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lin hat eine kritische Reflexion über technologisch orientierte Smart Cities durchgeführt und damit begonnen, eine neue Smart City mit dem Namen “Berlin Lebenswert smart” für eine nachhaltige städtische Entwicklun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04210
오민정 (성균관대학교)
2023
Korean
Smartcity ; CityLab Berlin ; Sympoiesis ; Partizipation ; Berlin lebenswert smart ; 스마트시티 ; 시티랩 베를린 ; 심포이에시스 ; 시민참여 ; 베를린 살기 좋은 스마트
KCI등재
학술저널
311-33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rlin hat eine kritische Reflexion über technologisch orientierte Smart Cities durchgeführt und damit begonnen, eine neue Smart City mit dem Namen “Berlin Lebenswert smart” für eine nachhaltige städtische Entwicklung...
Berlin hat eine kritische Reflexion über technologisch orientierte Smart Cities durchgeführt und damit begonnen, eine neue Smart City mit dem Namen “Berlin Lebenswert smart” für eine nachhaltige städtische Entwicklung aufzubauen. In dieser Smart City beteiligen sich alle Bürger gemeinsam im Sinne des Gemeinwohls. Diese Studie wird die Geschichte von Berlin Smart City und “CityLab Berlin”, die zentrale Achse von Berlin Smart City, analysieren. Wir blicken auf die künftige Stadt, in der die Menschen demokratisch leben. Die Beteiligung der Bürger ist wichtig für die Smart City der Zukunft. Die technologisch orientierte städtische Entwicklung, die von Unternehmen und Regierungen geführt wird, hat viele Nebenwirkungen gehabt. Daher ist es notwendig, Städte für ein nachhaltiges Zusammenleben von Natur und Menschen zu entwickeln. Die wichtigsten Prinzipien der Stadtentwicklung werden in “Sympoiesis” von Donna Haraway hervorgehoben. Städte sollten einen Raum bieten, in dem der menschliche Geist und der menschliche Körper frei leben können. Bürger unterschiedlicher Herkunft können zusammenleben und sozial Benachteiligte und marginalisierte Menschen einbezogen werden. Dies kann durch “Sympoiesis” im Sinne Donna Haraways erreicht werden. Auf der Grundlage von Haraways “staying with” und “making-with” kommunizieren und kooperieren wir mit allen Beteiligten (insbesondere mit den Bürgern) um Stadtprobleme (Staying with the Trouble) offen zu legen. Es ist möglich, eine Smart City zu schaffen, indem eine “Sympoiesis”-Kultur der Beteiligung der Bürger geschaffen wird.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베를린시는 기술 중심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비판적 성찰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베를린 살기 좋은 스마트 Berlin lebenswert smart”라는 이름의 새로...
독일 베를린시는 기술 중심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비판적 성찰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베를린 살기 좋은 스마트 Berlin lebenswert smart”라는 이름의 새로운 스마트시티 건설을 시작했다. 베를린 스마트시티는 모든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공공의 가치를 찾고 공동선을 추구하는 “심포이에시스 sympoiesis”적 스마트시티를 지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를린시의 스마트시티 진화 과정과 베를린 스마트시티의 중심축인 “시티랩 베를린CityLab Berlin”의 시민참여형 “심포이에시스”적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문화적존재 homo culturalis 인간의 삶의 가치를 담은 미래 도시, 스마트시티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고찰하고, 미래 도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본다. 이제 도시는기업과 정부가 주도하는 기술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시민의 협력적⋅공동창조적 참여의 힘으로, 기술의 진화보다는 자연과 인간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한 “심포이에시스”적 도시의 진화를 일으켜야 한다. 