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파리협정이 공식 발효되면서 신기후체제가 열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하여 기존의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패러다임에서 지속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84303
대전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9
학위논문(박사)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과학기술경영정책전공 , 2019
2019
한국어
400 판사항(6)
500 판사항(23)
대전
viii, 146 p. : 도표 ; 26 cm
지도교수: 李炳熙
권말부록: AHP 설문지 ; 심층인터뷰 질문지 ; 심층인터뷰 내용요약
참고문헌: p. 117-1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11월 파리협정이 공식 발효되면서 신기후체제가 열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하여 기존의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패러다임에서 지속 가...
2016년 11월 파리협정이 공식 발효되면서 신기후체제가 열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하여 기존의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패러다임에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 패러다임으로 이행해야 한다. 이 변화의 핵심은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과 함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청정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확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는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기술혁신이 필요한 기술 분야로써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R&D 지원과 국가연구개발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가혁신체제이론에 따라 과학기술혁신정책의 하부단위인 국가연구개발과제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증거기반의 정책평가 및 수립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과제 및 성과정보를 수집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의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에 대한 성과평가 및 성과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성과평가는 AHP 전문가 설문 통하여 도출한 성과지표 가중치를 사용하여 성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성과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는 상승하였으나,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사업화 성과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전 기간 동안 과학적∙기술적 성과보다 성과가 비교적 낮게 나타나, 사업화 성과향상의 필요성을 드러냈다.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에 대한 성과요인은 다변량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부연구비는 논문·특허·사업화 성과에 모두 유의한 역U자형의 영향을 미치고, 박사인력비중은 논문∙특허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연구인력수, 민간투자비율, 1인당 연구비의 증가는 논문 성과에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연구가 특허∙사업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발연구 및 민간기업 참여가 사업화 성과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정량적 성과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시한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요확보와 제조업 중심의 관련 산업 생태계의 구축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재생에너지 국가연구개발의 성과분석을 통하여 증거기반의 정책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및 평가모델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과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기술혁신이 기초연구에서 응용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개발연구로 넘어가는 특징을 찾아냄으로써, 기술 분야에 따라 기술혁신의 방향이 다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 실용화가 중요한 기술 분야는 기초에서 개발연구로 빠르게 이어져 기술혁신이 일어나는 새로운 혁신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증거기반의 성과분석 및 정책평가를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포함한 국가과학기술 전 분야의 정책기획·집행·평가과정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김주현, "「VIP Report」", 현대경제연구원, 2008
2 이일현,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2014
3 OECD, "Renewable energy Data", , https://data.oecd.org/energy/renewable-energy.htm (접속일: 2018.10.10), 2018
4 강제상, 최신융, 임영제, 김선엽, "「행정기획론」", 서울: 박영사, 2009
5 Paris Agreement, "FCCC/CP/2015/L.9/Rev.1", , https://unfccc.int/resource/docs/2015/cop21/eng/l09r01.pdf (접속: 2018.11.17), 2015
6 IEA,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2017", , https://www.irena.org/publications/2017/Jul/Renewable-Energy-St atistics-2017 (접속: 2018.11.25), 2017
7 황석원, "「SCI와 연구개발 성과 평가」",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 원, 2006
8 이훈영,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청람, 2010
9 최승은,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10 강민지, 이혜진, 이명화, "「과학기술 정책평가 모형 탐색」", 정책 연구, 2017-27,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1 김주현, "「VIP Report」", 현대경제연구원, 2008
2 이일현,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2014
3 OECD, "Renewable energy Data", , https://data.oecd.org/energy/renewable-energy.htm (접속일: 2018.10.10), 2018
4 강제상, 최신융, 임영제, 김선엽, "「행정기획론」", 서울: 박영사, 2009
5 Paris Agreement, "FCCC/CP/2015/L.9/Rev.1", , https://unfccc.int/resource/docs/2015/cop21/eng/l09r01.pdf (접속: 2018.11.17), 2015
6 IEA,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2017", , https://www.irena.org/publications/2017/Jul/Renewable-Energy-St atistics-2017 (접속: 2018.11.25), 2017
7 황석원, "「SCI와 연구개발 성과 평가」",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 원, 2006
8 이훈영,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청람, 2010
9 최승은,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10 강민지, 이혜진, 이명화, "「과학기술 정책평가 모형 탐색」", 정책 연구, 2017-27,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11 김연종, 윤성원, 류재수, "「독일의 탈원전 정책과 시사점」", 원자 력정책연구 Brief Report, 제41호, 2017
