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기관 유형에 따른 EA 서비스 품질과 성과 간 조절적 효과 = A Study on the Service and Performance factors of Public 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6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3 the government-EA has been awarded the UN Public Service Award. Because of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personalized integrated services based on the government-EA. In addition, Korea has won 3 times in a row in the evaluation of e-govern...

      In 2013 the government-EA has been awarded the UN Public Service Award. Because of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personalized integrated services based on the government-EA.
      In addition, Korea has won 3 times in a row in the evaluation of e-government services in 2014. EA can drive a performance to an agency and nation as long as EA is well utilized. And the EA performance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vious study. However, there is one question that has not been demonstrated so far. the question is that °×is it possible that every kind of government agencies can drive a performance by the EA?°± This study will give the answer for that question.
      In the result, those agencies which are local governments and agencies with low level of information resources do not have to adopt EA, since in those agencies, additional resources for the operation of their own EA management system such as budget, operators, information resources etc. is considered to be a burden. But it seems to be that local governments with high level of information resources can drive a performance by the EA. Those agencies need their own EA Management System.
      In the result, EA information are very important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 performance so, there has to be alternatives which can manage EA information for government agen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에 범정부 EA가 UN으로부터 공공행정상을 수여받았다. 이는 2000년대 초반 부터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구축한 전자정부의 저변에서 EA를 효율·효과적으로 활용한 성과를 세계로부터인정...

      2013년에 범정부 EA가 UN으로부터 공공행정상을 수여받았다. 이는 2000년대 초반 부터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구축한 전자정부의 저변에서 EA를 효율·효과적으로 활용한 성과를 세계로부터인정받은 계기였다. 이후, 한국은 2014년에 UN으로 부터 전자정부 서비스부문에서도 우수상을 수여받았는데, 이는 3회 연속 우승한 최초의 국가라는 의미가 있는 수상이였다. 이처럼 EA는 기관과 범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EA 성과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런데, EA가 모든 공공기관에서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는 앞선 성과모형 연구에서는 해답을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EA 성과모형을 다양한 공공기관 유형별로 적용하여 공공기관의 조직의 성격, 규모, 기관의유형에 맞는 시사점을 실증적 검증을 통해 분석 및 도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기관에게는 실효성 있는 기여를, 관련 연구자들에게 학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부 혁신 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2 신유근, "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72-, 1994

      3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의안번호 제132호] 정보기술아키텍처(EA) 기본계획" 2011

      4 박승범, "성과지표 기반의 ITA 효과측정 모델연구" 1 (1): 53-62, 2004

      5 김학민, "선진 정보화 구현을 위한 EA정책 비전과 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6 이재두, "공공부문 EA 추진성과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9 (9): 155-166, 2012

      7 신다울, "공공부문 EA 서비스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11 (11): 409-426, 2014

      8 정보통신부, "공공기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본계획(2007년~2009년)" 2006

      9 DeLone, W. H.,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A Ten-Year Update" 19 (19): 9-30, 2003

      10 Liimatainenm, K., "Overview of Enterprise Architecture work in 15 countries" Finnish ENterprise Architecture Research Project, Finland Ministry of Finance 2007

      1 정부 혁신 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2 신유근, "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72-, 1994

      3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의안번호 제132호] 정보기술아키텍처(EA) 기본계획" 2011

      4 박승범, "성과지표 기반의 ITA 효과측정 모델연구" 1 (1): 53-62, 2004

      5 김학민, "선진 정보화 구현을 위한 EA정책 비전과 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6 이재두, "공공부문 EA 추진성과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9 (9): 155-166, 2012

      7 신다울, "공공부문 EA 서비스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11 (11): 409-426, 2014

      8 정보통신부, "공공기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본계획(2007년~2009년)" 2006

      9 DeLone, W. H.,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A Ten-Year Update" 19 (19): 9-30, 2003

      10 Liimatainenm, K., "Overview of Enterprise Architecture work in 15 countries" Finnish ENterprise Architecture Research Project, Finland Ministry of Finance 2007

      11 Peter Engelund Christansen, "International Enterprise Architecture Survey Trends in governmental Enterprise Architecture on a national level" 2006

      12 DeLone, W. H.,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3 (3): 60-95, 1992

      13 Barney, J.,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17 (17): 99-120, 1991

      14 장윤희, "EA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요인들과 EA 운영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1 (21): 1569-1593, 2008

      15 신다울, "EA 서비스 성과모형 개발 및 품질항목별 AHP 분석"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10 (10): 467-478, 2013

      16 김상훈, "EA 담당조직의 역할, EA 활용역량 및 EA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9 (9): 27-42, 2010

      17 United Nations, "E-Government Survey 2014" 2014

      18 Anthopoulos, Leonidas, "An investigate assessment of the role of enterprise architecture in realizing egovernemnt transformation" Enterprise Architecture for connected E-Government : Practices and innovations 2012

      19 Bernard, S., "An Introduction to Enterprise Architecture" 2004

      20 Hall, R, "A Framework Linkig Intangibl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14 (14): 607-618, 1993

      2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EA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3

      2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EA 성숙도 결과보고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ITA학회 ->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 Korea Institute of Enterprise Architec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기술아키텍처 연구 -> 정보화연구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 0.571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