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ynamic Efforts for the Prosperity of the Homeland : 조국의 부강번영을 위한 적극 투쟁: 북한 해외동포정책에 대한 경제적 분석 :A Study of the Economic Dimension to North Korea’s Overseas Compatriots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92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there is evidence that, despite everyth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or North Korea, in fact has been pursuing the “China model” of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and opening-up without changing the political system. North Korea’s effort to improve its economy can be studied through a close look at a generally ignored facet of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Pyongyang’s approach to “overseas compatriots”, in other words the Korean diaspora.
      The precedent for mobilizing overseas nationals as part of an economic development plan is a key element in the China model itself, considering the important role that overseas Chinese (huaqiao) played in the first stages of “reform and opening-up” as the only “capitalists” Beijing could trust. Similarly, Pyongyang has tried—albeit less successfully—to recruit overseas Koreans to assist in “economic construc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hidden economic dimension to North Korea’s overseas compatriots policy in order to show how the DPRK has tried, and failed, to mobilize ethnic Korean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o help them open-up econom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economic dimen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verview of North Korea’s overall concept of overseas Koreans. Through a close study of the views about and messages to overseas compatriots by Kim Il Sung, Kim Jong Il and North Korean state media, this thesis explains the central importance of three ideas that define North Korea’s approach to the disaspora: minjok, democratic minjok right, and gifts. In addition to these core concepts, North Korean materials use illustrative examples of North Korean leaders’ meetings with overseas businessmen to signal their economic approach to the Korean diaspora. Chapters three and four provide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se concepts and messages.
      In order to put the general concepts and illustrative examples in context, this thesis next examines key developments over the past few decades in North Korea’s actual approach toward overseas Koreans, with a focus on drawing out the economic dimension to overseas compatriots policies. In this historical sketch of overseas compatriots policy, the focal point of North Korea’s attention can be seen to evolve over time, from an early focus on the large zainichi community in Japan, to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growing Korean-America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most recently, to an intensifying relationship with chaoxianzu in the bordering provinces of China.
      The conclusion returns to the questions of how to understand North Korea’s effort to open-up and develop its economy based on its efforts to use overseas compatriots as “safe” capital, why North Korea feels it has to hide such efforts, and why these efforts so far have not been as successful as the DPRK hopes. The conclusion offers some basic recommendations for how North Korea’s efforts to leverage overseas Korean resources in support of “economic construction” could be done more effectively by taking the Chinese experience as a model.

      Keywords: North Korea and overseas compatriots,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North Korean economic policies, overseas Korean diaspora, Chinese model, “minjok”
      번역하기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there is evidence that, despite everyth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or North Korea, in fact has been pursuing the “China model” of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and opening-up without c...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there is evidence that, despite everyth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or North Korea, in fact has been pursuing the “China model” of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and opening-up without changing the political system. North Korea’s effort to improve its economy can be studied through a close look at a generally ignored facet of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Pyongyang’s approach to “overseas compatriots”, in other words the Korean diaspora.
      The precedent for mobilizing overseas nationals as part of an economic development plan is a key element in the China model itself, considering the important role that overseas Chinese (huaqiao) played in the first stages of “reform and opening-up” as the only “capitalists” Beijing could trust. Similarly, Pyongyang has tried—albeit less successfully—to recruit overseas Koreans to assist in “economic construc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hidden economic dimension to North Korea’s overseas compatriots policy in order to show how the DPRK has tried, and failed, to mobilize ethnic Korean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o help them open-up econom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economic dimen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verview of North Korea’s overall concept of overseas Koreans. Through a close study of the views about and messages to overseas compatriots by Kim Il Sung, Kim Jong Il and North Korean state media, this thesis explains the central importance of three ideas that define North Korea’s approach to the disaspora: minjok, democratic minjok right, and gifts. In addition to these core concepts, North Korean materials use illustrative examples of North Korean leaders’ meetings with overseas businessmen to signal their economic approach to the Korean diaspora. Chapters three and four provide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se concepts and messages.
      In order to put the general concepts and illustrative examples in context, this thesis next examines key developments over the past few decades in North Korea’s actual approach toward overseas Koreans, with a focus on drawing out the economic dimension to overseas compatriots policies. In this historical sketch of overseas compatriots policy, the focal point of North Korea’s attention can be seen to evolve over time, from an early focus on the large zainichi community in Japan, to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growing Korean-America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most recently, to an intensifying relationship with chaoxianzu in the bordering provinces of China.
      The conclusion returns to the questions of how to understand North Korea’s effort to open-up and develop its economy based on its efforts to use overseas compatriots as “safe” capital, why North Korea feels it has to hide such efforts, and why these efforts so far have not been as successful as the DPRK hopes. The conclusion offers some basic recommendations for how North Korea’s efforts to leverage overseas Korean resources in support of “economic construction” could be done more effectively by taking the Chinese experience as a model.

