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 중심 교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99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의 습득은 곧 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습득하는 것이고 문화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과정은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언어에...

      언어의 습득은 곧 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습득하는 것이고 문화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과정은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언어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의 문화가 담겨져 있어서 어떤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그 언어를 쓰고 있는 사회의 문화를 말하는 이런 점에서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므로 어떤 외국어에 능통하다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를 잘 알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다른 문화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 접촉하면서 갈등, 모순, 오해가 생기며, 또한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어를 배웠을 때 이문화의 적응 발달 단계를 경험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이문화를 빨리 적응하고 사람들 간에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할지는 한국어 문화 학습의 관건이 되었다. 이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이론이 드러났다.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어 문화를 학습하는 핵심 도구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부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삼아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는 것만 집중하였다. 하지만, 한국어 문화에 대한 학습, 특히 문화 차이로 인해 야기한 여러 문제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떻게 극복하고 최종적으로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하는지에 관한 내용은 교재에서 거의 언급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 간 차이로 인해 야기한 문제들을 완화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현재 한중 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문화 교재를 분석하고, 또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해 현지 문화교육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본고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둘러싸여 본고는 아래와 같이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교육 교재 중요성을 알아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연구 절차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 한국어 문화교육 교재 개발을 위해 한국어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관련된 대표적인 학자(Byram, Fantini, Deardoff )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화 간의 의사소통능력의 정의와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및 어떤 방법으로 문화 간 소통능력을 함양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국어 문화교육과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이 부분에서 본고는 Byram, Fantini, Deardoff의 이론을 종합하여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및 구성요소에 대해 본고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그 후에 이러한 관점에 따라 제3장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요구 조사와 현지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교육의 개선을 위한 교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문화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위해 이 부분은‘요구 분석 절차와 방법’, ‘요구 분석 설문 설계’, ‘조사의 결과 분석’으로 나누어진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파악 상황 및 중국인 학습자를 선호하는 문화 항목에 따라 제5장의 문화교육 교재 방안에 기준을 제공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문화교육의 개선을 위한 교재 분석이다. 본고는 내용 분석의 대상(어떤 교재를 대상으로 분석할 것), 연구의 문제, 연구방법, 분석 기준, 및 절차를 정하고 선정된 한중 양국의 문화교육 교재 내용을 분석했다. 위에 제 2장에서 도출한 관점(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구성요소)에 따라 문화교육 교재에 대해 분석했다.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내용은 선정된 한중 양국의 문화교육 교재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논의하고, 이러한 논의는 제5장 본고의 교재 방안을 기준을 제공해 주었다.
      제5장에서는 문화 교재 방안의 개발을 위해 이 부분은‘한국어 문화 교재의 기본 방향과 개발 원리’, ‘한국어 문화교육의 목표 선정’, ‘ 한국어 문화교육의 교수요목 설계’,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단원 구성’ 3가지 세분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부분에서 제3장이 제시한 한중 양국 문화교육 교재의 비교분석 결과(양국 문화교육 교재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내용의 양상 및 본고의 논의) 및 제4장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파악 상황 및 중국인 학습자의 문화항목에 대한 관심도의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본고는 ‘한국어 문화교육 교수요목 설계’의 부분과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단원 구성’의 부분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고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교육 교재 내용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그 의의를 다시 살펴보고, 본 연구의 전체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요약할 것이며, 본 연구의 목적에 도달할지 다시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한국어 학습 할 때 ‘교재는 교육 시작이자 전부이다’라는 명제도 있었지만, 여기서는 이 명제를 맞는지를 넘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뚜렷하게 보이면서 문화교육 교재는 한국어 학습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우리가 알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특정한 학습자(중국인)를 위해 문화교육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문화교육 교재의 설정 그 자제라도 의의가 아주 크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은 굉장히 어려운 과정이기 때문에 본고는 학습자가 한국어 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교재에서 문화범위의 비중을 다시 선정한 뒤, 관심도가 많은 주체에서부터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한다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can be said that language acquisition is the acquisition of the culture of the people who use that language as a native language and that in the culture acquisition, the most essential process is the language acquisition. Namely, the language the h...

