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하 중등학교 여학생의 일상에 대한 규율과 통제 = Control over Daily Lives of Female Middle-School Students under Japanese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60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하 중등학교 학생들은 교내뿐만 아니라 교외에서까지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통제를 받았다. 여학생은 학생 일반에 가해진 규율에 더하여 성차별적 젠더규범 하에서 남학생보다 ...

      일제하 중등학교 학생들은 교내뿐만 아니라 교외에서까지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통제를 받았다. 여학생은 학생 일반에 가해진 규율에 더하여 성차별적 젠더규범 하에서 남학생보다 더 엄격한 통제와 규율의 대상이 되었다. 소수지만 중등 여학생의 일거수일투족을 통제한 것은 당시로서는 혼기가 찬 여성들이 학교라는 공적 공간에 진입함으로써 교란된 젠더질서를 재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학생의 일상에 대한 통제에서 특히 중요했던 문제는 섹슈얼리티였다. 자유연애가 유행하는 가운데, 풍기문란으로인한 여학생의 정조훼손에 대한 사회적 염려가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섹슈얼리티 문제에 치중한 사회적 관심과 달리, 여학생들은 기숙사에서의 엄격한 통제나, 여성다움을 강요하는 예의범절 교육, 그리고 주부의 책임이나 육아법만 가르치는 수업의 내용 등에 불만을 품었다. 여학생들은 교사몰래 소설책과 사회과학 서적을 탐독하거나, 억압적인 규율에 저항하여 동맹휴학에 나서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통제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kind of daily lives did female students in colonial Korea experience when secondary schools were established and they began to attend school together? This study examined the daily lives of female students based on records of disciplinary issues....

      What kind of daily lives did female students in colonial Korea experience when secondary schools were established and they began to attend school together? This study examined the daily lives of female students based on records of disciplinary issues. Students who attended colonial secondary school were under various controls and their daily lives were closely monitored, not only on campus but also at home and town. Girls were subject to more stringent controls than boys, the rigidity of which was further augmented by discriminatory societal norms based on gender. The small number, but the explosive social interest in the daily lives of secondary school girls, reveals social efforts to replace women under strict gender norms.
      Along with social concerns over potential student demoralization, the issue of sexuality wa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ontrol of female students. As the ideas of free love and free marriage were in vogue at the time, social concern over the desecration of female students’ virtue caused by demoralizing behavior only increased. Various modes of control had been devised and built. Femal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strict control of their dormitories, the imposition of etiquette education that enforced femininity, and their mandatory participation in classes that only taught homemaker responsibilities or parenting practices. They secretly read novels and books in the social sciences, took part in minorly deviant activities, and boycotted classes, demanding the abolition of the oppressive discipline.
      The mechanisms of discipline and control over female students that were establish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mained intact even after Korea gained its independence, and instead became the predominant method for teaching female students, prevailing into the 1960s and 1970s. In that sense,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colonial female students' daily lives and disciplinary tactics is meaningful because it captures the specific ways in which female students have been discipline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2 김부자,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젠더사로 고쳐 쓴 식민지 교육" 일조각 2009

      3 "조선총독부통계연보"

      4 최규진, "일제의 식민교육과 학생의 나날들" 서해문집 2018

      5 홍양희, "일제시기 조선의 여성교육-현모양처교육을 중심으로" 35 : 2001

      6 박철희, "일제 강점기 중등학교의 학생 규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0 (30): 85-102, 2003

      7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자료집"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4

      8 소현숙,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여성들" 역사비평사 2017

      9 엄미옥, "여학생, 근대를 만나다-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여학생" 역락 2011

      10 "신여성"

      1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2 김부자,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젠더사로 고쳐 쓴 식민지 교육" 일조각 2009

      3 "조선총독부통계연보"

      4 최규진, "일제의 식민교육과 학생의 나날들" 서해문집 2018

      5 홍양희, "일제시기 조선의 여성교육-현모양처교육을 중심으로" 35 : 2001

      6 박철희, "일제 강점기 중등학교의 학생 규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0 (30): 85-102, 2003

      7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자료집"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4

      8 소현숙,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여성들" 역사비평사 2017

      9 엄미옥, "여학생, 근대를 만나다-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여학생" 역락 2011

      10 "신여성"

      11 "신가정"

      12 소현숙, "식민지시기 ‘불량소년’ 담론의 형성 - ‘민족/국민’ 만들기와 ‘협력’의 역학" 한국사회사학회 (107) : 41-72, 2015

      13 김경미, "식민지교육 경험 세대의 기억 - 경기공립중학교 졸업생의 일제 파시즘 교육체제 하의 경험과 기억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학회 27 (27): 1-28, 2005

      14 玄敬美, "식민지 여성교육 사례 연구 :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5 숙명여자중고등학교, "숙명70년사" 숙명여자중고등학교 1976

      16 한민주, "불량소녀들- ‘스펙터클 경성’에서 모던걸은 왜 못된걸이 되었나" 휴머니스트 2017

      17 박천홍,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 :철도로 돌아본 근대의 풍경" 산처럼 2003

      18 "동아일보"

      19 김미지, "누가 하이카라 여성을 데리고 사누-여학생과 연애" 살림 2005

      20 김진균,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21 황지영, "근대 여학교 기숙사와 젠더규율의 이중성-「B사감과 러브레터」, 『구원의 여상』, 『은하수』에 나타난 은유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2) : 73-103, 2018

      22 김옥란, "근대 여성 주체로서의 여학생과 독서체험" 상허학회 13 : 245-276, 2004

      23 경기여자중고등학교, "경기여고 50년사" 경기여자중고등학교 1957

      24 김성은, "1920년대 동맹휴학의 실태와 성격: 선교회 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14) : 83-128, 2011

      25 이희경, "1920년대 ‘여학생’의 사회적 표상 -잡지 『신여성』을 중심으로" 10 (10): 2004

      26 이희경, "1920년대 ‘여학생’의 사회적 표상 -잡지 『신여성』을 중심으로" 10 (1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5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