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예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8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SL-CEL(Thank, Sorry, Love–Celebrity) program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celebrit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SL-CEL program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evious TSL family program, the results after application are verified with Biomedical-Social-Scientific perspective method. To ensure a ethical research standard,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research approval from YUIRB(Yonse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March 2017. The research process is aimed at about 90 celebrities who engage in celebrity activities to explain the purpose and intent of research. Ultimately, total targeting voluntary participants of 60 celebrities, the experiment group(n=5), the comparison groups(n=5) and the control group(n=5) during the first program, the experiment group(n=10), the comparison groups(n=10), the control group(n=10) during the second program, and the experiment group(n=5), the comparison groups(n=5), the control group(n=5) during the third program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SL-CEL program comprised of 10 sessions,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a different program for reinforcing capabilities for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empathy code. There was no additional intervention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for 3 times(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and follow-up) on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differentiation of self related to interpersonal skills, which are social scientific variables. and cortisol level which is biomedical scientific variabl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paired samples t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SL-CEL program intervention for celebrity decreased participants’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and self-differentiation of experiment group participants. Second, it showed that TSL-CEL program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which is the index for physical stress. It prove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by TSL-CEL program intervention. Third, the result of paired samples t 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SL-CEL program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elieving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individual cases of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elebrities who participated more actively and sincerely in the TSL-CEL program were more likely to improve self-differentiation and change positively in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emotional labou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SL-CEL program is considered effective as a comprehensive and customizable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the celebrity's mental health. As this TSL-CEL program embraces the overall aspect of life and ultimately enhances the positive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for celebrity agencies to introduce themselves as a celebrity education program in the long-term. Second, TSL-CEL program intervention for celebrities showed that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which is the physical stress index. This proves that TSL-CEL program has the effectiveness for reducing stress. Third, unlike previous social welfare studies, by adopting biomedical scientific measurements beyond social scientific method, the study secured higher levels of objective and scientific character in measuring effectiveness of programs related to celebrity. By increasing the validity of program effectiveness test through improvement of the level of objectivity, which was difficult to guarantee solely by social scientific measures, the study also contributed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for practical interven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Fourth, unlike previous TSL program based research, by repeating the TSL-CEL program over third phases, the study has far more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empirical basis for applying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elebritie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consider expanding the TSL-CEL program to solve the diverse and complex mental health problems experienced by celebrities in their field of life. The study suggested furthe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TSL-CEL(Thank, Sorry, Love–Celebrity) program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celebrit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SL-CEL program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evious 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SL-CEL(Thank, Sorry, Love–Celebrity) program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celebrit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SL-CEL program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evious TSL family program, the results after application are verified with Biomedical-Social-Scientific perspective method. To ensure a ethical research standard,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research approval from YUIRB(Yonse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March 2017. The research process is aimed at about 90 celebrities who engage in celebrity activities to explain the purpose and intent of research. Ultimately, total targeting voluntary participants of 60 celebrities, the experiment group(n=5), the comparison groups(n=5) and the control group(n=5) during the first program, the experiment group(n=10), the comparison groups(n=10), the control group(n=10) during the second program, and the experiment group(n=5), the comparison groups(n=5), the control group(n=5) during the third program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SL-CEL program comprised of 10 sessions,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a different program for reinforcing capabilities for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empathy code. There was no additional intervention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for 3 times(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and follow-up) on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differentiation of self related to interpersonal skills, which are social scientific variables. and cortisol level which is biomedical scientific variabl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paired samples t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SL-CEL program intervention for celebrity decreased participants’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and self-differentiation of experiment group participants. Second, it showed that TSL-CEL program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which is the index for physical stress. It prove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by TSL-CEL program intervention. Third, the result of paired samples t 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SL-CEL program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elieving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individual cases of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elebrities who participated more actively and sincerely in the TSL-CEL program were more likely to improve self-differentiation and change positively in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emotional labou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SL-CEL program is considered effective as a comprehensive and customizable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the celebrity's mental health. As this TSL-CEL program embraces the overall aspect of life and ultimately enhances the positive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for celebrity agencies to introduce themselves as a celebrity education program in the long-term. Second, TSL-CEL program intervention for celebrities showed that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which is the physical stress index. This proves that TSL-CEL program has the effectiveness for reducing stress. Third, unlike previous social welfare studies, by adopting biomedical scientific measurements beyond social scientific method, the study secured higher levels of objective and scientific character in measuring effectiveness of programs related to celebrity. By increasing the validity of program effectiveness test through improvement of the level of objectivity, which was difficult to guarantee solely by social scientific measures, the study also contributed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for practical interven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Fourth, unlike previous TSL program based research, by repeating the TSL-CEL program over third phases, the study has far more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empirical basis for applying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elebritie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consider expanding the TSL-CEL program to solve the diverse and complex mental health problems experienced by celebrities in their field of life. The study suggested furthe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TSL 가족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 TSL-CEL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적용 이후 나타나는 결과를 사회과학적 방법과 의생명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윤리를 확보하기 위해 2017년 3월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YUIRB: Yonse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로부터 연구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 과정은 연예활동에 종사하는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약 90명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 등을 설명하였다.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1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5명, 2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0명, 3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각각 5명으로 총 60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0회기로 구성된 TSL-CEL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10회기의 연예활동 역량강화 및 공감코드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추가적 개입을 실시하지 않았다. 조사는 사전, 사후, 추후 3회로 이루어졌으며, 사회과학적 접근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자기분화를, 의생명과학적 접근으로 cortisol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대응표본 t 검증 방법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예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입이 실험집단 참여자의 사회과학적 측정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등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융합, 타인과 융합의 균형조절 등 대인관계와 관련된 자기분화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TSL-CEL 프로그램이 의생명과학적 측정으로 신체적인 스트레스의 지표인 cortisol 수치를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TSL-CEL 프로그램으로 개입한 실험집단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cortisol 개선과 자기분화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실험집단 참여자의 개별사례를 분석한 결과, TSL-CEL 프로그램에 진심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한 연예인일수록 자기분화 수준이 보다 향상되고,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cortisol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SL-CEL 프로그램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을 도울 수 있는 종합적인 맞춤형 개입 프로그램으로 효과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SL-CEL 프로그램은 삶의 전반적인 영역을 포괄하고 궁극적으로 긍정적 관점을 강화할 수 있어 연예인 유관기관에서 장기적으로 연예인 정신증진 프로그램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연예인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입은 참여자의 신체적 스트레스 지표인 cortisol 수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SL-CEL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셋째, 기존 사회복지연구에서와 달리, 사회과학적 측정 이외에 의생명과학적 측정을 도입함으로써 연예인과 관련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보다 높은 수준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보하였다. 사회과학적 측정만으로 담보하기 어려웠던 객관성의 수준을 향상시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대한 타당도를 높임으로써 사회복지영역의 실천적 개입의 책임성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기존 TSL 프로그램 기반 연구와 달리 TSL-CEL 프로그램 개입을 1, 2, 3차 시기에 걸쳐 그 결과의 측정을 반복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에 대한 신뢰성의 수준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연예인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적용에 실증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예인들이 삶의 현장에서 경험하거나 경험했던 다양하고 복잡한 정신건강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TSL-CEL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연구의의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TSL 가족프로그램을 수...

