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최척전> 국내 공간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 General Edition : Literary Geographic Study of Chosun Space in Choi-chuk 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7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에서 공간은 작가의 경험과 삶의 인식이 발현되는 주요 소재다. 작가는 자신이 경험하거나 상상한 공간을 특유의 감수성과 방식으로 작품에 표현한다. <최척전>의 작가 조위한은 주...

      문학에서 공간은 작가의 경험과 삶의 인식이 발현되는 주요 소재다. 작가는 자신이 경험하거나 상상한 공간을 특유의 감수성과 방식으로 작품에 표현한다. <최척전>의 작가 조위한은 주인공들이 살던 남원을 중심으로, 한양, 나주, 순천, 섬진강, 은진 등의 다양한 공간을 배경으로 설정하며 스토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팀은 문학작품을 공간 중심으로 사고하고 시각적 재현 위주로 탐구하는 문학지리학적 시각에서 <최척전>의 국내 공간과 서사 전개의 관계를 고찰하고 표현하였다. 첫째, 작가 조위한은 자신의 남원 체험을 바탕으로 작품의 서사 공간과 이동경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조위한은 임란왜란 때 남원에서 피난살이를 했을 뿐만 아니라 의병활동에도 가담했다. 더욱이 1618년부터 5년 7개월 동안 조위한은 가족을 데리고 남원의 주포에 내려와 살았다. <최척전>의 스토리와 서사공간은 이러한 조위한의 전란체험 및 남원 생활 위에서 만들어졌다. 둘째, 작품의 서두에 주인공 최척의 집이 남원성의 서문과 만복사의 동쪽 사이에 있다고 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고지도를 참조하고 현장조사를 하여, 최척 생가가 현 남원시 왕정동 지역에 위치하고, 옥영의 기거처는 성문 남쪽에 위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최척이 가족을 잃고 돌아와 명군을 만났던 금교의 위치도 비정했다. 옥영 모녀가 서울에서 배를 타고 강화도에 도착한 뒤, 서해안 해로를 따라 내려와 영산강을 거슬러 올라 나주 회진에 도착하고, 회진에서 육로로 남원까지 온 피난길을 고지도를 통해 파악했고, 이를 지도에 표현하였다. <최척전>에서 1597년 왜군에 의해 남원성이 함락된 후 최척 가족은 지리산 연곡사로 피난을 떠나야 했다. 왜병은 연곡사에 들어와 살인과 약탈을 자행하여 최척의 가족은 이별하게 된다. 옥영은 왜병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잡혀갔고, 최척은 명군을 따라 중국으로 망명했다. 현장 답사 결과, 이 이야기가 실제 남원성 전투 및 지리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곡사는 현재 지리산 피아골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불에 탔는데 지금은 재건되어 있다. 옥영은 일본 군선에 실려 섬진강을 따라 남해로 빠져나와 대마도를 거쳐 일본나가사키로 잡혀갔다. 중국에 망명한 최척은 1601년 베트남의 한 항구에서 옥영을 만나 항주로 같이 돌아와 정착하였다. 1619년 최척은 명군의 일원이 되어 심하 전투에 출전하였다가 후금 군의 포로가 되었는데, 감옥을 탈출하여 만포를 거쳐 남쪽으로 내려와 고향집으로 돌아왔다. 옥영은 1620년 항주에서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가 서해안의 무인도에 표착한 뒤, 조선 무역선을 얻어타고 순천에서 내려 남원으로 돌아왔다. 본 연구팀은 현장답사를 통해서 옛 순천항의 위치가 현 ‘해창(海倉) 포구’임을 밝혔다. 본 연구팀은 고지도 및 현장답사를 통해 파악한 정보와 이해를 바탕으로 <최척전>에 등장하는 주요 공간과 이동경로를 문학지도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최척전>의 공간에 현실감과 상상력을 불어넣고, 공간과 서사의 관계를 새롭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최척전>의 인물 및 사건의 사실성 여부는 선결 조건이 아니다. 개연성 정도면 충분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ce is the main subject that reveal author’s life and aspect of it in literature. Writer expresses one’s experience or imaginary space in the work with his or her unique sensitivity. Cho Wihan, writer of Choi-chuk Jeon, shows a variety of domest...

