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5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lan S is a policy that mandates research papers supported by specific funders such as the European Community be published in open access journals. The funder supports APC to researchers, providing a chance to advance the era of gold open access, and ...

      Plan S is a policy that mandates research papers supported by specific funders such as the European Community be published in open access journals. The funder supports APC to researchers, providing a chance to advance the era of gold open access, and is expect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 scholarly publishing eco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lan S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stakeholder of the scholarly publishing ecosystem, such as funders, academic societies or publishers, authors, and librarie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status of Korean gold open access publishing and position for each stakeholder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hare of publishing gold open access journals in Korea was 22%, which was less than 26% worldwide. Korean funding agencies were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the impact of Plan S. On the other hand, Korean academic societies produce about 70% of all papers, but there are not many open access papers except medicine (51%). The response of the Korean library was not sufficient, and it contrasted with the activities of librarians in the U.S. that actively provide research support services based on the research lifecycle.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libraries should also actively try to change the role of librarians; advising researchers to plan open access publishing in grant project applications, consulting on copyrights, and so on. This study identified the background, principles, and impact of Plan S policy that would be effective in 2021 and examined the response situation in Korea.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served as the necessary basis for revitalizing the academic publishing ecosystem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와 손잡고 전국 대학도서관에 KCI 논문 연계"

      2 이재윤, "학회의 OA 추진 및 과제" 5-28, 2019

      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학술정보 공유체제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8

      4 채종일, "학술논문 오픈액세스와 저작권법 관련 쟁점 연구" 법학연구소 60 (60): 319-359, 2019

      5 임상혁, "학술 논문의 오픈액세스와 저작권 양도: 한국연구재단의 오픈액세스 정책과 관련하여" 법과사회이론학회 (55) : 235-268, 2017

      6 한국문헌정보학교수협의회, "전국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주소록 (담당과목 포함)"

      7 서태설, "오픈액세스 학술출판 동향과 추진 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9

      8 최선희, "오픈액세스 실행 우선순위는 정책개발" KISTI 1-12, 2018

      9 김순, "오픈 사이언스 시대에 대비한 도서관의 연구지원 서비스" 53-65, 2019

      10 오선혜, "연구 수명주기 기반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4 (54): 155-178, 2020

      1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와 손잡고 전국 대학도서관에 KCI 논문 연계"

      2 이재윤, "학회의 OA 추진 및 과제" 5-28, 2019

      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학술정보 공유체제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8

      4 채종일, "학술논문 오픈액세스와 저작권법 관련 쟁점 연구" 법학연구소 60 (60): 319-359, 2019

      5 임상혁, "학술 논문의 오픈액세스와 저작권 양도: 한국연구재단의 오픈액세스 정책과 관련하여" 법과사회이론학회 (55) : 235-268, 2017

      6 한국문헌정보학교수협의회, "전국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주소록 (담당과목 포함)"

      7 서태설, "오픈액세스 학술출판 동향과 추진 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9

      8 최선희, "오픈액세스 실행 우선순위는 정책개발" KISTI 1-12, 2018

      9 김순, "오픈 사이언스 시대에 대비한 도서관의 연구지원 서비스" 53-65, 2019

      10 오선혜, "연구 수명주기 기반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4 (54): 155-178, 2020

      11 김환민, "국내 연구자의 오픈액세스 논문 출판에 대한 인식 조사" 183-189, 2018

      12 김규환, "국내 공공기금 연구성과물에 대한 OA 정책 수립 방안 연구" 337-353, 2016

      13 김환민, "구독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모델과 사례" 1-24, 2019

      14 Tennant, J. P., "The Academic, Economic and Societal Impacts of Open Access: an Evidence-based Review" 5 : 1-54, 2016

      15 Brainard, J, "Scientific Societies Worry about Threat from Plan S" 363 (363): 332-333, 2019

      16 Schiltz, M, "Science without Publication Paywalls: cOAlition S for the Realisation of Full and Immediate Open Access" 15 (15): 1-4, 2018

      17 Moore, S. A, "Revisiting “the 1990s Debutante”: Scholar-led Publishing and the Prehistory of the Open Access Movement" 71 (71): 856-866, 2019

      18 Guzik, T. J., "Plan S: in Service or Disservice to Society?" 40 (40): 949-959, 2019

      19 Dal-Ré, R, "Plan S: Funders are Committed to Open Access to Scientific Publication" 49 (49): 1-4, 2019

      20 Debat, H., "Plan S in Latin America: A Precautionary Note" 1-11, 2019

      21 김기홍, "Plan S" 한국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7 (7): 78-79, 2020

      22 McNutt, M., "Opinion: “Plan S” Falls Short for Society Publishers—and for the Researchers They Serve" 116 (116): 2400-2403, 2019

      23 Revez, J, "Opening the Heart of Science: a Review of the Changing Roles of Research Libraries" 6 (6): 1-13, 2018

      24 Oberländer, A., "Open Access and the Library" 7 (7): 1-3, 2019

      25 Mering, M, "Open Access Mandates and Policies: The Basics" 46 (46): 1-3, 2020

      26 Haug, C. J, "No Free Lunch—What Price Plan S for Scientific Publishing?" 380 (380): 1181-1185, 2019

      27 Dempsey, L, "Library Collections in the Life of the User: Two Directions" 26 (26): 338-359, 2017

      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AR 개요 및 서비스"

      29 허선, "Journal statistics, coping strategy with upcoming scholarly journal publishing environment including Plan-S, and appreciation for reviewers and volunteers"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16 : 1-4, 2019

      30 Wise, A., "How Society Publishers Can Accelerate Their Transition to Open Access and Align with Plan S" 33 (33): 14-27, 2020

      31 Frantsvåg, J. E., "Few Open Access Journals are Compliant with Plan S" 7 (7): 1-18,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블리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2 0.91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