      본 연구의 목적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TSL 가족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 TSL-CEL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적용 이후 나타나는 결과를 사회과학적 방법과 의생명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윤리를 확보하기 위해 2017년 3월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YUIRB: Yonse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로부터 연구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 과정은 연예활동에 종사하는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약 90명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 등을 설명하였다.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1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5명, 2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0명, 3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각각 5명으로 총 60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0회기로 구성된 TSL-CEL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10회기의 연예활동 역량강화 및 공감코드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추가적 개입을 실시하지 않았다. 조사는 사전, 사후, 추후 3회로 이루어졌으며, 사회과학적 접근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자기분화를, 의생명과학적 접근으로 cortisol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대응표본 t 검증 방법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예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입이 실험집단 참여자의 사회과학적 측정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등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융합, 타인과 융합의 균형조절 등 대인관계와 관련된 자기분화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TSL-CEL 프로그램이 의생명과학적 측정으로 신체적인 스트레스의 지표인 cortisol 수치를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TSL-CEL 프로그램으로 개입한 실험집단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cortisol 개선과 자기분화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실험집단 참여자의 개별사례를 분석한 결과, TSL-CEL 프로그램에 진심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한 연예인일수록 자기분화 수준이 보다 향상되고,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cortisol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SL-CEL 프로그램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을 도울 수 있는 종합적인 맞춤형 개입 프로그램으로 효과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SL-CEL 프로그램은 삶의 전반적인 영역을 포괄하고 궁극적으로 긍정적 관점을 강화할 수 있어 연예인 유관기관에서 장기적으로 연예인 정신증진 프로그램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연예인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입은 참여자의 신체적 스트레스 지표인 cortisol 수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SL-CEL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셋째, 기존 사회복지연구에서와 달리, 사회과학적 측정 이외에 의생명과학적 측정을 도입함으로써 연예인과 관련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보다 높은 수준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보하였다. 사회과학적 측정만으로 담보하기 어려웠던 객관성의 수준을 향상시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대한 타당도를 높임으로써 사회복지영역의 실천적 개입의 책임성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기존 TSL 프로그램 기반 연구와 달리 TSL-CEL 프로그램 개입을 1, 2, 3차 시기에 걸쳐 그 결과의 측정을 반복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에 대한 신뢰성의 수준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연예인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적용에 실증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예인들이 삶의 현장에서 경험하거나 경험했던 다양하고 복잡한 정신건강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TSL-CEL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연구의의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나무위키, "https://namu", wiki, null

