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최인훈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는 『화두』로 인해 도미 시절의 사유가 집약된 작품으로 해석되었으나, 귀국 이후에도 작품의 수정은 지속되었다. 또한 전작 〈어디서 무엇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24029
백두산 (서울시립대학교)
2024
Korean
최인훈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 『화두』 ; 극단 산하 ; 차범석 ; 표재순 ; 극작술 ; 양식화 ; 실험적 언어구성 ; 전설의 상징구조 ; Choi In-hoon ; Once Upon a Time ; Huai Huai ; Hwadoo ; theater company Sanha ; Cha Bum-seok ; Pyo Jae-soon ; dramaturgy ; stylization ; experimental linguistic composition ; symbolic structure of the legend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37-308(7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76년 최인훈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는 『화두』로 인해 도미 시절의 사유가 집약된 작품으로 해석되었으나, 귀국 이후에도 작품의 수정은 지속되었다. 또한 전작 〈어디서 무엇이 ...
1976년 최인훈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는 『화두』로 인해 도미 시절의 사유가 집약된 작품으로 해석되었으나, 귀국 이후에도 작품의 수정은 지속되었다. 또한 전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의 극작술의 한계를 논한 평단의 논의와 1970년대 한국연극계의 전통의 현대화 담론은 최인훈 희곡의 개작과 공연 과정을 둘러싼 중요한 배경이며, 직접적으로는 극단 산하의 차범석과 표재순의 제안에 따른 작품의 수정이 일어났다. 본고에서는 『세계의 문학』 창간호(1976.9)에 실린 최인훈의 희곡과 공연용 심의대본(1976.10)의 분석을 중심으로 1976년의 개작 과정을 분석하며 ‘제3의 인물’로 노파의 극서사가 삽입되는 양상과 의미를 다루었고, 극단 산하의 초연 활동과 최인훈의 초연 비망이 담긴 미발표 원고 「초연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를 보고」를 분석하여 1976년 연극에 대한 작가의 구체적 인식을 탐색하였다.
1976년 귀국 이후의 집필 작업에서 극언어 다듬기는 서사의 변개보다도 우선되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잡지본과 공연본에 포함되어 있는 자장가의 실험적 언어구성과 공연본으로의 개작 과정에서 추가된 언어유희의 요소를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았다. 공연본에 새로 삽입된 노파의 서사는 극단에서 먼저 제안되어, 최인훈이 독자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공연본에서는 노파의 서사와 결합하여 ‘지금-여기’ 일어나는 마을의 현실 질서로서 자장가의 의미가 강화되며 아내의 불안이나 자살의 동기를 표현한다. 개작 과정에서 드러나는 것은 그의 언어에 대한 기획과 “전설의 상징구조”, 두 원칙의 철저함이다. 초연비망에서는 양식화에 대한 관점과 작품에 대한 작가의 해석, 개똥어멈 구상의 최초 기획, 셋째 마당의 연출에 대한 관심과 전집본의 개작 맥락, 결말부에 민중에 대한 수탈과 저항을 묘사하는 짧은 장면을 양식의 도움을 얻어 공연화하고자 했던 생각이 엿보인다. 1976년의 최인훈은 여전히 연극과 동행하였으나, 그 동행은 연출 영역과의 긴장, 양식화에 대한 관심, 공연의 성과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한 극작가의 글쓰기를 모색하는 과정이었고, 현대 극작가의 글쓰기로 나아가는 길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Choi In-hoon’s 1976 work Once Upon a Time, Huai Huai was understood as a culmination of his thoughts during his sojourn in the United States that was also reflected in Hwadoo, Choi continued to revise this work after returning to Korea. Moreov...
While Choi In-hoon’s 1976 work Once Upon a Time, Huai Huai was understood as a culmination of his thoughts during his sojourn in the United States that was also reflected in Hwadoo, Choi continued to revise this work after returning to Korea. Moreover, the critical debate on the limitations of Choi In-hoon’s dramaturgy in Where, in What Form, Shall We Meet and the discourse on modernizing traditions in Korean theater circles in the 1970s served as important backdrops to the rewriting process and performances of Choi In-hoon’s play. A proposal by Cha Bum-seok and Pyo Jae-soon, members of the theater company Sanha, prompted the rewrit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revision that took place in 1976 by analyzing Choi In-hoon’s play and the final script submitted for censorship, both of which were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World Literature (published in September 1976) and explored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adding the narrative of the old woman as a third character. This study further analyzed the unpublished manuscript “On Watching the Premiere of Once Upon a Time, Huai Huai,” which encompasses Choi In-hoon’s accounts of the premiere performed by the theater company Sanha and his aspirations for the premiere, to explore the author’s detailed perceptions of plays in 1976.
The question of language took precedence over changes in the narrative as Choi In-hoon revised the work in 1976. This paper focused on the experimental linguistic composition of the lullaby included in the magazine and performance editions of the script, as well as the puns added as Choi rewrote the performance script. The narrative of the old woman, which was newly added to the performance script, was initially suggested by the theater company and was adopted by Choi In-hoon. In the performance edition, the meaning of the lullaby is reinforced in combination with the narrative of the old woman and expressed as a motive for the wife’s anxiety and suicide. The rewriting process reveals how thoroughly Choi In-hoon adhered to two principles: his plans concerning the language and the “symbolic structure of the legend.” Choi In-hoon’s accounts of the premiere illustrate his opinions on stylization and interpretations of his work, initial plans for the character Gaettongeomeom, his interest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act, the context of rewriting the anthology edition, and his intention to add a short scene depicting the exploitation of the people and the people’s revolt at the end of the play by making use of the format of plays. While Choi In-hoon was engaged in writing plays in 1976, this engagement was a playwright’s search for writing borne out of tensions with the directorial sphere, an interest in stylization, and observations of the play’s accomplishments, which led to a path to writing as a contemporary playwright.
GPT-4를 활용한 인간과 인공지능의 한국어 사용 양상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