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로동신문 보도 기사문의 텍스트 구성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Text Composition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ing Art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40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 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 To do so, we analyz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Rodong Sinmu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Rodong Sinmun texts. First, the titles of news articles often ended with nouns, but the titles of content articles related to the North Korean leader were presented as complete sentences. This confirms the emphasis on the leader's actions in the news articles. Another peculiarity is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 speech is sometimes quoted in the lead of the article. This can be analyzed as a way to show the leadership of the North Korean leader. Second,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article wa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ext-structure markers, the absence of anaphoric expressions, and the repeated use of the same sentence endings. This difference may give a South Korean speaker the impression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rganization and cohesion of the text of the Rodong Sinmun. Third, in the case of news articles, there are no devices that indicate the finalization of the 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from a textual-linguistic perspective, and specifically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newspaper tex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 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 To do so, we analyz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Rodong Sinmu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 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 To do so, we analyz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Rodong Sinmu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Rodong Sinmun texts. First, the titles of news articles often ended with nouns, but the titles of content articles related to the North Korean leader were presented as complete sentences. This confirms the emphasis on the leader's actions in the news articles. Another peculiarity is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 speech is sometimes quoted in the lead of the article. This can be analyzed as a way to show the leadership of the North Korean leader. Second,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article wa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ext-structure markers, the absence of anaphoric expressions, and the repeated use of the same sentence endings. This difference may give a South Korean speaker the impression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rganization and cohesion of the text of the Rodong Sinmun. Third, in the case of news articles, there are no devices that indicate the finalization of the 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from a textual-linguistic perspective, and specifically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newspaper tex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텍스트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의사소통 기능과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로동신문 텍스트의 구성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도기사의 제목은 명사 형식으로 끝나는 제목이 많았으나, 북한 지도자와 관련된 내용 기사의 제목은 완전한 문장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보도기사에서 지도자의 행적을 주요하게 부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다른 특이점은 북한 지도자의 발언이 기사문의 리드에서 인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 지도자의 리더십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북한 로동신문의 보도기사에서는 ‘무표적 텍스트 구성 표지’, ‘무표 대용’, ‘동일한 문장 종결 표현 사용’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남한어 화자에게 로동신문 보도기사 텍스트의 결성과 결속구조에 문제가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셋째, 보도기사의 경우 텍스트가 마무리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장치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 연구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를 텍스트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북한어 신문 기사 텍스트와 남한어 신문 기사 텍스트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텍스트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의사소통 기능과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

      이 연구에서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텍스트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의사소통 기능과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로동신문 텍스트의 구성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도기사의 제목은 명사 형식으로 끝나는 제목이 많았으나, 북한 지도자와 관련된 내용 기사의 제목은 완전한 문장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보도기사에서 지도자의 행적을 주요하게 부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다른 특이점은 북한 지도자의 발언이 기사문의 리드에서 인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 지도자의 리더십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북한 로동신문의 보도기사에서는 ‘무표적 텍스트 구성 표지’, ‘무표 대용’, ‘동일한 문장 종결 표현 사용’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남한어 화자에게 로동신문 보도기사 텍스트의 결성과 결속구조에 문제가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셋째, 보도기사의 경우 텍스트가 마무리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장치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 연구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를 텍스트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북한어 신문 기사 텍스트와 남한어 신문 기사 텍스트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연, "한국어 읽기 텍스트 개발을 위한 신문 기사 담화 구조 분석-신문 기사와 교재 기사문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어문학회 (62) : 343-374, 2018

      2 김해연, "한국 인터넷 신문의 흥미 유발 전략의 텍스트언어학적/사회언어학적 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6 : 107-138, 2009

      3 신명선, "텍스트유형 교육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신문 기사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4) : 361-384, 2005

      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2007

      5 박금자, "일간신문 제목에 나타나는 응집성, 패러디, 생략 현상"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 : 29-56, 1999

      6 이진호, "신문텍스트 기반 보조용언 교육 내용 연구 :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고 있-'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장민정, "신문기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대조분석 :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뉴스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8 이재원, "신문기사 제목과 본문사이의 텍스트언어학적 전략들" 언어연구소 (41) : 185-204, 2008

      9 김혜정, "신문 표제어의 텍스트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25): 53-78, 1997

      10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14 (14): 85-114, 2006

      1 이승연, "한국어 읽기 텍스트 개발을 위한 신문 기사 담화 구조 분석-신문 기사와 교재 기사문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어문학회 (62) : 343-374, 2018

      2 김해연, "한국 인터넷 신문의 흥미 유발 전략의 텍스트언어학적/사회언어학적 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6 : 107-138, 2009

      3 신명선, "텍스트유형 교육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신문 기사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4) : 361-384, 2005

      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2007

      5 박금자, "일간신문 제목에 나타나는 응집성, 패러디, 생략 현상"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 : 29-56, 1999

      6 이진호, "신문텍스트 기반 보조용언 교육 내용 연구 :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고 있-'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장민정, "신문기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대조분석 :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뉴스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8 이재원, "신문기사 제목과 본문사이의 텍스트언어학적 전략들" 언어연구소 (41) : 185-204, 2008

      9 김혜정, "신문 표제어의 텍스트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25): 53-78, 1997

      10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14 (14): 85-114, 2006

      11 구나경, "신문 보도기사와 사설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0

      12 신명선, "신문 기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미디어연구소 2004

      13 조원형, "신문 기사 중간제목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연구-<한겨레> 2006년 2월 치 기사를 대상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 : 457-490, 2006

      14 오장근, "사건보도, 사태보도, 르포르타주-정보위주 신문텍스트의 텍스트유형 분류를 위한 연구" 10 : 189-211, 2001

      15 김영주, "북한신문 기사론: 기사의 속성과 분류, 집필원칙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4 : 93-112, 1998

      16 김병수, "북한 언론 매체 분석을 통한 국어 이질화 양상 연구: 신문, 잡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21-1348, 2019

      17 이원표, "북한 신문 사설의 비평적 담화분석:'주체사상' 이념의 표현 방법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13 (13): 113-146, 2006

      18 신현숙, "로동신문을 통해서 본 북한의 언어 현상" 한글학회 (200) : 253-302, 1988

      19 이재선, "State Ideology and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orth Korea’s Print Media" 언어정보연구원 36 : 123-166, 2015

      20 van, Dijk. T. A., "News as Discours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1 조원형, "<로동신문> 기사의 비난조 표현 분석 – 2017년 11월 – 2018년 4월 치 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4 : 205-24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