      Keywords: North Korea and overseas compatriots,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North Korean economic policies, overseas Korean diaspora, Chinese model, “minjo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년간 경제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과 그와 반대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을 바라보면서 사람들은 의아해 한다. “왜 북한은 중국모델을 따라가지 않는가”.
      그러나 이런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북한은 중국 모델-즉 정치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발전을 위한 개방을 꾀하는-을 추구해왔으며 경제상황을 개선하려는 북한의 이러한 노력은 일반적으로 간과되었던 북한의 “국제”관계, 즉 해외동포에 대한 접근법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중국모델에서 “개혁 개방”의 초기 단계에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자본가”로서 화교가 얼마나 큰 역할을 담당했는가를 고려했을 때, 경제 발전 계획에 있어서 화교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마찬가지로- 중국처럼 성공적이지는 못했으나-, 북한 역시 그들의 “경제 건설”에 해외동포를 끌어들이려 노력했다. 본 논문은 북한이 경제발전과 그를 위한 개방에 도움을 얻고자 세계 곳곳의 해외동포들을 동원하려 어떻게 시도 했으며 실패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북한 해외동포 정책의 숨겨진 경제적 측면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서 북한의 해외동포에 대한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김일성과 김정일 그리고 북한 국영 언론매체가 해외동포를 보는 관점 그리고 그들에게 전하고자하는 메세지를 자세히 살펴본다. 이를 통해 북한의 해외동포에 대한 접근법을 정의할 수 있는 중요 개념으로서 ‘민족’, ‘민족주의 민족권리’, ‘선물’ 이 세가지 단어를 선택하고 이 들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북한은 서적과 언론매체등을 통해서 북한 지도자들과 해외동포 사업가들과의 만남을 자세하게 다루므로써 이를 해외동포들에게 그들의 경제적 관심을 전하는 메세지로 사용한다. 본 논문의 제3장과 4장에서는 이 세가지 개념들과 메세지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한다.
      제5장에서는 이 개념들에 대한 좀더 자세한 예를 제시하기 위해 북한의 해외동포 정책의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최근 수십년동안 북한이 실제로 어떤 정책을 발전시켜 왔는가를 알아본다. 이러한 정책의 역사를 통해 북한의 해외동포 정책의 포커스가 초기 재일동포에서 재미동포인구의 증가에 대한 관심으로 또 최근 중국 접경지역 조선족들과의 심화되는 관계로 발전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에서는 북한이 해외동포를 “안전한” 자본으로 이용하려는 노력을 통해 그 들의 경제발전과 개방에 대한 노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왜 북한은 이 의도를 감추려 하는가, 왜 지금까지의 이 노력들이 의도한만큼 성공하지 못했는가하는 질문으로 돌아간다. 또한 중국의 경험을 모델로 북한이 어떻게 하면 해외동포를 “경제건설”을 위한 자원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제언을 담고 있다.





      번역하기

      지난 20년간 경제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과 그와 반대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을 바라보면서 사람들은 의아해 한다. “왜 북한은 중국모델을 따라가지 않는가”. 그러나 이...


