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英祖代 皇朝人 대한 인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황조인은 조선 중기까지 중국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이다가 영조 대에 와서 명나라 유민으로 조선에 들어와 정착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황조인 개념이 생성된 배경을 보면 兩亂 이후 국가 재건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념적 기반으로, 효종 때의 '北伐論'은 이후 '尊周論'으로 대체되었고, 숙종 때 대보단 창설로 小中華主義의 정당성이 확보되었다. 영조 때에는 대보단의 확대개편 및 양란에 희생된 충신열사에 대한 현창 작업 등이 이루어졌다. 영조는 존주론과 대명의리론에 대한 자신의 이론화 작업에 힘썼다. 이는 ‘風泉’의식의 유포, 御製書의 편찬과 교육, 다수의 英祖御製 저술 등으로 표현되었다. 영조 때의 황조인과 그 후손에 대한 정책은 忠良科의 설치, 대보단에 三皇 배향, 황단 守直임무, 관직 제수, 贈職 등으로 시행되었다. 또 황조인의 명부인『華人錄』을 만들어 향화인과 차별된 우대책을 시행했다. 한편 영조의 '風泉'의식이 널리 전파되어, 당대의 지식인들은 그 개념을 작품 속에 썼다. 이규상의 幷世才彦錄과 宋奎斌의 風泉遺響 등이 그것이다. 황조인에 대한 일반 민의 생각은 황조인의 우대책으로 인해 그들의 처지를 시기하고 부러워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영조 시기 황조인에 대한 인식은 대명의리론과 존주론을 기반으로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드러났고, 황조인에 대한 정책 또한 같았다. 향화인과는 다른, 명의 후손을 보호하고 우대하는 가운데 조선의 위상을 분명히 하려는 정치적 이념이 깔린 것이다.
      번역하기

      황조인은 조선 중기까지 중국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이다가 영조 대에 와서 명나라 유민으로 조선에 들어와 정착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황조인 개념이 생성된 배경을 보면 兩亂 ...

      황조인은 조선 중기까지 중국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이다가 영조 대에 와서 명나라 유민으로 조선에 들어와 정착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황조인 개념이 생성된 배경을 보면 兩亂 이후 국가 재건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념적 기반으로, 효종 때의 '北伐論'은 이후 '尊周論'으로 대체되었고, 숙종 때 대보단 창설로 小中華主義의 정당성이 확보되었다. 영조 때에는 대보단의 확대개편 및 양란에 희생된 충신열사에 대한 현창 작업 등이 이루어졌다. 영조는 존주론과 대명의리론에 대한 자신의 이론화 작업에 힘썼다. 이는 ‘風泉’의식의 유포, 御製書의 편찬과 교육, 다수의 英祖御製 저술 등으로 표현되었다. 영조 때의 황조인과 그 후손에 대한 정책은 忠良科의 설치, 대보단에 三皇 배향, 황단 守直임무, 관직 제수, 贈職 등으로 시행되었다. 또 황조인의 명부인『華人錄』을 만들어 향화인과 차별된 우대책을 시행했다. 한편 영조의 '風泉'의식이 널리 전파되어, 당대의 지식인들은 그 개념을 작품 속에 썼다. 이규상의 幷世才彦錄과 宋奎斌의 風泉遺響 등이 그것이다. 황조인에 대한 일반 민의 생각은 황조인의 우대책으로 인해 그들의 처지를 시기하고 부러워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영조 시기 황조인에 대한 인식은 대명의리론과 존주론을 기반으로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드러났고, 황조인에 대한 정책 또한 같았다. 향화인과는 다른, 명의 후손을 보호하고 우대하는 가운데 조선의 위상을 분명히 하려는 정치적 이념이 깔린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conception of "Hwangjoin(皇朝人)"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in the Joseon Dynasity. Originally, Hwangjoin meant the Chinese people till the mid-term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meaning was changed to the immigrants from the Ming(明) dynasty in reign of King Youngjo. They were Han Chinese(漢族) and moved to the Joseon between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in 1636. The Joseon government gave a warm welcome to them. Two wars made the Joseon governmen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restoration and served the entrance of 'Sallim(山林)' on the central government as a momentum. Song, Siyeol(宋時烈) was the leader of Sallim, who made an issue of 'Daecheong-boksu Discourse(對淸復讐論;to revenge on Ching(淸) Dynasty)' like a way of 'Bukbeol(北伐;to attack Ching Dynasty)'. His plan came to fail because of the death of King Hyojong and was replaced with Jonju Discourse(尊周論;respect for Zhou Dynasty). Daebodan(大報壇) was built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which meant Joseon got the justness that they inherited from the Ming Dynasty. Later Daebodan expanded and it led to works in honor of loyal subjects and patriots, victims of two wars and a policy of a warm reception for Hwangjoin. King Youngjo did his best to theorize Daemyeong Euiri Discourse(對明義理論) and Jonju Discourse for himself. His efforts came out as a spread of conception on Pungcheon(風泉;fengquan), publication and education of Eoje-seo(御製書) and making literary works(英祖御製). King Youngjo employed many policies for Hwangjoin. First, operation of Chungnyanggwa(忠良科) opened a door for them to go into politics. Second, descendants of Hwangjoin had charge of Hwangdan's guard(皇壇 守直) posts. and joined in the sacrificial rites of Ming Emperors. Third, they could have government jobs and honorary posts for ancestors' merits. Fourth, a list of Hwangjoin, Hwainlok(華人錄) was published and they got preferential treatment unlike Hyanhwain(向化人). King Young's Pungcheon(風泉) had an effect on literature such as Lee, Gyusang(李奎象)'s Beong-sejaeunlok(幷世才彦錄) and Song, Gyubin(宋奎斌)'s Pungcheon-yuhyang(風泉遺響). The general people of Joseon were jealous and envious of them because of special treatment polices for Hwangjoin. So people wanted to be included in Hwangjoin as far as possible and there were cases of pretending to be a Hwangjoin. The conception of "Hwangjoin(皇朝人)"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was realized as the policy for Hwangjoin based on Daemyeong Euiri Discourse(對明義理論) and Jonju Discourse(尊周論). It was a way of becoming clear about Joseon's position in political principle.
      번역하기

