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Keywords in Astronomical Journals and Concepts in Secondary School Astronomy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1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힉스입자 발견, 블랙홀 이미지 촬영, 외계행성 탐사, 깊은 우주탐사, 중력파 관측 등 최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상대적으로 흥미가 높은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

      힉스입자 발견, 블랙홀 이미지 촬영, 외계행성 탐사, 깊은 우주탐사, 중력파 관측 등 최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상대적으로 흥미가 높은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천문학 연구 저널에서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들과 중고등학교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천문학 내용 요소를 7개 영역별로 비교하여 천문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우선 선정된 4개 저널-ApJ, ApJL, A&A, MNRAS-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의 키워드를 R 패키지로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는 7학년부터 12학년 학생이 배우는 과목중 천문학 내용 요소가 포함된 6개 과목(과학, 통합과학,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물리II, 융합과학)의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내용 체계표, 성취기준, 성취기준해설을 현직 교사들이 코딩한 결과를 종합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학에서꾸준하게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galaxies: formation, galaxies: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accretion discs, method: numerical’ 이다. 둘째, 천문학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학 과목 안에서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키워드 수준에서 보면 과목별, 학년별 내용 요소 배치와 새롭게 도입할 만한 주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목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연구 분야와교육과정을 비교한 탐색적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향후 천문학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진아 ; 남윤경,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환경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41 (41): 155-175, 2020

      2 이경건 ; 홍훈기,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81-992, 2017

      3 이정아 ; 이기영 ; 박영신 ; 맹승호 ; 오현석,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179-197, 2015

      4 김완수 ; 심현진, "천체투영관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2 (42): 49-65, 2018

      5 김수경 ; 박은지 ; 김찬종 ; 최승언, "천체 전시물 비교 연구 - 전시특성 및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925-934, 2016

      6 이선경 ; 김남수 ; 주형선 ; 곽영순 ; 박윤경 ; 박형빈 ; 전푸름,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강화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33 (33): 247-261, 2020

      7 김연화,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83-302, 2019

      8 이양락 ; 곽영순 ; 김동영, "제7차 지구과학Ⅰ, Ⅱ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328-336, 2007

      9 박혜진 ; 박원균 ; 김유라, "의예과 교육과정에 필요한 고등학교 과학관련 교과목 내용에 대한 요구분석" 과학교육연구소 45 (45): 129-141, 2021

      10 맹승호 ; 이기영 ; 박영신 ; 이정아 ; 오현석,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03-718, 2014

      1 윤진아 ; 남윤경,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환경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41 (41): 155-175, 2020

      2 이경건 ; 홍훈기,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81-992, 2017

      3 이정아 ; 이기영 ; 박영신 ; 맹승호 ; 오현석,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179-197, 2015

      4 김완수 ; 심현진, "천체투영관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2 (42): 49-65, 2018

      5 김수경 ; 박은지 ; 김찬종 ; 최승언, "천체 전시물 비교 연구 - 전시특성 및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925-934, 2016

      6 이선경 ; 김남수 ; 주형선 ; 곽영순 ; 박윤경 ; 박형빈 ; 전푸름,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강화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33 (33): 247-261, 2020

      7 김연화,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83-302, 2019

      8 이양락 ; 곽영순 ; 김동영, "제7차 지구과학Ⅰ, Ⅱ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328-336, 2007

      9 박혜진 ; 박원균 ; 김유라, "의예과 교육과정에 필요한 고등학교 과학관련 교과목 내용에 대한 요구분석" 과학교육연구소 45 (45): 129-141, 2021

      10 맹승호 ; 이기영 ; 박영신 ; 이정아 ; 오현석,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03-718, 2014

      11 송진웅 ; 강석진 ; 곽영순 ; 김동건 ; 김수환 ; 나지연 ; 도종훈 ; 민병곤 ; 박성춘 ; 배성문 ; 손연아 ; 손정우 ; 오필석 ; 이준기 ; 이현정 ; 임혁 ; 정대홍 ; 정종훈 ; 김진희 ; 정용재,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465-478, 2019

      12 최현동 ; 권치순,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천문에 관한 내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4 (4): 32-42, 2011

      13 조미선 ; 정진우,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의 과학적 소양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9 (9): 269-275, 2016

      14 이상은,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둘러싼 ‘갈등’ 구조와 ‘봉합’ 과정: 2009 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77-110, 2013

      15 박종원, "과학적 소양에 대한 세 가지 논의 -통합적 이해, 교육과정에의 정착,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413-422, 2016

      16 하민수 ; 신세인 ; 이준기 ; 박현주 ; 정덕호 ; 임재근, "과학교사들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융합형 ‘과학’ 수용에 관한 인과 모델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35-246, 2014

      17 김지현 ; 정아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국제 비교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215-223, 2017

      18 윤마병, "고등학교 천체관측 관련 개념의 지식상태 분석에 따른 교수-학습 효과" 한국지구과학회 32 (32): 902-912, 2011

      19 김연화 ; 곽영순,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3 (13): 40-52, 2020

      20 최동열 ; 윤마병,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소형 망원경을 활용한 산개성단의 거리 탐구 -" 한국지구과학회 40 (40): 300-312, 2019

      21 이명애,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 및 대입제도 관련 교사 인식 조사" 한국교육평가학회 34 (34): 207-230, 2021

