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무위키, "https://namu", wiki, null
2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파주: 교육과학사, 2016
3 김춘옥, "『방송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4 이태연, "『심리학의 이해』", 신정, 서울: 신정, 2012
5 김태, "스트레스의 뇌과학", <서울신문> 1월 1일, 2018
6 김재엽, "TSL 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소야, 2009
7 장규수, "한류와 스타 시스템", 스토리 하우스, 2011
8 원석조,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고양: 공동체, 2012
9 김귀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눔의집, 파주: 나남, 2005
10 김현철,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5
11 유시순, 이윤로, "사회복지사를 위한 SPSS", 학지사, 2008
12 김재엽, "TSL 가족치료와 가족복지", 서울 : 학지사, 2014
13 강길전, "후성유전학과 에너지의학", 한국정신과학학회,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9-60, 2010
14 임시혁, "공분산분석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2
15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진로교육 현황조사, 2007
16 이명옥, 하정희,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2007
17 배국남, "무명배우의 죽음과 연예인광풍", <마이데일리> 11월 17일.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011171024541111, 2010
18 강석훈, "연예인 자살, 무엇이 문제인가?", <시사우리신문> 11월 17일. http://www.urinews.co.kr/sub_read.html?uid=6716§ion=sc7§ion2=, 2010
19 김동철, "나는 당신의 행복한 스타입니다", 서울: 홍문각, 2015
20 이동연, "감정의 양가성: 연예인에 대하여",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64, 86-106, 2010
21 최종덕,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으로", 한국의철학회, 의철학연구, 17, 87-115, 2014
22 홍숙영, "여배우의 몸과 권력, 그리고 저항",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649-657, 2011
23 노명우, "‘사회적 사실’인 연예인의 자살",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63, 283-291, 2010
24 남기성, 천영민, "SPSS21을 이용한 통계분석은 어떻게?", 파주: 자유아카데미, 2014
25 이데일리, "결혼이주여성 10명 중 3명은 우울증", 일반인의 4배. 1월 14일.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308726602677720&m ediaCodeNo=257&OutLnkChk=Y, 2013
26 한은경, 이보영, 문효진, "연예인 평판의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 보, 21(5), 297-338, 2007
27 윤성옥,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스타의 권리』",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8 김연수, 양옥경,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4, 225-261, 2004
29 문경연, "한국 근대 대중연극계의 기억과 침묵 읽기",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26, 99-130, 2007
30 이투데이, "자살한 연예인 따라 스스로 목숨 끊는 사람들", 10월 28일. http://www.etoday.co.kr/issue/newsview.php?idxno=1223892, 2015
31 김안자 ( An Ja Kim ), "가족 레질리언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27, 73-101, 2009
32 이주연, "연예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3 남미희, 추여진, 지선미, 이윤희, 안정훈, "우울증, 자살 그리고 한국사회 Round-table Conference",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보고서, 1-110, 2010
34 이데일리, "고교생 희망직업1위 교사→문화예술인 자리바꿈", 교육부 진로교육조 사 ‘8년간 희망직업1위 교사’ 깨져. 12월 28일. http://www.edaily.co.kr/news/n ews_detail.asp?newsId=03112726609603112&mediaCodeNo=257&OutLnkChk=Y, 2015
35 정혜정, 조은경,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가족과 가족치료, 15, 19-46, 2007
36 고성은, 홍혜영,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 학연구, 16(11), 97-124, 2009
37 박진희, "연기자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생각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9
38 구병문, "연예인의 전속계약과 그 법적 보호. 고황논집, 대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01
39 조선하, "청소년 문화의 새바람 ‘오디션' <광남일보> 10월 6일",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475737843243495127#07RH, 2016
40 이춘발, "자영업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갈등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8
41 김봉환, 이주연, "연예인 자살생각의 보호요인-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 학연구, 13(6), 3059-3076, 2012
42 권정훈, 이재훈, 윤영현, "유명인의 자살이 일반 대중의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7(1), 22-30, 2012
43 배미예, 이은희,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 국청소년연구, 20(1), 85-112, 2009
44 김상아, 이정은, 최수찬, 박웅섭,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근무 사회복 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대한산업의학회, 대한산업의학회지 19(4), 259-267, 2007
45 우종민, "국내 정신질환 관련 연구 현황 파악 및 우울증 자살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고서, 1-486, 2012
46 이훈석, 전병준,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616-626, 2012
47 정혜정, 나보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 및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008
48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8, 9-23, 2001
49 이기학 ( Ki Hak Lee ), 이현아 ( Hyun Ah Lee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2009