      It can be said that language acquisition is the acquisition of the culture of the people who use that language as a native language and that in the culture acquisition, the most essential process is the language acquisition. Namely, the language the human beings using includes the culture of that society where the language is being used. The use of the language means the culture of the society where the language is being used, so the learning of the foreign language means the learning of the culture of that country. To put it in another word, being proficient in the language means that the person knows well about the culture of that country. Especially, the people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will have conflicts, contradictions and misunderstanding when they have contact. In addition, for foreign learners, how they can adapt to different culture quickly and how they communicate efficiently and appropriately in the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experience the adaptation and development phase of different culture when they ar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re the key to the Korean culture study. Based on thi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theory emerged. Korean textbook can be seen as the essential tool of the learning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in the Korean class. Taking the communication as the core, the cultivation of the linguistic ability was the center. However, the learning of Korean culture, how to solve sever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cultural differences eventually, how to communicate efficiently and appropriately were not included in the textbook. In this situation, for the cultiv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that can solv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cultural differences, the main cultural textbooks mainly used in China and Korea were analyzed. Furthermore, through the learner demand analysis, this paper is aimed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present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paper were present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s were review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ducation textbook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Korean education was figured ou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fterward,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In chapter 2,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necessity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extbook was examined. The definition, components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and the method of cultiva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were examined by focusing on the theories of representative scholars(Byram, Fantini, Deardoff) related to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was discussed. In this part, this paper integrated the theories of Byram, Fantini and Deardoff and proposed the perspectives of this paper related to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According to these perspectives, in chapter 3, the survey on Chinese Korean learners’ demands and the textbook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current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In chapter 3, for learners’ demand analysis in the Korean cultural textbook development, it was divided into ‘demand analysis procedure and method’, ‘demand analysis survey design’ and ‘survey result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Chinese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and the cultural subjects that the Chinese learners preferred, the standard of cultural education textbook plans was provided.
      The chapter 4 was the textbook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in China and Korea by establishing the analysis subjects(what textbooks to analyz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alysis standard and procedur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from chapter 2(the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the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The problem that how the contents related to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were presented in the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in China and Korea was discussed. This discussion provided the standard of the textbook plans in chapter 5.
      In chapter 5,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extbook plans, it is divided into ‘the basic direction and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Korean cultural textbooks’, ‘the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he design of the syllabu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he unit construction for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cultural education textbook in China and Korea discussed in chapter 3(the education contents and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for the cultiv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in Korean and Chinese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Chinese Korean learners’ demands in chapter 4(Chinese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and the survey results of the cultural subjects that Chinese learners preferred), this paper proposed ‘the design of the syllabu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unit construction for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Finally, in chapter 6,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in the improvement of cultural education textbook contents for the cultivation of Chinese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was examined. The contents of this paper will be generally organized and summarized. Whe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alized will be confirmed again.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ill be revealed and the discussions in the future studies will be suggested.
      Although there is a saying that ‘the textbook is the start and the whole of the education’ when studying Korean, despite this say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is very clear.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in Korean learning. In addition, till now, there was almost non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for specific learners(Chinese), so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oreover, the cultiv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is a very difficult process, so this paper has the significance to propose the plans of cultivati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from the subjects that the learners have much interest in, after modifying the proportion of the cultural range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interest rate of the Chinese Korean learners in Korean culture.Key wordsKorean cultural education, the communicative ability between cultures, attitude, techniques, knowledge, recognition, the culture classification by grade, culture education pla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extbo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5
      • 1.2.1 한국어 문화교육과 관련된 연구 5
      • 1.2.2 문화교육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12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5
      • 1.2.1 한국어 문화교육과 관련된 연구 5
      • 1.2.2 문화교육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12
      • 1.2.3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 15
      • 1.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8
      • 2. 이론적 배경 22
      • 2.1 한국어 언어교육과 문화교육 22
      • 2.2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27
      • 2.2.1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개념 27
      • 2.2.2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이론 30
      • 2.2.2.1 Byram의 이론 31
      • 2.2.2.2 Fantini의 이론 35
      • 2.2.2.3 Deardoff의 이론 37
      • 2.3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분석의 준거틀 40
      • 3. 한국어 문화교육의 개선을 위한 한중 양국 교재의 비교 분석 49
      • 3.1 한국어 문화교육 교재 내용분석 설계 49
      • 3.1.1 교재 내용 분석의 방법 및 기준 49
      • 3.1.2 교재 내용 분석의 대상 49
      • 3.1.3 교재 내용 분석의 방법과 절차 51
      • 3.2 한국의 문화교육 교재 분석결과 52
      • 3.2.1 한국의 문화교육 교재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구성 56
      • 3.2.1.1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영역별 구성실태 56
      • 3.2.1.2 지식 영역의 급수별 구성실태 58
      • 3.2.1.3 기술 영역의 급수별 구성실태 62
      • 3.2.1.4 태도 영역의 급수별 구성실태 64
      • 3.2.2 중국의 한국어 문화교재의 분석결과 66
      • 3.2.2.1 지식 영역 67
      • 3.2.2.2 기술 영역 70
      • 3.2.2.3 태도 영역 71
      • 3.2.2.4 인식 영역 72
      • 3.3 한중 양국 한국어 문화교재의 문제점과 시사점 73
      • 4.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77
      • 4.1 요구조사 방법과 절차 77
      • 4.2 요구조사 설문 설계 78
      • 4.2.1 1차 요구조사의 설문 설계 78
      • 4.2.2 1차 요구조사의 결과 분석 80
      • 4.3 문화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조사결과 2차 설문조사 결과 94
      • 4.3.1 2차 요구조사의 설문 설계 94
      • 4.3.2 2차 요구조사의 결과 분석 96
      • 4.4 문화교재 개발의 시사점 100
      • 5.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어 문화 교재(안) 개발의 실제 103
      • 5.1 한국어 문화교육 교재의 기본 방향과 개발 원리 103
      • 5.2 한국어 문화교육의 목표 선정 109
      • 5.3 한국어 문화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설계 111
      • 5.4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단원 구성 115
      • 6. 결론 및 제언 132
      • 참고문헌 137
      • 부록1 1차 요구조사(한국판) 144
      • 부록2 1차 요구조사(중국판) 152
      • 부록3 2차 설문조사 161
      • 부록4 학습자 흥미도에 따라 문화 주체 점수의 평균수 167
      • 부록5 연구 대상 교재의 각 단원 안에서 나타난 지식, 태도, 기술의 요소들 169
      • ABSTRACT 18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적륜, "외국어 교수법", 서울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지도자 과정, 1997

