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신화 스토리텔링의 프로세스 -< 라이프 오브 파이 >와 < 빅 피쉬 >를 통하여- = Process of Modern Myth Storytelling-From < Life of Pi > and < Big Fish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3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Life of Pi 〉 is mainly about Pi who had survived from a sunken ship. 〈Big Fish〉 is mainly about Edward Bloom`s amazing experiences. Both lives of Pie and Edward are fantastic and mythical stories and also full of bizarre happenings. In [Life of Pi] a novelist listens to the story of Pi and he quotes that story. In [Big Fish], the stories are belong to Dad(Edward Bloom) but mainly we are delivered the story by the Son(Will Bloom). The fantasies of these two movies are standing on the edge between truth and falsehood. Pi from 〈Life of Pi〉 told the accident inspectors drift with a tiger but the inspecto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tory. Pi should told them another story. The son from 〈Big Fish〉 regarded his father`s story totally fake. However facing his father`s last moment the son completed father`s fake story. These two movies bring heroic myth into the territory of faith. In the territory of faith, the myth is sutured by the order of the symbolic. In this process, modern myth becomes social order and principle. This study exposed myth by showing this process.
      번역하기

      〈 Life of Pi 〉 is mainly about Pi who had survived from a sunken ship. 〈Big Fish〉 is mainly about Edward Bloom`s amazing experiences. Both lives of Pie and Edward are fantastic and mythical stories and also full of bizarre happenings. In [Life...

      〈 Life of Pi 〉 is mainly about Pi who had survived from a sunken ship. 〈Big Fish〉 is mainly about Edward Bloom`s amazing experiences. Both lives of Pie and Edward are fantastic and mythical stories and also full of bizarre happenings. In [Life of Pi] a novelist listens to the story of Pi and he quotes that story. In [Big Fish], the stories are belong to Dad(Edward Bloom) but mainly we are delivered the story by the Son(Will Bloom). The fantasies of these two movies are standing on the edge between truth and falsehood. Pi from 〈Life of Pi〉 told the accident inspectors drift with a tiger but the inspecto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tory. Pi should told them another story. The son from 〈Big Fish〉 regarded his father`s story totally fake. However facing his father`s last moment the son completed father`s fake story. These two movies bring heroic myth into the territory of faith. In the territory of faith, the myth is sutured by the order of the symbolic. In this process, modern myth becomes social order and principle. This study exposed myth by showing this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캐서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2 나병철, "환상과 리얼리티" 문예출판사 2010

      3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4 김대우, "프로이드와 종교 그리고 『파이 이야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얀 마텔, "파이이야기" 작가정신 2004

      6 다니엘 월러스, "큰 물고기" 동아시아 2004

      7 마이클 센델,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8 마단 사럽, "알기 쉬운 자끄 라깡" 백의 1994

      9 맹정현, "신화론" 현대미학사 1995

      10 팀 버튼, "빅 피쉬" 소니픽쳐스 2003

      1 캐서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2 나병철, "환상과 리얼리티" 문예출판사 2010

      3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4 김대우, "프로이드와 종교 그리고 『파이 이야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얀 마텔, "파이이야기" 작가정신 2004

      6 다니엘 월러스, "큰 물고기" 동아시아 2004

      7 마이클 센델,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8 마단 사럽, "알기 쉬운 자끄 라깡" 백의 1994

      9 맹정현, "신화론" 현대미학사 1995

      10 팀 버튼, "빅 피쉬" 소니픽쳐스 2003

      11 김대환, "박정희 정권의 경제개발 : 신화와 현실" 역사비평사 25 : 48-63, 1993

      12 김서영, "라캉과 벤야민" 112 (112): 408-417, 2005

      13 이안, "라이프 오브 파이" 20세기폭스 2012

      14 맹정현, "라깡의 재탄생" 창작과비평사 2002

      15 김한식, "국가주의와 문학, 신화와 거짓의 위험한 내면화" 62 : 138-156, 2005

      16 Silvio Gaggi, "From Text To Hypertex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miotic inquiry -> Semiotic Inquir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1.3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