      This paper is about the conception of "Hwangjoin(皇朝人)"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in the Joseon Dynasity. Originally, Hwangjoin meant the Chinese people till the mid-term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meaning was changed to the immigrants ...

      This paper is about the conception of "Hwangjoin(皇朝人)"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in the Joseon Dynasity. Originally, Hwangjoin meant the Chinese people till the mid-term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meaning was changed to the immigrants from the Ming(明) dynasty in reign of King Youngjo. They were Han Chinese(漢族) and moved to the Joseon between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in 1636. The Joseon government gave a warm welcome to them. Two wars made the Joseon governmen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restoration and served the entrance of 'Sallim(山林)' on the central government as a momentum. Song, Siyeol(宋時烈) was the leader of Sallim, who made an issue of 'Daecheong-boksu Discourse(對淸復讐論;to revenge on Ching(淸) Dynasty)' like a way of 'Bukbeol(北伐;to attack Ching Dynasty)'. His plan came to fail because of the death of King Hyojong and was replaced with Jonju Discourse(尊周論;respect for Zhou Dynasty). Daebodan(大報壇) was built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which meant Joseon got the justness that they inherited from the Ming Dynasty. Later Daebodan expanded and it led to works in honor of loyal subjects and patriots, victims of two wars and a policy of a warm reception for Hwangjoin. King Youngjo did his best to theorize Daemyeong Euiri Discourse(對明義理論) and Jonju Discourse for himself. His efforts came out as a spread of conception on Pungcheon(風泉;fengquan), publication and education of Eoje-seo(御製書) and making literary works(英祖御製). King Youngjo employed many policies for Hwangjoin. First, operation of Chungnyanggwa(忠良科) opened a door for them to go into politics. Second, descendants of Hwangjoin had charge of Hwangdan's guard(皇壇 守直) posts. and joined in the sacrificial rites of Ming Emperors. Third, they could have government jobs and honorary posts for ancestors' merits. Fourth, a list of Hwangjoin, Hwainlok(華人錄) was published and they got preferential treatment unlike Hyanhwain(向化人). King Young's Pungcheon(風泉) had an effect on literature such as Lee, Gyusang(李奎象)'s Beong-sejaeunlok(幷世才彦錄) and Song, Gyubin(宋奎斌)'s Pungcheon-yuhyang(風泉遺響). The general people of Joseon were jealous and envious of them because of special treatment polices for Hwangjoin. So people wanted to be included in Hwangjoin as far as possible and there were cases of pretending to be a Hwangjoin. The conception of "Hwangjoin(皇朝人)"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was realized as the policy for Hwangjoin based on Daemyeong Euiri Discourse(對明義理論) and Jonju Discourse(尊周論). It was a way of becoming clear about Joseon's position in political princi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英祖의 皇朝人인식
      • 1. 황조인의 개념
      • 2. 황조인 개념의 생성 배경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英祖의 皇朝人인식
      • 1. 황조인의 개념
      • 2. 황조인 개념의 생성 배경
      • 3. 영조의 황조인에 대한 인식
      • Ⅲ. 皇朝人에 대한 정책
      • 1. 忠良科설치
      • 2. 대보단의 확대개편에 따른 守直除授및 후손의 參壇
      • 3. 증직 및 관직제수
      • 4. 황조인의 帳簿및 徭役상의 특혜
      • Ⅳ. 皇朝人에 대한 民의 인식
      • 1. 風泉; 지식인의 인식
      • 2 황조인에 대한 일반 민의 인식
      • Ⅴ.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肯翊, "練藜室記述"