      22 박균열 ; 엄준용, "고교학점제 도입의 쟁점과 과제 탐색" 한국교육학회 56 (56): 1-29, 2018

      23 한혜정,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관련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53-81, 2019

      24 서봉언, "고교학점제 도입과 학교의 변화"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55-79, 2020

      25 정진수 ; 김동원 ; 임재근 ; 이윤정 ; 김은애 ; 임성만, "고교 융합형‘과학’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189-196, 2012

      26 김란주 ; 서경혜,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13-138, 2018

      27 Vesterinen, V. M., "Toward citizenship science education: what students do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38 (38): 30-50, 2016

      28 Bryce, T. G. K., "The Novice-Expert Continuum in Astronomy Knowledge" 34 (34): 545-587, 2012

      29 Guralnik, G. S., "The History of the Guralnik, Hagen, and Kibbl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spontaneous symmetry breaking and gauge particles" 24 (24): 2601-2627, 2009

      30 Organtini, G., "The Higgs mechanism for undergraduate students" 273-275 : 2572-2574, 2016

      31 Salimpour, S., "The Gateway Science : a Review of Astronomy in the OECD School Curricula, Including China and South Africa" 51 (51): 975-996, 2021

      32 Türk, C., "The Effect of Planetariums on Teaching Specific Astronomy Concepts" 24 (24): 1-15, 2015

      33 Tyler, R. W., "The Curriculum Studies Reader" RoutledgeFalmer 2004

      34 Prather, E. E., "Teaching and learning astronomy in the 21st century" 41-47, 2009

      35 Ghez, A. M., "Stellar orbits around the galactic center black hole" 620 (620): 744-, 2005

      36 Plummer, J. D.,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50 (50): 1-45, 2014

      37 Hurd, P. D, "Scientific literacy : its meaning for American schools" 16 (16): 13-16, 1958

      38 Durant, J. R., "Science and culture in Europe" Science Museum 129-137, 1993

      39 Park, J.,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East Asia: Trends and Perspectives" 391-416, 2016

      40 Bailey, J. M.,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to plan for the future" 34 (34): 2136-2144, 2004

      41 Tytler, R., "Re-imagining science education: engaging students in science for Australia’s future. Australian Education Review" 2007

      42 Latour, B., "Pandora’s hope: Essays on the reality of science studi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43 CERN, "LHC the Guide" Education, Communications and Outreach Group

      44 Martins, A. F. P., "Knowledge about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Ludwik Fleck’s epistemology" 46 (46): 511-524, 2016

      45 Hey, T., "Jim Gray on eScience: a transformed scientific method. In The Forth Paradigm"

      46 Callon, M.,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Elsevier Science 62-66, 2001

      47 Guralnik, G. S., "Global conservation laws and massless particles" 13 (13): 585-587, 1964

      48 Akiyama, K., "First M87 event horizon telescope results. VI. The shadow and mass of the central black hole" 875 (875): L6-, 2019

      49 Sweatman, M. B., "Decoding European Palaeolithic Art: Extremely Ancient Knowledge of Precession of the Equinoxes" 5 (5): 1-30, 2019

      50 Rajpaul, V. M., "Cross-sectional study of students’ knowledge of sizes and distances of astronomical objects" 14 (14): 2018

      51 Kim, H. B., "Concept Mapping Based on Chapter"Iii. Universe"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 17 (17): 461-479, 1997

      52 Stern, A., "Chasing New Horizons: inside the epic first mission to Pluto" Picador 2018

      53 Englert, F., "Broken symmetry and the mass of gauge vector mesons" 13 (13): 321-323, 1964

      54 Higgs, P. W., "Broken symmetries and the masses of gauge bosons" 13 (13): 508-509, 1964

      55 Lelliott, A., "Big ideas :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1974-2008" 32 (32): 1771-1799, 2010

      56 Lim, C. -H., "An analysis of contents and problems on astronomical area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13 (13): 247-256, 1993

      57 Cho, S., "An Inquire in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e of optional subjects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ystem" 2015

      58 van Eijck, M., "Addressing the dynamics of science in curricular reform for scientific literacy : The case of genomics" 32 (32): 2429-2449, 2010

      59 Fitzgerald, M., "A Large-Scale Inquiry-Based Astronomy Intervention Project : Impact on Students’ Content Knowledge Performance and Views of Their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 46 (46): 901-916, 2016

      60 김형욱 ; 정소진 ; 정소리 ; 문성윤,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2 (12): 37-48, 2018

      61 곽영순 ; 신영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과학교육연구소 45 (45): 143-155, 2021

      62 김현종,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41 (41): 441-454, 2021

      63 최지연 ; 고연주 ; 이현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및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비교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33-1256, 2019

      64 이경건 ; 홍훈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핵심 개념’의 의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0, 2017

      65 이현동,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 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교육연구소 44 (44): 300-317, 2020

      66 이일 ; 곽영순, "2015 개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의 수강 현황 및 선택률 제고 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40 (40): 217-226, 2020

      67 MOE(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68 이윤아 ; 이효녕,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지권) 영역에 대한 종적 연계성 분석과 미국 차세대과학기준과의 비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701-724, 2016

      69 심재호, "2009 개정 고등학교 융합과학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17): 53-76, 2014

      70 MOE(Ministry of Education),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