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로야구 관중의 응원활동만족이 응원활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응원활동만족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cheering activity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spectators and cheering activity effec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2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각 프로야구 구단은 다양한 응원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응원활동으로 인한 응원활동만족은 팀 충성도, 재관람의도, 관람태도 등의 응원활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각 프로야구 구단은 다양한 응원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응원활동으로 인한 응원활동만족은 팀 충성도, 재관람의도, 관람태도 등의 응원활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응원활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응원활동의 어떤 하위요인이 응원활동효과에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프로야구 응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응원활동만족 요인을 설정한다. 둘째, 기존의 프로야구 응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응원활동만족이 팀 충성도, 관람태도, 재관람의도 이 외에 어떠한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응원활동만족 중 어떤 요인이 각각의 응원활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응원활동만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응원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대전과 잠실에서 펼쳐진 한국 프로야구 경기를 관람한 관중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4부를 제외한 296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응원활동만족이 관람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응원단장, 음향, 응원도구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원활동만족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응원단장, 치어리더, 음향, 경기장 이벤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원활동만족이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먼저 행동적 충성도에 있어서는 응원단장, 응원도구, 치어리더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적 충성도에 있어서는 응원도구, 응원단장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응원활동만족이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음향, 응원도구, 응원단장이 관람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응원활동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응원단장, 경기장 이벤트, 치어리더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f cheering activity, attitude toward watching, intention of game revisit, viewing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team loyalty(attitudinal and behavioral) by pr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f cheering activity, attitude toward watching, intention of game revisit, viewing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team loyalty(attitudinal and behavioral) by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research was employed. The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were distributed to the 300 spectators who viewed professional baseball games at Daejeon and Jamsil stadium. 296 out of 300 responses were selected for the effected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frequency, analysis on primary factor, t-test and one way ANOVA of independent sample,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by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bove analysis.
      First, the captain of a cheerleading squad, sound, and cheering too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watching. Second, The captain of a cheerleading squad, cheerleader, sound, and stadium even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 of game revisit. Third, The captain of a cheerleading squad,cheering tool, and cheerleader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loyalty. Cheering tool, the captain of a cheerleading squad have influence on attitudinal loyalty. Fourth, the captain of a cheerleading squad, sound, and cheering too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Fifth, the captain of a cheerleading squad, stadium event, and cheerleader have influence on word-of-mouth int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문제와 목적 1
      • 제 1 항 문제의 제기 1
      • 제 2 항 연구의 목적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문제와 목적 1
      • 제 1 항 문제의 제기 1
      • 제 2 항 연구의 목적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 제 1 절 프로스포츠 응원활동 4
      • 제 2 절 한국프로야구 응원활동 4
      • 제 1 항 80년대의 응원활동 5
      • 제 2 항 90년대의 응원활동 7
      • 제 3 항 2000년대 이후의 응원활동 11
      • 제 3 절 응원활동의 이론적 배경 14
      • 제 1 항 응원활동만족 14
      • 제 2 항 응원활동 효과 15
      • 제 3 항 용어의 정의 18
      • 제 3 장 연구설계와 분석방법 20
      • 제 1 절 연구설계 20
      • 제 1 항 연구방법 20
      • 제 2 항 조사도구 20
      • 제 2 절 가설설정 22
      • 제 3 절 자료 분석 방법 22
      • 제 4 장 실증분석 24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 제 2 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5
      • 제 1 항 응원활동만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6
      • 제 2 항 구전의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8
      • 제 3 항 재관람의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8
      • 제 4 항 팀 충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9
      • 제 5 항 관람태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0
      • 제 6 항 관람만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1
      • 제 3 절 개방형 설문지 분석 32
      • 제 4 절 기술통계적 분석 34
      • 제 1 항 응원활동만족 34
      • 제 2 항 구전의도 및 재관람의도 37
      • 제 3 항 팀 충성도 39
      • 제 4 항 관람태도 및 관람만족 41
      • 제 5 절 가설의 검증 43
      • 제 1 항 각 변수간 상관관계 검증 43
      • 제 2 항 가설의 검증 44
      • 제 6 절 결과분석 51
      • 제 5 장 논의 52
      • 제 1 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52
      • 제 2 절 응원활동만족을 높이는 방안 55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60
      • 제 1 절 결론 60
      • 제 2 절 제언 61
      • 참 고 문 헌 62
      • 부록-설문지 64
      • Abstract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