12 KISTI, "「일본 환경 에너지기술 혁신계획」", 일본 종합과학기술 회의, 2008
13 고일원, 정석호, 이성진, "“녹색기술 개념과 정책 발전 방향”", 「 Issue Paper 2012-09」, 세종: 한국과학기술기회평가원, 2012
14 안상욱, "「EU, 미국, 동아시아의 에너지 정책」", 파주: 한국학술 정보㈜, 2018
15 홍형득, "「과학기술정책론-거버넌스적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2016
16 김태윤, 조정래, "“공기업 주관 R&D 효율성의 특성 분석”", 「규제연구」, 26(2), 147-187, 2017
17 삼정KPMG 경제연구원, "「2018년 에너지 분야 주요이슈와 쟁 점」", Issue Monitor, 77, 2017
18 한일경제협회, "「일본국가의 연구개발 프로젝트 특징」", 일본지 식리포트, 2013
19 원형원, "「일본의 에너지관련 기술개발 로드맵」", 세계 에너지시 장 인사이트, 제14-45호, 2014
20 이홍원, "「독일의 재생에너지법 및 보조금 제도」", 대전: 한국과 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21 임지영, "「일본 FIT제도 운영 문제점과 제도 개선」", 세계 에너 지시장 인사이트, 제17-12호, 2017
22 강제상, 김주경, 김영곤, "정부 R&D 사업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8(4), 229-256, 2014
23 Saaty, T. L., "조근태 역 ,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2005
24 송용주, "「독일 에너지전환 정책의 추이와 시사점」", 한국경제연 구원 KERI BREIF, 2016
25 신한나, "「정책결정구조와 한국에너지정책의 변화」", 석사학위논 문, 중앙대학교, 2016
26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서울: 한빛아카데미, 2014
27 정상화, "“유엔 기후변화협약과 국제기후변화 레짐”", 성남: 세종연구소, 「정세와 정책」, 2010.3, 2010
28 홍성주,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추이 분석과 시사점」", STEPI Insight, 89, 1-29, 2012
29 윤순진, "“저탄소 녹색성장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환경사 회학연구 ECO」, 13(1), 219-266, 2009
30 김기국, 최영식, 장진규, 장병 열, 이재억, 이윤준, 이선영, 이민형, 이광호, 유의선, 송위진, 박기범, 박건우,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과제」",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31 박소연, 임슬예, 유승훈,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 석”", 「에너지공학」, 23(4), 31-40, 2014
32 김유정, "「신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지속가능성 분석」", 과 학기술정책 통권 154호, 2005
33 황석원, 황용수, "「정부 R&D 성과평가시스템의 진단 및 발전방 향」", 정책연구, 2004-20,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34 박창일, 서호준, "“6T 분야별 국가 R&D사업의 효율성과 생산성변화”", 「산업경제연구」, 31(1), 293-325, 2018
35 최승현, 황석원, 천동필, 박종혜, 김아름, 권성훈, 안두현, "“국가연구개발사업 R&D 효율성 분석 및제고방안”", 세종: 과학기술 정책연구원, 2009
36 김정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정책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011
37 장진규, "“공공연구개발 투자의 생산성분석 방법론 개발.”",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38 장진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성장 전략과 과제”", 「심포지엄 자료집: 녹색기술 연구개발전략」, 세종: 과학기술 정책연구원, 2008
39 이상훈, "“한국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 「환경법과 정책」, 12, 63-82, 2014
40 김건식, "「국내 신 재생에너지 보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 회입법조사처, 2014
41 유학식,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시사점」", 수 시연구보고서 16-15,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42 강근복, 윤석환, "“대형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의 체계적 도입방 안”", 「한국정책학회」, 12(4), 51-76, 2003
43 강희종, 차동민, 정기철, 장진규, 이재억, 이선영, 서지영, "“녹색 기술혁신의 특성・역량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10-01」,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44 양용석, "“신ㆍ재생에너지 정책의 선진화 방안에 대한 小考”", 「에너지경제연구」, 6(2), 289-310, 2007
45 윤수재,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정책평가 시스템 발전 방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17-34, 2003
46 이중재, "「AMOS를 이용한 MANOVA, MANCOVA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15
47 홍형득,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2(2), 159-182, 2018
48 우양호, 홍미영, "“연구환경과 개인특성이 연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21(2), 435-460, 2017
49 장금영, "「한국 정부의 산업기술혁신정책의 성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0
50 안승구, 황두희, 정선양, "“범부처 대형공동연구개발사업의 성과 분석 사례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184-207, 2009
51 민철구, 조현대, 박은진, 박기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지원 인력현황 및 개선방안」",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52 김정수, 최호영, 최치호,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성과 결정 요인", 「기술혁신학회지」, 14(1), 791-812, 2011
53 구훈영, 오진환, "“공동연구성과에 협력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3(1), 23-36, 2018
54 한국자원경제학회, "「주요국의 에너지정책 사례 및 시사점 연구 최종보고서」", 세종: 산업통상자원부, 2017
55 이영준, "「후쿠시마 사고 이후 독일의 에너지정책 변화와 시사 점」", 원자력정책연구 Brief Report 통권 제16호, 2012
56 민철구, 박성욱,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기술혁신연구」, 21(3), 121-140, 2013
57 장현숙,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기후정책 3대 핵심이슈와 시사 점」", Trade Brief No. 5, 서울: 한국무역협회, 2017
58 강인제, 최기석, 정재연, 이병희, "“국가R&D내 녹색기술(GT) 사 업의 최근 현황 및 키워드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 술대회」, 1621-1634, 2017
59 고윤미, 정도범, 김경남,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 (R&D) 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20(1), 115-140, 2012
60 이재승, 정하윤, "“미국의 기후변화 및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전 개과정 분석”", 「국제관계연구」, 17(2), 5-45, 2012
61 김용정, 조현정, 박노언, 김형욱,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투자 효율화를 위한 세부기술 분석”",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 대회논문집」, 258-261, 2009
62 강인제, "「인구고령화 대응 GT R&D 혁신체제 구성요소와 성과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8
