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6
2 "한국 외래어에 관한 서설" 1970
3 "의 사용과 그 고쳐 씀에 관한 실태 서구어를 중심으로" 1978
4 "우리말 硏究史" 정음사 1983
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말 바로 쓰기" 현암사 2000
6 "연구 어문학 교육"
7 "번역문에 나타난 국어의 모습" 1990
8 "남북한언어에 있어서의 일본어의 영향" 한국외대일본연구소 17 : 2002
9 "개화기 외래어와 신 용어" 계명대학교 1987
10 "開化新文明語彙의 成立過程" 1989
1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6
2 "한국 외래어에 관한 서설" 1970
3 "의 사용과 그 고쳐 씀에 관한 실태 서구어를 중심으로" 1978
4 "우리말 硏究史" 정음사 1983
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말 바로 쓰기" 현암사 2000
6 "연구 어문학 교육"
7 "번역문에 나타난 국어의 모습" 1990
8 "남북한언어에 있어서의 일본어의 영향" 한국외대일본연구소 17 : 2002
9 "개화기 외래어와 신 용어" 계명대학교 1987
10 "開化新文明語彙의 成立過程" 1989
11 "近代語の成立·文體編" 明治書院 1991
12 "近代日本語の新硏究" 櫻楓社 1992
13 "近代日本語における受身表現の 遷 韓國語との比較考察" 廣島大學大學院 1999
14 "近代文體發生の史的硏究" 岩波書店 1965
15 "近代文章成立の諸相" 和泉書院 1988
16 "言語의接觸과 干涉類型에 대하여-現代韓國語와 日本語의 경우" 聖心女子大學論文集 第10輯 1979
17 "現代文法との史的對照 講座日本語學3"
18 "明治時代語の硏究 語彙と文章" 明治書院 1981
19 "日本文法學槪論" 文館 p.127 1936
20 "1900년대 初期에 나타난 外來語 考察 한국어문학연구" 12 이화여자대학교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