그리고 우리의 도시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가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미래 도시는 다양한 연령과 계층이 함께 살아가는 공간 구축을 지향하고, 사회적 약자 및 소외된 계층을 모두 포용하여 다채로운 삶의 방식을 인정하는 도시가 되어야 한다. 이는 도나 해러웨이가 주장하는 “심포이에시스”의 가치를 통해 만들 수 있다. “함께하기 staying with”, “함께 만들기 making-with”의 철학을 기반으로 모든 다양한 참여자들(시민)과 “트러블과 함께 staying with the trouble”하며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도시의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심포이에시스”적 시민참여 문화를 이루는 일은 스마트시티 진화에새로운 르네상스를 일으킬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괴테, 요한 볼프강 폰, "파우스트. 한 편의 비극2" 책세상 2012
2 괴테, 요한 볼프강 폰, "파우스트. 한 편의 비극1" 책세상 2012
3 이민화, "자기조직화 하는 스마트시티 4.0" 창조경제연구회 2018
4 멈퍼드, 루이스, "역사 속의 도시 Ⅱ" 지식을만드는지식 2016
5 타운센드, 앤서니, "스마트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MID 2019
6 오민정, "미래도시와 기술혁명의 공공성" 산과글 2021
7 멈퍼드, 루이스, "기술과 문명" 책세상 2013
8 신종락, "『파우스트』에 나타난 대립구도를 통한 인간 욕망 비판" 인문학연구원 (76) : 33-57, 2020
9 "https://smart-city-berlin.de/smart-city-berlin/strategieprozess"
10 "https://radwege-check.de/auswertung/"
1 괴테, 요한 볼프강 폰, "파우스트. 한 편의 비극2" 책세상 2012
2 괴테, 요한 볼프강 폰, "파우스트. 한 편의 비극1" 책세상 2012
3 이민화, "자기조직화 하는 스마트시티 4.0" 창조경제연구회 2018
4 멈퍼드, 루이스, "역사 속의 도시 Ⅱ" 지식을만드는지식 2016
5 타운센드, 앤서니, "스마트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MID 2019
6 오민정, "미래도시와 기술혁명의 공공성" 산과글 2021
7 멈퍼드, 루이스, "기술과 문명" 책세상 2013
8 신종락, "『파우스트』에 나타난 대립구도를 통한 인간 욕망 비판" 인문학연구원 (76) : 33-57, 2020
9 "https://smart-city-berlin.de/smart-city-berlin/strategieprozess"
10 "https://radwege-check.de/auswertung/"
11 "https://mein.berlin.de/text/chapters/14715/?initialSlide=15"
12 "https://gemeinsamdigital.berlin.de/de/"
13 "https://de.statista.com/statistik/daten/studie/662560/umfrage/urbanisierung-in-deutschland/"
14 "https://citylab-berlin.org/de/projects/giess-den-kiez/\"
15 "https://citylab-berlin.org/de/projects/digitale-tools-fuer-radwegeplanung/"
16 "https://citylab-berlin.org/de/about-us/"
17 "https://citylab-berlin.org/de/about-us/"
18 BMBF, "Zukunftsstadt"
19 Hollands, Robert, "Will the real smart city please stand up?" 12 (12): 303-321, 2008
20 Haraway, Donna,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ke University Press 2016
21 Singh, Sarwant, "Smart Cities – A $1.5 Trillion Market Opportunity" Forbes
22 Palmisano, Samuel J, "Shining Cities on a Smarter Planet" The Huffington Post
23 Mannville, Catriona, "Policy Department A: Economic and Sciencetific Policy" European Parliament 2014
24 BMI, "Modellprojekte Smart Cities 2020"
25 Rintelen, Heiko, "Making Berlin a more bikeable 발표 및 면담"
26 Kanter, Rosabeth Moss, "Informed and Interconnected: A Manifesto for Smarter Cities" Harvard Business School 1-27, 2009
27 Mumford, Lewis, "Findings and Keepings"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5
28 고주현 ; 이연호 ; 김현준, "EU 스마트도시(Smart City)모델과 발전전략 연구" 한국유럽학회 37 (37): 197-225, 2019
29 Haan, Gerherd, "Die Berliner Smart City Vision, iF-Schriftenreihe Sozialwissenschaftliche Zukunftsforschung" 2017
30 Susanne Dirks, "A vision of smarter cities: How cities can lead the way into a prosperous and sustainable future" IBM Global Business Services 2009
31 슈밥, 클라우스, "4차 산업 혁명의 충격" 흐름출판 2016
32 김도년, "19세기 베를린이 ‘스마트시티에 주는 교훈" 서울경제
예술과 손기술, 그 닮음과 차이에 관한 시대적 변주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에 나타난 예술 이해와 발터 그로피우스의 바우하우스 건립 이념 비교
베차 카네티의 노란 거리 - 20세기 초 여성문학으로서 새롭게 읽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치료과정에서 대화의 의미와 정신분석학 개념들의 형성에 대한 고찰
초기 릴케의 상징주의 수용 연구 - 뮌헨 시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