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종부권의 성격과 의미-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에 대한 예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dowed Jongbu’s Rights in Late Joseo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전기 총부권과의 연속적인 이해를 고려하면서,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의 강화라는 맥락 속에서 조선후기 종부권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을 둘러싼 예학적 논의들을 통해 종법적 논리 속에서 종부에게 부여된 지위와 그에 따른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종부들은 남편이 무후로 사망한 이후에도 가계계승 문제, 즉 봉사와 입후 문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봉사권과 입후권으로 대표되던 조선전기 총부권이 조선후기의 종부권으로 전환된 것이지만, 부계질서의 심화와 함께 종부들은 기존 권한의 축소를 경험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축소된 범위 내의 종부권에 한해서는 종법적 논리 속에서 오히려 확고하게 보장되었던 측면이 있었다.
      특히 ‘종자의 처’로서 종부의 위치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이 긍정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조선 전․중기 총부권이 고려 이래의 제사 관행과 국속의 차원에서 주장되었다면, 조선후기 종부권 논의는 종법적 가계계승의 논리 속에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였다. 후기로 갈수록 종자와 지자의 구분이 엄중해지고, 지자의 탈종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종자의 처라는 종부의 위치와 그에 따른 역할은 지자로부터 종통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간주되었다.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 속에서 종부는 지자에 대하여 종자 계열을 대표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전기 총부권과의 연속적인 이해를 고려하면서,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의 강화라는 맥락 속에서 조선후기 종부권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부의 봉...

      본 연구는 조선전기 총부권과의 연속적인 이해를 고려하면서,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의 강화라는 맥락 속에서 조선후기 종부권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을 둘러싼 예학적 논의들을 통해 종법적 논리 속에서 종부에게 부여된 지위와 그에 따른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종부들은 남편이 무후로 사망한 이후에도 가계계승 문제, 즉 봉사와 입후 문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봉사권과 입후권으로 대표되던 조선전기 총부권이 조선후기의 종부권으로 전환된 것이지만, 부계질서의 심화와 함께 종부들은 기존 권한의 축소를 경험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축소된 범위 내의 종부권에 한해서는 종법적 논리 속에서 오히려 확고하게 보장되었던 측면이 있었다.
      특히 ‘종자의 처’로서 종부의 위치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이 긍정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조선 전․중기 총부권이 고려 이래의 제사 관행과 국속의 차원에서 주장되었다면, 조선후기 종부권 논의는 종법적 가계계승의 논리 속에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였다. 후기로 갈수록 종자와 지자의 구분이 엄중해지고, 지자의 탈종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종자의 처라는 종부의 위치와 그에 따른 역할은 지자로부터 종통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간주되었다.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 속에서 종부는 지자에 대하여 종자 계열을 대표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란, "「규한록」, 어느 억울한 종부의 자기주장" 16 : 2007

      2 이현주,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의 가문경영" 동양고전학회 (73) : 385-414, 2018

      3 이영춘, "한국사회에서의 宗子와 宗婦" 3 : 2012

      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5 정긍식, "조선전기 주자가례의 수용과 제사승계 관념" 12 : 2001

      6 김현숙,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 : 종부의 치산과 가계경영" 경인문화사 2018

      7 정긍식,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8 이혜순, "조선 중기 예학 사상과 일상 문화-주자가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9 이순구, "조선 전기 ‘딸에서 며느리로’ 정체성 변화와 재산권 - 경주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23) : 37-66, 2015

      10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너머북스 2018

      1 조혜란, "「규한록」, 어느 억울한 종부의 자기주장" 16 : 2007

      2 이현주,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의 가문경영" 동양고전학회 (73) : 385-414, 2018

      3 이영춘, "한국사회에서의 宗子와 宗婦" 3 : 2012

      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5 정긍식, "조선전기 주자가례의 수용과 제사승계 관념" 12 : 2001

      6 김현숙,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 : 종부의 치산과 가계경영" 경인문화사 2018

      7 정긍식,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8 이혜순, "조선 중기 예학 사상과 일상 문화-주자가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9 이순구, "조선 전기 ‘딸에서 며느리로’ 정체성 변화와 재산권 - 경주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23) : 37-66, 2015

      10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너머북스 2018

      11 카이윙 초우, "예교주의: 17-18세기 중국 지식인의 윤리, 학문, 종족의 담론" Monograph 2013

      12 "龜川遺稿"

      13 金斗憲, "韓國家族制度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1969

      14 "退溪集"

      15 "近齋集"

      16 "芸窓集"

      17 "老洲集"

      18 "續大典"

      19 "經國大典"

      20 "竹泉集"

      21 "禮記"

      22 "省齋集"

      23 "渼湖集"

      24 박미해, "洪道町 宗婦의 役割:조선후기 여성의 지위에 관한 試論" 9 : 1997

      25 "沙溪全書"

      26 "梅山集"

      27 "果菴集"

      28 "朱子家禮"

      29 "朝鮮王朝實錄"

      30 崔在錫, "朝鮮時代의 養子制와 親族組織" 86 : 1980

      31 지두환, "朝鮮前期의 宗法制度 理解過程" 1 : 1984

      32 정긍식, "朝鮮前期 四代奉祀의 形成過程에 대한 一考察" 11 : 1996

      33 김윤정, "朝鮮中期 祭祀承繼와 兄亡弟及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20) : 107-130, 2002

      34 이순구, "朝鮮中期 冢婦權과 立後의 강화" 9 : 1996

      35 "星湖全集"

      36 "承政院日記"

      37 "性潭集"

      38 "庸齋集"

      39 "屛溪集"

      40 "宋子大全"

      41 "受敎輯錄"

      42 "南溪集"

      43 "南塘集"

      44 "儀禮"

      45 "三山齋集"

      46 Martina Deuchler,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47 Mark Peterson, "Adoption in Korean Genealogies : Continuation of Lineage" 14 (14): 1974

      48 김윤정, "18세기 禮學 연구-洛論의 禮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1

      49 박경, "16세기 유교적 친족질서 정착 과정에서의 冢婦權 논의" 조선시대사학회 (59) : 71-10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