      2 강승혜, "『한국문화교육론』", 형설, 형설출판사, 2010

      3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학지사, 2000

      4 박영순,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1

      5 김숙현, "한국인과 문화간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북 스, 2001

      6 권낙원,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2000

      7 조현용 ( Jo Hyeon Yong ), "한국어문화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제22호이중언어학회, 2003

      8 김미진,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교과교육연구, 2009

      9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제12권 제1호, 2001

      10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제1권 제1호, 2004

      1 황적륜, "외국어 교수법", 서울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지도자 과정, 1997

      2 강승혜, "『한국문화교육론』", 형설, 형설출판사, 2010

      3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학지사, 2000

      4 박영순,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1

      5 김숙현, "한국인과 문화간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북 스, 2001

      6 권낙원,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2000

      7 조현용 ( Jo Hyeon Yong ), "한국어문화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제22호이중언어학회, 2003

      8 김미진,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교과교육연구, 2009

      9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제12권 제1호, 2001

      10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제1권 제1호, 2004

      11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1

      12 Brown, H. D.,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이흥수 공역", 피어슨에듀케이션 코리아, 2015

      13 조항록,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제11권 제1호, 2000

      14 배현숙 ( Bae Hyeon Sug ),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 현황 및 문제점",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02

      15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제- 114 14권, 제3호, 2003

      16 장소원,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와 문화의 연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 2012

      17 최문석, "학습자 활동 중심의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18 배재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방향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제2호, 2011

      19 배재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0 박춘연, "“중국 내 한국 문화 교육과정 설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21 민현식,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3

      22 윤상철, "현장학습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법 연구", 석 사학위 논문.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4

      23 김정숙, "“프랑스의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소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9(2), 2012

      24 조수진,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 제7권 제2호, 2010

      25 방성원, 우인혜, "몽골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 분석",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 학, 2008

      26 박약우,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지구어로서의 영어교육",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1-1, 2004

      27 권오현, "「간문화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외국어교육」",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독어교육, 1996

      28 조항록,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한국어 교육』 제9권 제2호, 1998

      29 이진숙,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합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 국어교육연구, 2003

      30 박정미,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기호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외국어 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1 유해준, 조재형, 이유미,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교육 내용에 관한 연 구.”", 중앙어문학회, 語文論集第53 어문논집 제53, 2013

      32 왕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와 문화, 2010

      33 김민선, "흥미유발학습과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4 강승혜, 조항록,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수 요목의 개발(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제12권 제2호, 2001

      35 정원기, "「소설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 교육의 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6

      36 강지은, "학습자 중심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연구학회, 한국어교육학회, 2016

      37 송하나, "“한국어 한국문화 교육 연구에서 문화의 개념에 대한 재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제1호, 2012

      38 이소영,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한 한국문화 교수요목 설계 연구", 박사학위 논문. 부경 대학교 대학원, 2017

      39 황설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항목 선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 제10권 제1호, 2013

      40 장영익, "문화 간 소통능력 중심의 독일어 교육을 위한 텍스트 구성연구", 한국독어학회, 독어학, 2009

      41 Zhan, Suping, "중국 대학 한국어 초급 교재 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박사논문, 2017

      42 김수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43 이미향,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 고찰」",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10

      44 배고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탄템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제 11권 제3호, 2014

      45 하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6 양산,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학문화교육 교재 개발 연구: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47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의 범주 및 구조 설계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 제4권 제2호, 2007

      48 이정희, "‘재미동포 아동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학 기반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2015

      49 왕연,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전공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연구: 행 동문화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釜山外國語大學校 박사논문, 2011

      50 권순희,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수업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자료",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0

      51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주요 쟁점과 과제, 박영순 편, 21세기한국어 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2

      52 방성원, 우인혜, "국외 한국어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몽골 현지 한 국어 교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비교한국, 2008

      53 조항록,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교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교재 개발의 현황과 주요 쟁점",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제14권- 116 제1호, 2003

      54 안경화, 조현용, "현지화(現地化) 교재(敎材)의 단원(單元) 구성(構成) 방안 - 인도네시아 대학권 한국어 교재의 경우-", 語文硏究, 2009

      55 이두원 ( Du Won Lee ),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에 대한 탐색연구: 호스트와 체류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56 송용실, "한국어 문화 교육의 실태와 교육 방향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교육 관점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7 기야메 브누아, 이정희,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