      2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파주: 교육과학사, 2016

      3 김춘옥, "『방송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4 이태연, "『심리학의 이해』", 신정, 서울: 신정, 2012

      5 김태, "스트레스의 뇌과학", <서울신문> 1월 1일, 2018

      6 김재엽, "TSL 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소야, 2009

      7 장규수, "한류와 스타 시스템", 스토리 하우스, 2011

      8 원석조,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고양: 공동체, 2012

      9 김귀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눔의집, 파주: 나남, 2005

      10 김현철,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5

      1 나무위키, "https://namu", wiki, null

      2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파주: 교육과학사, 2016

      3 김춘옥, "『방송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4 이태연, "『심리학의 이해』", 신정, 서울: 신정, 2012

      5 김태, "스트레스의 뇌과학", <서울신문> 1월 1일, 2018

      6 김재엽, "TSL 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소야, 2009

      7 장규수, "한류와 스타 시스템", 스토리 하우스, 2011

      8 원석조,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고양: 공동체, 2012

      9 김귀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눔의집, 파주: 나남, 2005

      10 김현철,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5

      11 유시순, 이윤로, "사회복지사를 위한 SPSS", 학지사, 2008

      12 김재엽, "TSL 가족치료와 가족복지", 서울 : 학지사, 2014

      13 강길전, "후성유전학과 에너지의학", 한국정신과학학회,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9-60, 2010

      14 임시혁, "공분산분석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2

      15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진로교육 현황조사, 2007

      16 이명옥, 하정희,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2007

      17 배국남, "무명배우의 죽음과 연예인광풍", <마이데일리> 11월 17일.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011171024541111, 2010

      18 강석훈, "연예인 자살, 무엇이 문제인가?", <시사우리신문> 11월 17일. http://www.urinews.co.kr/sub_read.html?uid=6716§ion=sc7§ion2=, 2010

      19 김동철, "나는 당신의 행복한 스타입니다", 서울: 홍문각, 2015

      20 이동연, "감정의 양가성: 연예인에 대하여",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64, 86-106, 2010

      21 최종덕,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으로", 한국의철학회, 의철학연구, 17, 87-115, 2014

      22 홍숙영, "여배우의 몸과 권력, 그리고 저항",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649-657, 2011

      23 노명우, "‘사회적 사실’인 연예인의 자살",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63, 283-291, 2010

      24 남기성, 천영민, "SPSS21을 이용한 통계분석은 어떻게?", 파주: 자유아카데미, 2014

      25 이데일리, "결혼이주여성 10명 중 3명은 우울증", 일반인의 4배. 1월 14일.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308726602677720&m ediaCodeNo=257&OutLnkChk=Y, 2013

      26 한은경, 이보영, 문효진, "연예인 평판의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 보, 21(5), 297-338, 2007

      27 윤성옥,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스타의 권리』",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8 김연수, 양옥경,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4, 225-261, 2004

      29 문경연, "한국 근대 대중연극계의 기억과 침묵 읽기",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26, 99-130, 2007

      30 이투데이, "자살한 연예인 따라 스스로 목숨 끊는 사람들", 10월 28일. http://www.etoday.co.kr/issue/newsview.php?idxno=1223892, 2015

      31 김안자 ( An Ja Kim ), "가족 레질리언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27, 73-101, 2009

      32 이주연, "연예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3 남미희, 추여진, 지선미, 이윤희, 안정훈, "우울증, 자살 그리고 한국사회 Round-table Conference",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보고서, 1-110, 2010

      34 이데일리, "고교생 희망직업1위 교사→문화예술인 자리바꿈", 교육부 진로교육조 사 ‘8년간 희망직업1위 교사’ 깨져. 12월 28일. http://www.edaily.co.kr/news/n ews_detail.asp?newsId=03112726609603112&mediaCodeNo=257&OutLnkChk=Y, 2015

      35 정혜정, 조은경,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가족과 가족치료, 15, 19-46, 2007

      36 고성은, 홍혜영,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 학연구, 16(11), 97-124, 2009

      37 박진희, "연기자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생각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9