      지난 20년간 경제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과 그와 반대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을 바라보면서 사람들은 의아해 한다. “왜 북한은 중국모델을 따라가지 않는가”.
      그러나 이런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북한은 중국 모델-즉 정치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발전을 위한 개방을 꾀하는-을 추구해왔으며 경제상황을 개선하려는 북한의 이러한 노력은 일반적으로 간과되었던 북한의 “국제”관계, 즉 해외동포에 대한 접근법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중국모델에서 “개혁 개방”의 초기 단계에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자본가”로서 화교가 얼마나 큰 역할을 담당했는가를 고려했을 때, 경제 발전 계획에 있어서 화교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마찬가지로- 중국처럼 성공적이지는 못했으나-, 북한 역시 그들의 “경제 건설”에 해외동포를 끌어들이려 노력했다. 본 논문은 북한이 경제발전과 그를 위한 개방에 도움을 얻고자 세계 곳곳의 해외동포들을 동원하려 어떻게 시도 했으며 실패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북한 해외동포 정책의 숨겨진 경제적 측면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서 북한의 해외동포에 대한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김일성과 김정일 그리고 북한 국영 언론매체가 해외동포를 보는 관점 그리고 그들에게 전하고자하는 메세지를 자세히 살펴본다. 이를 통해 북한의 해외동포에 대한 접근법을 정의할 수 있는 중요 개념으로서 ‘민족’, ‘민족주의 민족권리’, ‘선물’ 이 세가지 단어를 선택하고 이 들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북한은 서적과 언론매체등을 통해서 북한 지도자들과 해외동포 사업가들과의 만남을 자세하게 다루므로써 이를 해외동포들에게 그들의 경제적 관심을 전하는 메세지로 사용한다. 본 논문의 제3장과 4장에서는 이 세가지 개념들과 메세지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한다.
      제5장에서는 이 개념들에 대한 좀더 자세한 예를 제시하기 위해 북한의 해외동포 정책의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최근 수십년동안 북한이 실제로 어떤 정책을 발전시켜 왔는가를 알아본다. 이러한 정책의 역사를 통해 북한의 해외동포 정책의 포커스가 초기 재일동포에서 재미동포인구의 증가에 대한 관심으로 또 최근 중국 접경지역 조선족들과의 심화되는 관계로 발전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에서는 북한이 해외동포를 “안전한” 자본으로 이용하려는 노력을 통해 그 들의 경제발전과 개방에 대한 노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왜 북한은 이 의도를 감추려 하는가, 왜 지금까지의 이 노력들이 의도한만큼 성공하지 못했는가하는 질문으로 돌아간다. 또한 중국의 경험을 모델로 북한이 어떻게 하면 해외동포를 “경제건설”을 위한 자원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제언을 담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 1
      • II. LITERATURE REVIEW …………………………………………………………………. 7
      • I. INTRODUCTION ……………………………………………………………………… 1
      • II. LITERATURE REVIEW …………………………………………………………………. 7
      • III. BASIC CONCEPT OF OVERSEAS KOREANS …………………………………….….. 11
      •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Overseas Compatriot “Problem”
      • Three Keywords: Minjok, Democratic Minjok Rights, and Gifts
      • IV. ECONOMIC MOTIVES IN NORTH KOREAN MATERIALS…………………………. 23
      • Kim Il Sung on the Overseas Problem
      • Kim Jong Il on the Overseas Opportunity
      • Compatriot Businessmen in North Korean Media
      • V. POLICIES TOWARD OVERSEAS COMPATRIOTS IN JAPAN, THE US, AND CHINA,
      • AND THEIR ECONOMIC SIGNIFICANCE …………………………………......................... 30
      • Zainichi: The Glorious Past
      • Korean-Americans: The Future That Still Hasn’t Arrived
      • Chaoxianzu: The Dynamic Present
      • The Economic Factors behind Policy Changes
      • VI. CONCLUSION…………………………………………………………………………….. 49
      • BIBLIOGRAPHY……………………………………………………………………………….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