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대 온두라스 경제통상 관계 증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omoting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Hondur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9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온두라스에 대한 통상증진 방안과 온두라스 산업환경을 분석하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중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온두라스와는 FTA가 2019년 10월에 부분 발효가 이루어졌으나 COVID19 영향으로 FTA 효과를 크게 볼 수 없었다. 양국 간 수출입 통계를 집계한 이래 한국의 대 온두라스 수출 최고 금액은 한국과 FTA를 체결하기 이전인 2012년 1.56억 달러였으며, 수입은 2011년 1.42억 달러를 정점으로 찍은 이래 아직 이 수치를 초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중미 FTA 발효로 인한 양 지역 간 교역과 투자도 활발하게 전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온두라스 등 중미지역 국가들의 경우에는 소규모 내수시장의 한계로 인해 대기업의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따라서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타당성 조사 사업 또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정책 자문이나 공동컨설팅사업을 통해 타당성이나 수요 등에서 가능성이 증명된 프로젝트를 위주로 대기업 또는 공기업이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제안서를 만들어 전문 중소기업과 연계하여 온두라스에 진출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중미지역에 특화된 지역 및 통상전문가, 프로젝트 전문가를 양성하여 한국-중미 FTA 활용을 극대화하고, 중미통합은행 또는 미주개발은행에서 발주하는 중미 각국 사회간접자본(SOC) 등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유관 기업에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중미 FTA가 2021년 3월 전체 발효된 이후에도 관세 자유화 효과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온두라스 양국 간 교역 및 투자 증진을 위한 여러 요인을 분석하고, 활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온두라스에 대한 통상증진 방안과 온두라스 산업환경을 분석하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중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온두라스와는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온두라스에 대한 통상증진 방안과 온두라스 산업환경을 분석하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중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온두라스와는 FTA가 2019년 10월에 부분 발효가 이루어졌으나 COVID19 영향으로 FTA 효과를 크게 볼 수 없었다. 양국 간 수출입 통계를 집계한 이래 한국의 대 온두라스 수출 최고 금액은 한국과 FTA를 체결하기 이전인 2012년 1.56억 달러였으며, 수입은 2011년 1.42억 달러를 정점으로 찍은 이래 아직 이 수치를 초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중미 FTA 발효로 인한 양 지역 간 교역과 투자도 활발하게 전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온두라스 등 중미지역 국가들의 경우에는 소규모 내수시장의 한계로 인해 대기업의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따라서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타당성 조사 사업 또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정책 자문이나 공동컨설팅사업을 통해 타당성이나 수요 등에서 가능성이 증명된 프로젝트를 위주로 대기업 또는 공기업이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제안서를 만들어 전문 중소기업과 연계하여 온두라스에 진출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중미지역에 특화된 지역 및 통상전문가, 프로젝트 전문가를 양성하여 한국-중미 FTA 활용을 극대화하고, 중미통합은행 또는 미주개발은행에서 발주하는 중미 각국 사회간접자본(SOC) 등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유관 기업에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중미 FTA가 2021년 3월 전체 발효된 이후에도 관세 자유화 효과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온두라스 양국 간 교역 및 투자 증진을 위한 여러 요인을 분석하고, 활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entering the market by analyzing Korea's trade promotion plans for Honduras and the Honduran industrial environment. After the conclusion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the FTA with Honduras went into partial effect in October 2019, but the effect of the free trade agreement could not be significantly seen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e highest amount of Korea's exports to Honduras since the two countries compiled import and export statistics was $156.6 billion in 2012, before signing a free trade agreement with Korea, and imports have yet to exceed this figure since peaking at $14.2 billion in 2011. In the meantim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must be made to actively develop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the two regions due to the entry into force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untries in Central America, such as Honduras, it is difficul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large compani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mall domestic market. Therefore, large or public enterprises should actively consider entering Honduras by making proposals with initiatives and linking them with specialized SMEs, focusing on projects that have proven potential in feasibility or demand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policy advice projects, or joint consulting projec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cultivate regional, trade experts, and project experts specialized in Central America to maximize the use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analyze information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SOCs ordered by the Central American Bank for Economic Integration or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and provide them to related companies.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to promote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Honduras and suggested possible measures in a situation where the effect of tariff liberalization is not seen even after the Korea-Central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went into full effect in March 2021.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entering the market by analyzing Korea's trade promotion plans for Honduras and the Honduran industrial environment. After the conclusion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the FTA with Honduras went into parti...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entering the market by analyzing Korea's trade promotion plans for Honduras and the Honduran industrial environment. After the conclusion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the FTA with Honduras went into partial effect in October 2019, but the effect of the free trade agreement could not be significantly seen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e highest amount of Korea's exports to Honduras since the two countries compiled import and export statistics was $156.6 billion in 2012, before signing a free trade agreement with Korea, and imports have yet to exceed this figure since peaking at $14.2 billion in 2011. In the meantim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must be made to actively develop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the two regions due to the entry into force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untries in Central America, such as Honduras, it is difficul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large compani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mall domestic market. Therefore, large or public enterprises should actively consider entering Honduras by making proposals with initiatives and linking them with specialized SMEs, focusing on projects that have proven potential in feasibility or demand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policy advice projects, or joint consulting projec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cultivate regional, trade experts, and project experts specialized in Central America to maximize the use of the Korea-Central America FTA, analyze information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SOCs ordered by the Central American Bank for Economic Integration or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and provide them to related companies.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to promote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Honduras and suggested possible measures in a situation where the effect of tariff liberalization is not seen even after the Korea-Central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went into full effect in March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