      Space is the main subject that reveal author’s life and aspect of it in literature. Writer expresses one’s experience or imaginary space in the work with his or her unique sensitivity. Cho Wihan, writer of Choi-chuk Jeon, shows a variety of domestic space like Hanyang, Najoo, Soonchun, Sumjin River, and Eunjin and develops the story, based on their home, Namwon. I focused on domestic space in Chosun and trans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narration. Here are some results that analyzed space and road of the work in geographic way. First, writer Cho Wihan suggested narrative space of the work and moving route specifically, background of his experience in Namwon. Cho we-han had a refugee life in Namwon and participated civilian army activity during 1592, japanese invasion of korea. Also, since 1618, Cho we-han took his family to Joopo in Namwon and lived for 6 years and 9 months. These experiences of war and living in Namwon made story and narrative space of Choi-chuk Jeon. Second, based on content that Choi-chuk’s house located between Namwon castle of West and Manbok-sa of East, I found Choi-chuk’s house is now located in Wangjung-dong, Namwon city. I also judged the location Gum bridge where Choi-chuk lost his family and met a wise king. Through old maps and pictures, I found a refugee route where Ok-young mom and daughter leave from Seoul, pass Kwanghwa-do, Huejin, Najoo, and finally came back to Namwon, and I located it on the map. After Namwon castle was taken over by Japanese army in 1597, Choi-chuk family fled to Yun-gok temple in Jiri mountain. However, Japanese army broke into the temple, so the family had to separated each other. As a result of field investigation, this story was based on real Namwon castle battle and geography. Although Yun-gok temple was burn in 1592, it is now rebuilt in Pia valley, Jiri mountain. Ok-young was carried in Japanese battleship and was captured in Nagasaki, Japan. Exiled to China, Choi-chuk met Ok-young at a port in Vietnam in 1601 and came back to Hangzhou together. In 1619, Choi-chuk became the soldier of Ming, fought in Simha battle and being captured as a war prisoner of Qing. He excaped from prison, pass through Manpo, and arrived to his home. Ok-young took a ship in Hangzhou in 1620, took a merchant wessel of Chosun, arrived at Soonchun, and came back to Namwon. Through investigation, I revealed past Soonchun port ins now Haechang port. Based on knowledge and understand through old map and field investigation, I expressed main space and moving route in Choi-chuk Jeon to geographic map. Through this work, I added historical feeling and literature imagination to area of Choi-chuk Je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대형, "「최척전」의 이본(異本), 『삼국기봉(三國奇逢)』에 대한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4) : 351-376, 2012

      2 박희병,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421-450, 2005

      3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89-100, 1990

      4 김현양, "최척전, ‘희망’과 ‘연대’의 서사" 열상고전연구회 (24) : 75-100, 2006

      5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아세아문화사 292-308, 1993

      6 이민희,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서의 만남과 이산의 주체와 타자 - 「최척전」·「김영철전」·「강로전」을 중심으로 -" 국문학회 17 (17): 53-84, 2008

      7 박일용, "장르론적 관점에서 본 최척전의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 한국고전문학회 (5) : 1990

      8 오병무, "용성지(龍城誌)(1752년 목판 원본)"

      9 변주승, "여지도서 전라도 보유 1권" 흐름 240-266, 2009

      10 소재영, "성봉김성배박사회갑논문집" 형설출판사 1977

      1 이대형, "「최척전」의 이본(異本), 『삼국기봉(三國奇逢)』에 대한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4) : 351-376, 2012

      2 박희병,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421-450, 2005

      3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89-100, 1990

      4 김현양, "최척전, ‘희망’과 ‘연대’의 서사" 열상고전연구회 (24) : 75-100, 2006

      5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아세아문화사 292-308, 1993

      6 이민희,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서의 만남과 이산의 주체와 타자 - 「최척전」·「김영철전」·「강로전」을 중심으로 -" 국문학회 17 (17): 53-84, 2008

      7 박일용, "장르론적 관점에서 본 최척전의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 한국고전문학회 (5) : 1990

      8 오병무, "용성지(龍城誌)(1752년 목판 원본)"

      9 변주승, "여지도서 전라도 보유 1권" 흐름 240-266, 2009

      10 소재영, "성봉김성배박사회갑논문집" 형설출판사 1977

      11 김기동, "불교소설 최척전 소고"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1) : 187-, 1974

      12 김진영,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 논의에 대한 재고찰" 서울대 지리교육과 (54) : 1-15, 2010

      13 이은숙, "문학지리학 서설-지리학과 문학의 만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48-165, 1992

      14 최수웅, "문학의 공간, 공간의 스토리텔링" 한국학술정보 32-, 2006

      15 김경미,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다시 읽는 <최척전>ㆍ<김영철전>" 한국고전문학회 (43) : 165-192, 2013

      16 "동국여지승람"

      17 이윤석, "남원고사 원전비평" 266-268, 2009

      18 정명기, "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19 신태수, "[최척전]에 나타난 공간의 형상" 한민족어문학회 (51) : 395-428, 2007

      20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69-100, 2000

      21 엄태식,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81-124, 2012

      22 권혁래,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23-44, 2009

      23 김현화, "<최척전>의 노정 공간 연구" 어문연구학회 70 : 103-128, 2011

      24 강진옥, "<최척전>에 나타난 고난과 구원의 문제"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8) : 225-252, 1986

      25 신태수, "<崔陟傳>의 虛實 논변" 한국고소설학회 (37) : 149-175, 2014

      26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89-229,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1.06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