      38 구병문, "연예인의 전속계약과 그 법적 보호. 고황논집, 대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01

      39 조선하, "청소년 문화의 새바람 ‘오디션' <광남일보> 10월 6일",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475737843243495127#07RH, 2016

      40 이춘발, "자영업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갈등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8

      41 김봉환, 이주연, "연예인 자살생각의 보호요인-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 학연구, 13(6), 3059-3076, 2012

      42 권정훈, 이재훈, 윤영현, "유명인의 자살이 일반 대중의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7(1), 22-30, 2012

      43 배미예, 이은희,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 국청소년연구, 20(1), 85-112, 2009

      44 김상아, 이정은, 최수찬, 박웅섭,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근무 사회복 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대한산업의학회, 대한산업의학회지 19(4), 259-267, 2007

      45 우종민, "국내 정신질환 관련 연구 현황 파악 및 우울증 자살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고서, 1-486, 2012

      46 이훈석, 전병준,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616-626, 2012

      47 정혜정, 나보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 및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008

      48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8, 9-23, 2001

      49 이기학 ( Ki Hak Lee ), 이현아 ( Hyun Ah Lee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2009

      50 이동귀,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 네이버에서 가장 많이 검색한 심리학 키워 드 100", 21세기북스, 파주: 21세기북스, 2016

      51 유정희, "방송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협회, 심리행동연구, 2(1), 97-114, 2010

      52 정혜정, 조은경,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2002

      53 이정희, 유희정, 정경연, "세대 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4(5), 407-429, 2007

      54 최권호, "소아암 부모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가족프로그램 TSL-CCF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5 이주연, 지명원,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 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191-200, 2012

      56 김상옥, 전영자,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39-558, 2013

      57 김재엽, 최선아, 남석인,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TSL 대 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2, 275-308, 2009

      58 최중진, 박기령, "청소년 레질리언스(resilience)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8-2015)",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10), 451-478, 2016

      59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19(3), 203-225, 2005

      60 이환범(Lee Hwan-Beom), 이수창(Lee Soo-Chang),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한국조직학회보, 3(2), 83-101, 2006

      61 김재엽 ( Jae Yop Kim ), 이동은 ( Dong Eun Lee ),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 우울 및 TSL표현 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45, 131-160, 2014

      62 권성민,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2011

      63 송향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을 위한 TSL 프로 그램효과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64 김재엽, "다학제 융합적 사회복지서비스 개발과 효과성 검증(가족ㆍ청소년 복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글로벌 특성화 사업, 2012

      65 권미애, 박지현, 김필숙, 김태현, "미혼성인자녀가 지각하는 자아분화 와 부모-자녀간 정서체계 역동성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3 (11), 31-48, 2005

      66 김정선, 하동현,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4(6), 173-191, 2010

      67 남석인, "남성노인의 은퇴 후 적응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검증 :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68 김재엽, 김희진, 최장원, "직장 남성의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와 아내 폭력의 관계에서 나타난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효과", 한국소통학회(구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3, 39-70, 2010

      69 김재엽, 황선익, 박하연,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4(11), 53-79, 2017

      70 김혜원, 한혜성, 이수경, 백인혜,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와 세대 간가족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3(6), 2919-2941, 2012

      71 박인만,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응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소 기업과 대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72 서정열, "군(軍)장병의 폭력성 감소를 위한 TSL-MIL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 증: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3 김희진,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 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 과: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74 이상희, 이임천, "청소년 동반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심리 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1(2), 123-139, 2010

      75 김재엽, "Neurobiosocial(NBS-뇌생명사회적) 관점에 근거한 가족 및 아동복지: 여 성, 청소년, 노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접근", 연세대학교미래유망/학 제간융합 사업, 2010

      76 이근영, "가정폭력노출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TSL 프로 그램 효과연구: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7 장용언,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신건강과 자활의지 활성화를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8 이진석, "직장 TSL 프로그램의 다중역할 충실화와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효과 : 기혼 남성근로자에 대한 의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79 김혜원, "“모녀간 자기분화의 세대 간 전이와 여대생의 자기분화, 세대 간 가족관계가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3-43, 2013

      80 이동은,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TSL가족프로그 램 개입효과: 소년원청소년의 부모-자녀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1 김재엽 ( Kim Jae Yop ), 임지혜 ( Im Ji-hye ), 황호경 ( Hwang Ho Koung ), 성신명 ( Sung Shin Myoung ), "암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간 TSL 태도의 조절효과: 청장년층과 중장년층의 비교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54, 77-106, 2016

      82 최장원,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대인관계 기술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 에 미치는 영향 연구: TSL program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s ; TSL-JSM) 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