      2 박광용, "탕평론의 전개와 정국의 변화 in: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3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7

      4 이태진, "조선후기 對明義理論의 변천"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0 : 1994

      5 정경희, "영조후반기(1749-1776년) 경연과 영조의 의리론 강화" 162 : 1999

      6 노혜경, "영조어제에 나타나는 영조의 시간인식" 2006

      7 노대환, "숙종 영조대 對明義理論의 정치 사회적 기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53-179, 2003

      8 정옥자, "대보단 창설에 관한 연구 in: 변태섭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삼영사 1985

      9 "風泉錄"

      10 何冠彪, "記朝鮮漢人王德九“皇朝遺民錄”" 國立古宮博物院編輯出版 6 (6): 1988

      1 李肯翊, "練藜室記述"

      2 박광용, "탕평론의 전개와 정국의 변화 in: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3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7

      4 이태진, "조선후기 對明義理論의 변천"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0 : 1994

      5 정경희, "영조후반기(1749-1776년) 경연과 영조의 의리론 강화" 162 : 1999

      6 노혜경, "영조어제에 나타나는 영조의 시간인식" 2006

      7 노대환, "숙종 영조대 對明義理論의 정치 사회적 기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53-179, 2003

      8 정옥자, "대보단 창설에 관한 연구 in: 변태섭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삼영사 1985

      9 "風泉錄"

      10 何冠彪, "記朝鮮漢人王德九“皇朝遺民錄”" 國立古宮博物院編輯出版 6 (6): 1988

      11 "英祖御製殿中所講賡進幷"

      12 "英祖御製八旬心亦粍賡進幷"

      13 "英祖實錄"

      14 조융희, "英祖 御製와 ‘風泉’, 그리고 ‘風泉’의 典故化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 : 117-142, 2008

      15 "肅宗實錄"

      16 정경희, "正祖의 『義理論』에 대하여" 29 (29): 2003

      17 "正祖實錄"

      18 정옥자, "正祖代 對明義理論의 整理作業" 18 (18): 1992

      19 劉春蘭, "明⋅淸 交替期 漢族의 朝鮮移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20 "承政院日記"

      21 "御製風泉錄" 국립중앙도서관

      22 "御製風泉錄"

      23 "御製追慕昔年"

      24 "御製月臺懸題而回瞻中日廳而記"

      25 "御製拜敬奉"

      26 "御製憶萬壽懷千萬"

      27 "尊周彙編"

      28 "大報壇事筵說"

      29 "備邊司謄錄"

      30 "仁祖實錄"

      31 "中朝人收用傳敎"

      32 李奎象, "18세기 조선인물지-幷世才彦錄" 창작과비평사 1997

      33 유봉학, "18·9세기 大明義理論과 對淸意識의 推移" 5 :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