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 Review on the Textbook Public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1945~1950) and the Descript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ere was the social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 state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U.S.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had the intention of preventing the spread of communi...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ere was the social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 state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U.S.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had the intention of preventing the spread of communism and establishing an American democratic nation in South Korea.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troduced Social Studies into which History, Geography, and Kongmin were incorpor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ried to employ education as an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an American democratic nation in South Korea. However, although the subject name changed to Social Studies, History, Geography, and Kongmin were still taught separately and Korean History, East-Asian History, and World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individually. As a whol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described the nation's glory and prosperity. focusing on nation as a subject matter. That is, on the formal aspect, it was successful to the extent that Korean History was included in Social Studies, but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 build an American democratic nation in South Korea was not realized.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important norms for Koreans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ir history. Consequently, it is no doubt that the descript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sh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Koreans. The descript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in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can be seen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t means the historical evaluation about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has been rarely changed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up until now. Now is the time to se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in a new light with new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Departing from the premise that Goguryeo, Baekje, and Silla are the same nations, the Three Kingdoms should be recognized as individual independent countries. When Three Kingdoms are seen not from the perspective of "manufactured" concept of nation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ancient countries which existed as a historical fact, the Silla's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has its own significance according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에 통일된 민족국가를 수립해야한다는 시대적 요구가 있었다. 동시에 남한에 진주한 미군정은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을 막고, 남한에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에 통일된 민족국가를 수립해야한다는 시대적 요구가 있었다. 동시에 남한에 진주한 미군정은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을 막고, 남한에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미군정은 역사・지리・공민을 통합한 사회생활과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하였고, 교육을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과목 명칭만 사회생활과로 바뀌었을 뿐 역사・지리・공민은 여전히 분리되어 운영되었고, 한국사・동양사・서양사 교과서는 각각 편찬되었다. 그리고 해방 직후 발행된 한국사 교재와 교과서는 대부분 민족을 주체로 민족의 영광과 발전에 대해 서술하였다. 즉, 외형적 측면에서 한국사를 사회생활과에 포함시키는 것은 성공하였지만, 사회생활과를 통해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던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실현되지 못했다.
      한국사 교과서는 한국인들이 한국사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삼국 통일에 대한 인식은 삼국 통일에 대한 교과서 서술에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현재 한국사 교과서의 삼국 통일에 대한 서술이 해방 직후 발행된 한국사 교과서에서 대부분 등장하고 있다. 즉, 해방 이후 지금까지 삼국 통일에 대한 평가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삼국 통일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에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할 때이다. 고구려・백제・신라가 하나의 민족이었다는 대전제에서 벗어나 삼국을 각각 독립된 국가로 인식해야한다. 만들어진 민족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로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삼국을 바라볼 때, 신라의 삼국 통일도 그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국대학교사학회, "황의돈선생고희기념 사학논총" 동국대학교출판부 1960

      2 이길상, "해방전후사자료집Ⅰ・Ⅱ" 원주문화사 1992

      3 조미영, "해방 후 國史敎科의 社會科化와 ‘國史科’의 置廢" 역사교육연구회 (98) : 35-64, 2006

      4 김상훈, "해방 직후 국사교육 연구" 경인문화사 2018

      5 이길상, "해방 전후의 여론과 교육" 21 (21): 1998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인식」자료" 선인 2001

      7 이수정,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19) : 167-198, 2014

      8 권성아, "해방 이후 교육이념의 설정과 국사교육"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129-186, 2015

      9 김국태, "해방 3년과 미국 Ⅰ-미국의 대한정책 1945~1948" 돌베개 1984

      10 이종국, "한국편수사연구 1"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1 동국대학교사학회, "황의돈선생고희기념 사학논총" 동국대학교출판부 1960

      2 이길상, "해방전후사자료집Ⅰ・Ⅱ" 원주문화사 1992

      3 조미영, "해방 후 國史敎科의 社會科化와 ‘國史科’의 置廢" 역사교육연구회 (98) : 35-64, 2006

      4 김상훈, "해방 직후 국사교육 연구" 경인문화사 2018

      5 이길상, "해방 전후의 여론과 교육" 21 (21): 1998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인식」자료" 선인 2001

      7 이수정,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19) : 167-198, 2014

      8 권성아, "해방 이후 교육이념의 설정과 국사교육"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129-186, 2015