50 이동귀,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 네이버에서 가장 많이 검색한 심리학 키워 드 100", 21세기북스, 파주: 21세기북스, 2016
51 유정희, "방송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협회, 심리행동연구, 2(1), 97-114, 2010
52 정혜정, 조은경,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2002
53 이정희, 유희정, 정경연, "세대 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4(5), 407-429, 2007
54 최권호, "소아암 부모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가족프로그램 TSL-CCF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5 이주연, 지명원,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 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191-200, 2012
56 김상옥, 전영자,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39-558, 2013
57 김재엽, 최선아, 남석인,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TSL 대 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2, 275-308, 2009
58 최중진, 박기령, "청소년 레질리언스(resilience)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8-2015)",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10), 451-478, 2016
59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19(3), 203-225, 2005
60 이환범(Lee Hwan-Beom), 이수창(Lee Soo-Chang),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한국조직학회보, 3(2), 83-101, 2006
61 김재엽 ( Jae Yop Kim ), 이동은 ( Dong Eun Lee ),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 우울 및 TSL표현 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45, 131-160, 2014
62 권성민,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2011
63 송향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을 위한 TSL 프로 그램효과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64 김재엽, "다학제 융합적 사회복지서비스 개발과 효과성 검증(가족ㆍ청소년 복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글로벌 특성화 사업, 2012
65 권미애, 박지현, 김필숙, 김태현, "미혼성인자녀가 지각하는 자아분화 와 부모-자녀간 정서체계 역동성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3 (11), 31-48, 2005
66 김정선, 하동현,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4(6), 173-191, 2010
67 남석인, "남성노인의 은퇴 후 적응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검증 :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68 김재엽, 김희진, 최장원, "직장 남성의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와 아내 폭력의 관계에서 나타난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효과", 한국소통학회(구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3, 39-70, 2010
69 김재엽, 황선익, 박하연,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4(11), 53-79, 2017
70 김혜원, 한혜성, 이수경, 백인혜,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와 세대 간가족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3(6), 2919-2941, 2012
71 박인만,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응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소 기업과 대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72 서정열, "군(軍)장병의 폭력성 감소를 위한 TSL-MIL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 증: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3 김희진,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 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 과: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74 이상희, 이임천, "청소년 동반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심리 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1(2), 123-139, 2010
75 김재엽, "Neurobiosocial(NBS-뇌생명사회적) 관점에 근거한 가족 및 아동복지: 여 성, 청소년, 노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접근", 연세대학교미래유망/학 제간융합 사업, 2010
76 이근영, "가정폭력노출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TSL 프로 그램 효과연구: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7 장용언,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신건강과 자활의지 활성화를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8 이진석, "직장 TSL 프로그램의 다중역할 충실화와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효과 : 기혼 남성근로자에 대한 의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79 김혜원, "“모녀간 자기분화의 세대 간 전이와 여대생의 자기분화, 세대 간 가족관계가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3-43, 2013
80 이동은,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TSL가족프로그 램 개입효과: 소년원청소년의 부모-자녀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1 김재엽 ( Kim Jae Yop ), 임지혜 ( Im Ji-hye ), 황호경 ( Hwang Ho Koung ), 성신명 ( Sung Shin Myoung ), "암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간 TSL 태도의 조절효과: 청장년층과 중장년층의 비교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54, 77-106, 2016
82 최장원,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대인관계 기술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 에 미치는 영향 연구: TSL program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s ; TSL-JSM) 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