63 김인호, 이계석, 안성봉, 김태희,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한 국 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2(1), 70-87, 2009
64 강근복, 최지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적 성과창출 영향요 인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9(1), 161-190, 2016
65 박수동, 홍순기,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OECD 국가별 R&D효 율성과 생산성 분석”", 「기술혁신연구」, 11(2), 151-174, 2003
66 배용호, 홍사균, "「정부연구개발사업의 구조 및 추진체계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67 배정희, 정선양, "성지은 , “한국의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1999~ 2013) 전개와 특징”", 「기술혁신연구」, 22(4), 165-198, 2014
68 이도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69 이화석,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가평가와 예산배분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2
70 김경화, 정상기, 박석종, "“과학기술적 성과 관점에서 정부 R&D 사업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4(2), 205-222, 2011
71 양승우, "「연구개발 시스템상 성과평가제도의 역할 재정립 및 법 제 개선방안」", STEPI Insight, 제190호,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 원, 2016
72 홍사균, "기술혁신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과학기술혁신전략 탐색 연구", 정책연구, 2016-18,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 원, 2016
73 김세규, "“환경친화적 신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위한 법 정책적 개선방안”", 「공법학연구」, 18(1), 205-232, 2017
74 박병무, 이기종,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 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4), 819-839, 2009
75 이용석,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의 효율적 성과관리 및 사 업화 촉진 전략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010
76 김경택, 이덕주, 박성준, "“실물옵션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R&D 의 경제적 가치 및 최적 적용시점 평가”", 「대한산업공 학회지」, 38(2), 144-156, 2012
77 정승연, "「일본의 에너지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를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0집 3호, 2012
78 안해일,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과정의 가중치 및 고유치 산출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대한산업공학회 춘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953-960, 2007
79 윤근혜, "「국가대형개발사업의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에너지기 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1
80 박성환, 홍준석, 박중구,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공학」, 21(1), 109-117, 2012
81 박용덕, 최영선, 정성삼, "「신기후체제에 따른 중국의 신재생에너 지정책 및 산업동향과 한 중 협력 방안」", 경제 인문사회연 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5-40-05, 세종: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15
82 김홍범, 장인호, 이길우, "「정부R&D성과 관리 활용 체계 현황 진단과 시사점: 연구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 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83 최태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유형별 성과분석을 통한 전략적 연구관리 체 계 구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07
84 최상선, "「국가연구개발사업 기술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해양수 산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5 김동문, 나혜인, 김은희, "“교수역량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 구」, 22(4), 1-19, 2014
86 강인제, 한유리, 최산, 정재웅, 정재연, 전승표, "“데이터 기반 유사연구영역 효율성 제고 방안 및 과제 우선순위 도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537-547, 2017
87 김영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 일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교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 학교, 2018
88 송위진, "성지은, 임홍탁, 장영배 ,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 업 발전방안 연구」, 정책연구 2012-11", 세종: 과학기술정책연 구원, 2013
89 손수정, 황용수, 조가원, 양창훈, "임지선, 김성진 , 「과학기술혁신 정책의 증거기반 평가의 접근방법과 적용」, 정책연구, 2011-27",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90 김나영, 조현정, 안병민, 김행미, "“국가연구개발사업 SCI(E) 논문 성과의 질적 수준 분석을 위한 새로운 계량지표의 탐색과 적 용”",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3-113, 2017
91 장준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 분석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계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2014
92 김동현, 조근태, 김민기, "“연구비 지원 여부에 따른 공동연구의 네트워크구조와 연구성과 관계 분석: CT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23(4), 63-87, 2015
93 김윤희, "「환경기술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활용 촉진에 관한 연 구 – 특허 기술이전 및 사업화 전략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2012
94 권재철, 이철규, 유왕진, 문종범, "“대형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 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5(1), 185-202, 2012
95 최지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적 성과창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계 및 화학 산업 기술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2015
96 이준범, "「연구비 구조가 연구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석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2018
97 김대인, "「연구조직의 국제공동R&D협력수준이 R&D성과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0
98 윤순진, "“지속가능한 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정책 개선방향: 재생가능에너지관련 법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1), 269~30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