore, J., "Gender development" Psychology Press 2009

      59 Bolivar Reyes-Jaquez,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relative weighing of informants' social attribut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49 (49): 602-613, 2013

      60 Ashmore, R. D., "Cognitive processes in stereotyping and intergroup behavior" Erlbaum 1-36, 1981

      61 Doran C. French,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with Older, Younger, and Same-Age Peers" SAGE Publications 4 (4): 63-86, 2016

      62 Aboud, F. E., "Children and prejudice" Basil Blackwell 1988

      63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