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정확하고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Google Earth Engine (GEE)와 자동화기계학습(Automated Machine Le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5967
2024
Korean
AutoML ; Google Earth Engine ; 원격탐사 ; 토양수분 ; 클라우드 컴퓨팅 ; AutoML ; Cloud computing ; Google Earth Engine ; Remote sensing ; Soil moisture
KCI등재
학술저널
615-62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정확하고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Google Earth Engine (GEE)와 자동화기계학습(Automated Machine Lea...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정확하고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Google Earth Engine (GEE)와 자동화기계학습(Automated Machine Learning, AutoML)을 결합한 토양수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전구 강수 관측 위성 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해 최적의 입력 자료 조합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GPM 기반의 무강우누적일수 및 5일 평균강수량,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밤 및 낮시간에 촬영된 LST (Land Surface Temperature)의 합계, 토양특성(사토 및 점토 함량, 용적밀도), 지형자료(고도 및 경사도), 계절 구분이 변수중요도(Feature importanc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자료의 조합을 AutoML 통해 목적함수(Determination of coefficient, R2; Root Mean Square Error, RMSE; Mean Absolute Percent Error, MAPE)를 설정 후 기계학습 기법별 비교평가를 수행한 결과, Tree 계열의 모형이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그 중, Random Forest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R2: 0.72, RMSE: 2.70 vol%, MAPE: 0.14).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accurately and efficiently monitor soil moisture (SM) across South Korea, this study developed a SM estimation model that integrates the cloud computing platform Google Earth Engine (GEE) and Automated Machine Learning (AutoML). Various spatial inf...
To accurately and efficiently monitor soil moisture (SM) across South Korea, this study developed a SM estimation model that integrates the cloud computing platform Google Earth Engine (GEE) and Automated Machine Learning (AutoML). Various spatial information was utilized based on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the global precipitation observation satellite 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to test optimal input data combin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PM-based accumulated dry-days, 5-day antecedent average precipitation,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he sum of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acquired during nighttime and daytime, soil properties (sand and clay content, bulk density), terrain data (elevation and slope), and seasonal classification had high feature importance. After setting the objective function (Determination of coefficient, R2; Root Mean Square Error, RMSE; Mean Absolute Percent Error, MAPE) using AutoML for the combination of the aforementioned data, a comparativ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ree-based models exhibited high performance, with Random Forest demonstrating the best performance (R2: 0.72, RMSE: 2.70 vol%, MAPE: 0.14)
ECMWF 계절 기상 전망을 활용한 국내 다목적댐 유입량 예측의 성능 비교·평가
준분포형 및 집중형 GR4J 수문모형을 활용한 순차자료동화 기반 유량 예측 특성 비교: 남강댐 유역 사례
광주·전남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물부족 위험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