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도덕적 민감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31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moral sensitivity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had completed at least a one year (2 semesters) clinical nursing practicum throug...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moral sensitivity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had completed at least a one year (2 semesters) clinical nursing practicum through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88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ird grade (n=104) and fourth grade (n=84). The questionnaires were adopted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Korean version of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and the clinical competency. Results: Clinical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oriented care (r=.27, p<.001) and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r=.32, p<.001) of the moral sensitivity (r=.27, p<.001). The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inical competency (r=.15, p=.038). The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ß=.09, p=.194)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patient-oriented care (ß=.16, p=.041)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ß=.23, p=.003) of the moral sensitivity explained 12% of the variance in clinical competency (F=9.17, p<.001). Theref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y were two sub-factors of moral sensitivity. Conclusion: Mor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 도덕적 민감성, 임상수행능력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본 연구는 1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 도덕적 민감성, 임상수행능력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도덕적 민감성(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을 입력한 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료진의 태도)만 투입했을 때 보다 설명력이 10.7% 증가하였고, 임상실습스트레스(의료진의 태도)와 도덕적 민감성(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총 설명력은 12%이었으며 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의 도덕적 민감성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의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도덕적 민감성을 배양해야 하고, 이를 위해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윤리교육을 통해 도덕적 의미를 높이고, 도덕적 판단을 훈련할 수 있도록 윤리적 사례를 통한 사고를 자극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앞으로 전문직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환경 마련 방안과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덕적 민감성 도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이 되었고, 한국버전의 도덕적 민감성 도구는 원 도구의 하위영역(갈등, 도덕적의미, 선행)과 유사하지만 2개(환자중심간호와 전문적 책임) 영역은 차이가 있었으므로 한국간호사들의 문화적 차이를 반영한 도덕적 민감성 도구개발 및 원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덧붙여 학생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도덕적 민감성 도구 개발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덕적 민감성,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순임,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대한도덕적 주의력이 지각된 스트레스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447-1464, 2018

      2 강지연, "정체성 위협: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무례함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간호과학회 48 (48): 85-95, 2018

      3 박선정, "일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313-322, 2013

      4 김은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피로,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0 (40): 24-36, 2015

      5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14-23, 2010

      6 도영주, "요양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28-136, 2019

      7 최명이,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딜레마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26 (26): 42-51, 2019

      8 최윤숙,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10-222, 2019

      9 정점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53-61, 2012

      10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과 임상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5

      1 남순임,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대한도덕적 주의력이 지각된 스트레스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447-1464, 2018

      2 강지연, "정체성 위협: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무례함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간호과학회 48 (48): 85-95, 2018

      3 박선정, "일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313-322, 2013

      4 김은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피로,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0 (40): 24-36, 2015

      5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14-23, 2010

      6 도영주, "요양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28-136, 2019

      7 최명이,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딜레마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26 (26): 42-51, 2019

      8 최윤숙,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10-222, 2019

      9 정점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53-61, 2012

      10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과 임상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5

      11 조계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223-231, 2013

      12 엄소희,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의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 27 (27): 199-207, 2018

      13 김주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69-678, 2017

      14 송영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4 (24): 406-414, 2018

      15 민은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자아탄력성 및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3 (13): 71-78, 2018

      16 전은미,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9 (39): 44-56, 2014

      17 유명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 한국생명윤리학회 12 (12): 61-78, 2011

      18 윤혜영,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용기에 대한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의 관계" 한국의료윤리학회 21 (21): 64-80, 2018

      19 박은미,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및 회복탄력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57-365, 2019

      20 한성숙,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도 비교" 한국의료윤리학회 10 (10): 117-124, 2007

      21 Han, S. S.,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17 (17): 99-105, 2010

      22 Park, E. M, "The influence of moral sensitivity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person-centered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Deagu Catholic University 2017

      23 Kim, M. H., "The effect of children education differ depending on acculturation type of Japanese married immigrant femal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acculturative stress" Kyonggi University 2017

      24 Casey, T., "Predicting uptake of technology innovations in online family dispute resolution services : An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UTAUT" 28 (28): 2034-2045, 2012

      25 Barrett, C.,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27 : 364-371, 1998

      26 Park, M. Y., "Effects of moral sensitivity and self-assertiveness of a hospital nurse to recognize sexual harass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27 Lee, W. H., "Development of a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13 : 17-29, 1990

      28 Whang, S. J.,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tool for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stress" 14 (14): 35-54, 2002

      29 Lutzen, K., "Conceptualization and instrumentation of moral sensitivity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4 : 241-248, 1994

      30 Watson, J., "Caring theory as an ethical guide to administrative and clinical practices" 30 (30): 48-5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9 2.49 2.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7 3.05 3.54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