      9 김국태, "해방 3년과 미국 Ⅰ-미국의 대한정책 1945~1948" 돌베개 1984

      10 이종국, "한국편수사연구 1"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11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상" 청사 1986

      12 박진동, "한국의 교원양성체계의 수립과 국사교육의 신구성 :1945~1954"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3 김흥수, "한국역사교육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14 조동걸, "한국근대사학사" 역사공간 2010

      15 이길상, "한국교육사료집성-미군정기편Ⅰ・Ⅱ・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6 임기환,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51-202, 2012

      17 송호정, "학교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현황과 교과서 서술의 올바른 방향" 한국고대사학회 (84) : 263-301, 2016

      18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편수의 뒤안길 1・2・3" 대한교과서식회사 1991

      19 문교부 편수국, "편수시보 제1호"

      20 홍웅선, "편수국의 위상(1945~1955)" (26) : 1996

      21 문교부, "초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의 발달 6-1" 조선교학주식회사 1948

      22 군정청 문교부, "초등 국사교본-경기도학무과 임시교재연구회" 한양서적도매공사 1946

      23 조상원, "책과 30년" 현암사 1974

      24 "중앙신문"

      25 이상훈,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나당전쟁 서술과 개선 방향" 역사교육연구회 (120) : 343-371, 2011

      26 황의돈, "중등조선역사" 삼중당 1946

      27 김성칠, "중등조선사" 정음사 1948

      28 채미하, "중·고등학교 『역사』·『한국사』의 신라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 한국고대학회 (46) : 107-134, 2015

      29 Harold Larson, "주한미군사(HUSAFIK) Ⅳ" 돌베개 1988

      30 장신,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와 교과서 편찬" 16 : 2006

      31 "조선일보"

      32 신진균, "조선의 교육혁신에 관하여" (1) : 1946

      33 김수태, "제7차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 정치 관련 서술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29 : 47-82, 2003

      34 전덕재, "제7차 교육과정 중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 경제 · 사회 부분 분석" 한국고대사학회 29 : 83-128, 2003

      35 신선혜,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고대사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서술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4) : 101-137, 2017

      36 이부오,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225-267, 2010

      37 "자유신문"

      38 김보림, "일제하 중등학교 國民科의 도입과 ‘國史’(日本史) 교육" 역사교육학회 (50) : 103-140, 2013

      39 정재철, "일제의 대한국식민지교육정책사" 일지사 1985

      40 이정식, "이승만의 단독정부론 제기와 그 전개" 38 : 2006

      41 이병도, "우리나라의 생활(역사)" 동지사 1950

      42 신석호, "우리나라의 생활(국사부분)" 동방문화사 1948

      43 김성칠, "우리나라 생활(역사부분)" 정음사 1949

      44 이인영, "우리나라 생활(역사)" 금룡도서주식회사 1950

      45 손진태, "우리나라 생활(대한민족사)" 을유문화사 1950

      46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2005

      47 김성칠, "역사 앞에서" 창비 2009

      48 치암신석호선생 기념사업회, "신석호박사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지" 수서원 2007

      49 신석호, "신석호 전집 상" 신서원 1996

      50 김수태, "신라의 천하관과 삼국통일론" 신라사학회 (32) : 25-81, 2014

      51 김영하, "신라의 ‘통일’영역 문제-교과서 내용의 시정을 위한 제언-" 고려사학회 (56) : 7-32, 2014

      52 이해남, "신교수요목 준거 먼 나라 생활(역사부분)" 탐구당서점 1949

      53 최남선, "수정판 중등국사" 동명사 1948

      54 "서울신문"

      55 이종욱, "상처받은 신라-그 안에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이 있다" 서강대학교출판부 2016

