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장놀이의 인지적 구조를 통한 허구 감상의 문제 해결 = Solving the Problems of Fiction - Focused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Pretend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81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장놀이란 대표적으로 어린이들의 소꿉놀이나 역할극을 말하는데, 가장놀이가 발생할 때 우리 마음이 어떤 인지적 구조(cognitive structure)를 취하는지 규 명하는 심리철학/인지과학적 이론으로 설득력을 인정받는 이론들 중 하나는 바로 션 니콜스와 스티븐 스티치(Shaun Nichols and Stephen Stich)의 단일코드 이론 (Single-Code Theory)이다. 이들 중 니콜스는 가장놀이를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가장놀이와 허구 감상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단일코드 이론이 허구 감상과 관련된 여러 철학적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허구 감상의 대표적인 문제인 허구의 패러독스, 허구 속의 허구, 상상적 저항의 문제를 단일코드 이론으로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니콜스의 시도를 살펴보고, 그 시도가 가지는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장점은 가장놀이가 발생할 때의 마음의 구조를 밝 힌후, 밝혀진그림을통해허구감상과관련된여러문제를한꺼번에동일한방식 으로해결할수있다는것이다. 그러나본고는이러한장점뒤에심각한문제가숨 어있다고 지적하는데, 그러한 일괄적 해결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바로 그 요소가 단일코드 이론의 핵심을 뒤흔들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가장놀이란 대표적으로 어린이들의 소꿉놀이나 역할극을 말하는데, 가장놀이가 발생할 때 우리 마음이 어떤 인지적 구조(cognitive structure)를 취하는지 규 명하는 심리철학/인지과학적 이론으...

      가장놀이란 대표적으로 어린이들의 소꿉놀이나 역할극을 말하는데, 가장놀이가 발생할 때 우리 마음이 어떤 인지적 구조(cognitive structure)를 취하는지 규 명하는 심리철학/인지과학적 이론으로 설득력을 인정받는 이론들 중 하나는 바로 션 니콜스와 스티븐 스티치(Shaun Nichols and Stephen Stich)의 단일코드 이론 (Single-Code Theory)이다. 이들 중 니콜스는 가장놀이를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가장놀이와 허구 감상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단일코드 이론이 허구 감상과 관련된 여러 철학적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허구 감상의 대표적인 문제인 허구의 패러독스, 허구 속의 허구, 상상적 저항의 문제를 단일코드 이론으로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니콜스의 시도를 살펴보고, 그 시도가 가지는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장점은 가장놀이가 발생할 때의 마음의 구조를 밝 힌후, 밝혀진그림을통해허구감상과관련된여러문제를한꺼번에동일한방식 으로해결할수있다는것이다. 그러나본고는이러한장점뒤에심각한문제가숨 어있다고 지적하는데, 그러한 일괄적 해결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바로 그 요소가 단일코드 이론의 핵심을 뒤흔들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Nichols’ endeavor to apply his single-code theory to address three significant issues concerning our emotional or moral reactions to fictional artworks: the paradox of fiction, the puzzle of iterated fiction, and the problem of imaginative resistance. Nichols’ single-code theory initially seeks to elucidate the cognitive architecture of our minds during pretend play, and it is widely regarded as a compelling explanation for this type of play. Nichols contends that his theory can also effectively deal with the three issues of fiction, given th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pretend play and our reactions to fiction. Upon careful examination of his attempt, I argue that while the single-code theory can offer a unified and consistent approach to addressing the issues of fiction, the very element that enables this advantage might pose a threat to the theory itself.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Nichols’ endeavor to apply his single-code theory to address three significant issues concerning our emotional or moral reactions to fictional artworks: the paradox of fiction, the puzzle of iterated fiction, and ...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Nichols’ endeavor to apply his single-code theory to address three significant issues concerning our emotional or moral reactions to fictional artworks: the paradox of fiction, the puzzle of iterated fiction, and the problem of imaginative resistance. Nichols’ single-code theory initially seeks to elucidate the cognitive architecture of our minds during pretend play, and it is widely regarded as a compelling explanation for this type of play. Nichols contends that his theory can also effectively deal with the three issues of fiction, given th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pretend play and our reactions to fiction. Upon careful examination of his attempt, I argue that while the single-code theory can offer a unified and consistent approach to addressing the issues of fiction, the very element that enables this advantage might pose a threat to the theory itself.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