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통령 후보자 토론 노출이 젊은 층 현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 현안의 직간접 연관성, 정향욕구, 경성뉴스 및 연성뉴스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xposure to Presidential Debates on Young Adults’ Perceived Importance of Issues in terms of Directly Relevant Issues, Indirectly Relevant Issues, Need for Orientation, and Hard News versus Soft New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행연구는 대통령 후보자 토론이 공중이 지각하는 현안의 중요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지만 현안의 차별성을 감안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현안은 젊은 층의 삶과 직결된 문제와 간...

      선행연구는 대통령 후보자 토론이 공중이 지각하는 현안의 중요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지만 현안의 차별성을 감안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현안은 젊은 층의 삶과 직결된 문제와 간접적으로 연관된 문제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이 점을 주목해 현안을 젊은 층이 당면한 현실과 직접 연관되는 유형과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유형으로 구분해 실제대통령 후보자 토론이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현안을 강조할 때 젊은 층이 지각하는 현안중요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했다. 통제실험 결과, 대통령 후보자 토론에 노출되는 경험은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현안의 중요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젊은 층에게 직접 연관되는 현안의 중요성은 토론에 노출된 이후 오히려 감소했다. 이는 대통령후보자들이 강조하는 현안의 중요성이 개입한 것으로 풀이된다. 젊은 층이 현안, 사실, 언론에 대해 갖는 정향욕구는 ‘대미관계’, ‘한국과 중국, 러시아, 일본과의 관계’의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젊은 층이 소비하는 경성뉴스와 연성뉴스라는 뉴스유형은 ‘개인부채’의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research explains that presidential debates influence young adults’ perceived importance of issues, but it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tial nature of issues. Issues are divided into issues directly relevant to young adults’ reality and ...

      Previous research explains that presidential debates influence young adults’ perceived importance of issues, but it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tial nature of issues. Issues are divided into issues directly relevant to young adults’ reality and those indirectly relevant to their reality. By focusing on this nature of issues, this study classifies issues into directly relevant issues to young adults’ reality and indirectly relevant issues and examines how young adults perceive the importance of issues when presidential candidates emphasize indirectly relevant issues. As a result of a controlled experiment, an exposure to the presidential debate increase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indirectly relevant issues. By contrast, the perceived importance of directly relevant issues is decreased after the exposure to the presidential debate.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issues highlighted by presidential candidates influence the young adults’ perception of issues. Their need for orientation toward issues, facts, and journalistic evaluations influence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USA and that of the relationship of South Korea with China, Russia, and Japan. The news type such as hard news and soft news that the young adults consume influence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ersonal deb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2, 2012

      2 한진만, "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 KBS1, MBC, SBS의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15 (15): 333-366, 2001

      3 KBS, "제17대 대통령후보초청 합동토론회 1차"

      4 하승태, "전통매체 및 인터넷 뉴스 이용과 공중의제 일치정도에 대한 고찰"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8 (18): 307-328, 2014

      5 이건호, "의제설정이론의 정향욕구 개념에 대한 탐구적 제언" 한국언론학회 51 (51): 411-438, 2007

      6 박광순, "기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성/경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199-226, 2006

      7 McKinney, M. S., "Who framed Sarah Palin? Viewer reactions to the 2008 vice presidential debate" 55 (55): 212-231, 2011

      8 Drew, D., "Voter learning in the 2004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media matter?" 83 (83): 25-42, 2006

      9 Drew, D., "Voter learning in the 1996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media matter?" 75 (75): 292-301, 1998

      10 Weaver, D., "Voter learning in the 1992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nontraditional’ media and debates matter?" 72 (72): 7-17, 1995

      1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2, 2012

      2 한진만, "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 KBS1, MBC, SBS의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15 (15): 333-366, 2001

      3 KBS, "제17대 대통령후보초청 합동토론회 1차"

      4 하승태, "전통매체 및 인터넷 뉴스 이용과 공중의제 일치정도에 대한 고찰"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8 (18): 307-328, 2014

      5 이건호, "의제설정이론의 정향욕구 개념에 대한 탐구적 제언" 한국언론학회 51 (51): 411-438, 2007

      6 박광순, "기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성/경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199-226, 2006

      7 McKinney, M. S., "Who framed Sarah Palin? Viewer reactions to the 2008 vice presidential debate" 55 (55): 212-231, 2011

      8 Drew, D., "Voter learning in the 2004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media matter?" 83 (83): 25-42, 2006