      56 이상선, "사회생활과의 이론과 실제" 금룡도서문구주식회사 1946

      57 사공환, "사회생활과로 본 국사교육" 1 (1): 1947

      58 신동엽, "사회생활과 참고조선역사:상고사 1.2" 대웅출판 1946

      59 김종복, "발해사 인식의 추이: 남북국시대론을 중심으로" 수선사학회 (26) : 23-48, 2006

      60 양정현, "민족주의를 둘러싼 최근 논쟁- 당위·과잉·폐기의 스팩트럼 -" 역사교육연구회 (95) : 1-28, 2005

      61 홍웅선, "미군정하 사회생활과 출현의 경위" 30 (30): 1992

      62 이길상, "미군정의 국가적 성격과 교육정책" 15 (15): 1992

      63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사자료집 상・하" 홍지원 1992

      64 김상훈, "미군정기 교육정책 수립과 한국인의 역할" 역사학연구소 (28) : 119-163, 2015

      65 리차드 D. 로빈슨, "미국의 배반(Korea: Betrayal of a Nation)" 과학과사상 1988

      66 문교부 조사기획과, "문교행정개황" 조선교학주식회사 1947

      67 "동아일보"

      68 정병준, "남한진주를 전후한 주한미군의 대한정보와 초기점령정책의 수립" (51) : 1996

      69 "국제신문"

      70 임태수, "국사교육의 실제이론" 1 (1): 1947

      71 손진태, "국사교육의 기본적 제문제" 1 (1): 1947

      72 손진태, "국사교육 건설에 대한 구상" (2) : 1948

      73 진단학회, "국사교본"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6

      74 박현숙, "국사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방향" 69 : 1999

      75 신동엽, "국사 첫 걸음" 금룡도서문구주식회사 1946

      76 양정현, "국사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서 민족·국가 인식의 변천" 한국고대사학회 (52) : 117-154, 2008

      77 이부오, "교육과정 시행 이전 한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23 :

      78 최병칠, "교육과 인생" 문천사 1972

      79 박진동, "교수요목에 의거한 ‘이웃나라 역사’ 교과서의 발간과 그 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06) : 1-44, 2008

      80 박진동, "교수요목에 의거한 '먼나라 역사' 교과서의 발간과 그 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37) : 1-35, 2016

      81 박지숙, "교수요목기 국사교육의 계열성과 그 의의"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82 문교부, "교수 요목집 중학교 사회생활과"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8

      83 이종욱, "관학파가 만든 '민족사'에서 우리를 만든 '한국사'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 : 7-38, 2009

      84 왕현종,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출판 2017

      85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비상교육 2017

      86 권희영, "고등학교 한국사" 교학사 2017

      87 김종수,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2017

      88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17

      89 최준채, "고등학교 한국사" 리베르스쿨 2017

      90 주진오,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2017

      91 정재정, "고등학교 한국사" 지학사 2017

      92 전덕재,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삼국 및 통일신라 정치사 서술의 특징과 변천 -제3차~제7차 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3) : 407-449, 2009

      93 박미선,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古代 ‘佛敎史’ 서술 검토" 한국사상문화학회 (59) : 255-282, 2011

      94 채미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삼국통일 관련 서술에 대한 비교・검토" 신라사학회 (32) : 119-167, 2014

      95 금경숙, "고등학교 ‘국사’교가서 내용분석-고대사를 중심으로" 8 : 1992

      96 김복순, "고대 문화 관련 서술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29 : 129-150, 2003

      97 하일식, "고교 ‘국사’의 발행제 변천과 전근대 서술 ―권력의 의도와 교과서 서술―" 한국역사연구회 (92) : 53-80, 2014

      98 "경향신문"

      99 朴光熙, "韓國社會科의 成立過程과 그 過程變遷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1966

      100 박진동,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역사교육연구회 (91) : 25-50, 2004

      101 김은국,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고구려발해학회 40 : 159-194, 2011

      102 하일식, "『중학교 역사』의 통일신라・발해 서술 검토-검정 교과서(2011년) 8종의 내용과 시각 자료 -" 한국고대사학회 (64) : 145-174, 2011

      103 문안식, "‘남북국시대론’의 허상에 대하여" 19 : 2000

      104 Department of Education The State of Colorado, "Course of Study for Secondary Schools: Social Studies"

      105 State of Colorado Department of Education, "Course of Study for Elementary School"

      106 이부오, "2011년 발행 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고대사 서술의 변화" 신라사학회 (24) : 311-358, 2012

      107 강종훈, "2011년 발간 『중학교 역사(상)』 8종 교과서의 삼국시대 정치사 관련 부분 내용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64) : 79-105, 2011

      108 김상훈, "1945~1950년 역사 교수요목과 교과서 연구" 서강대학교 2014

      109 조풍연, "(출판시감)중등교과서문제-‘교과서협회’신설에 기대함" 4 (4):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