      9 Drew, D., "Voter learning in the 1996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media matter?" 75 (75): 292-301, 1998

      10 Weaver, D., "Voter learning in the 1992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nontraditional’ media and debates matter?" 72 (72): 7-17, 1995

      11 Drew, D., "Voter learning in the 1988 presidential election:Did the debates and the media matter?" 68 (68): 27-37, 1991

      12 Weaver, D., "Voter learning and interest in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Did the media matter?" 78 (78): 787-798, 2001

      13 Haslam, S. A., "The sage handbook of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237-264, 2004

      14 Matthes, J., "The need for orientation towards news media: Revisiting and validating a classic concept" 18 (18): 422-444, 2006

      15 Yagade, A., "The media agenda-setting effect of concrete versus abstract issues" 67 (67): 3-10, 1990

      16 McLeod, J. M., "The great debates: Carter vs. Ford, 1976" Indiana University Press 348-367, 1979

      17 Peake, J. S., "The agenda-setting impact of major presidential TV addresses" 25 (25): 113-137, 2008

      18 Swanson, L. L.,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first Ford-Carter debate" 45 : 347-353, 1978

      19 McCombs, M.,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36 (36): 176-187, 1972

      20 정성호, "TV토론에 나타난 의제가 수용자의 의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16대 대통령선거 TV합동토론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7 (7): 5-42, 2003

      21 유재웅, "TV앵커의 출신경력과 출연뉴스유형에 따른 시청자반응 : 기자출신과 아나운서출신, 경성뉴스와 연성뉴스 비교"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298-330, 2013

      22 McCombs, M., "Setting the Agenda: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Polity Press 2014

      23 Chaffee, S. H., "Presidential debates—Are they helpful to voters?" 45 (45): 330-346, 1978

      24 McKinney, M. S., "Not your parents’ presidential debates: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NN/YouTube debates on young citizens’civic engagement" 60 (60): 392-406, 2009

      25 Matthes, J., "Need for orientation as a predictor of agenda-setting effects:Causal evidence from a two-wave panel study" 20 (20): 440-453, 2008

      26 Allison, P. D., "Missing Data" Sage Publications 2001

      27 O’Keefe, D. J., "Message properties, mediating states, and manipulation checks: Claims, evidence, and data analysis in experimental persuasive message effects research" 13 (13): 251-274, 2003

      28 McCombs, M.,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8, 2002

      29 Weaver, D., "Media Agenda Setting in a Presidential Election" Greenwood 1981

      30 Sigall, H., "Measure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ors are useful in social psychology experiments: But are they necessary?" 2 (2): 218-226, 1998

      31 Iyengar, S., "Mass media and political thought: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SAGE Publications Inc 117-140, 1985

      32 Schoenbach, K., "Mass media and political thought: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SAGE Publications Inc 157-176, 1985

      33 Wanta, W.,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agendasetting process" 69 (69): 847-855, 1992

      34 Johnson, T. J., "Influence dealers: A path analysis model of agenda building during Richard Nixon’s war on drugs" 73 (73): 181-194, 1996

      35 Smith, E. R.,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32, 2000

      36 Lemert, J. B., "Do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help inform voters?" 37 (37): 83-94, 1993

      37 Zhu, J. -H., "Do televised debates affect image perception more than issue knowledge? A study of the first 1992presidential debate" 20 (20): 302-333, 1994

      38 Keppel, G., "Design and Analysis: A Researcher’s Handbook" Prentice Hall 1991

      39 Fridkin, K. L., "Capturing the power of a campaign event: The 2004 presidential debate in Tempe" 69 (69): 770-785, 2007

      40 Benoit, W. L., "Campaign 2000: A Functional Analysis of Presidential Campaign Discours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3

      41 Benoit, W. L., "Beyond learning and persona: Extending the scope of presidential debate effects" 68 (68): 259-273, 2001

      42 Weaver, D., "Audience need for orientation and media effects" 7 (7): 361-376, 1980

      43 McLeod, J. M., "Another look at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press" 1 : 131-166, 1974

      44 Holbrook, A., "Agenda-setting and priming in prime time television: Crime dramas as political cues" 22 : 277-295, 2005

      45 Wu, D., "Advancing agenda-setting theory: The comparative strength and new contingent conditions of the two levels of agendasetting effects" 86 (86): 775-789, 2009

      46 Mertler, C. A., "Advanced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Practical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Pyrczak Publishing 2010

      47 Benoit, W. L.,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viewing U.S. presidential debates" 70 (70): 335-35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69 1.39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