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와 신학이 이 변혁기의 시대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며 근본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변혁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기독교교육이라는 장을 통하여 특히 공공신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62419
2021
-
231
KCI등재
학술저널
441-46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기독교와 신학이 이 변혁기의 시대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며 근본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변혁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기독교교육이라는 장을 통하여 특히 공공신학...
한국 기독교와 신학이 이 변혁기의 시대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며 근본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변혁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기독교교육이라는 장을 통하여 특히 공공신학과의 대화를 통해 그 과제와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위해 칼 바르트의 화해론과 현대 교육학자와의 비판적인 대화는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되며, 한국 사회와 기독교교육학에 중요한 통찰을 줄 수가 있을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칼 바르트의 신학에서 공공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그의 『교회 교의학』 중 ‘화해론’을 중심으로 바르트의 신학이 어떻게 공공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를 제시할 것이다. 특히 칼 바르트 화해론의 구조 분석을 시도하고 여기서 화해와 해방의 차원, 기독교인의 소명과 책임성을 그의 신학적 인간학의 중심 주제인 동료 인간성(co-humanity)과 더불어 검토한다. 그리고 바르트 신학이 시민 사회에 줄 수 있는 공공 책임성과 자본주의 사회를 지배하는 주인 없는 세력에 대한 그의 비판을 위해 열어놓는다. 이것은 바르트의 화해론에 담겨져 있는 비판과 시민 사회론을 해방의 교육과 매개함으로써 화해 신학이 공공 교육으로서 갖는 위치를 설정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화해를 기초로 하는 해방 교육론이 새롭게 등장할 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heology are successfully meeting the challenge coming of the era of transition; it seeks to know what is fundamentally required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
This paper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heology are successfully meeting the challenge coming of the era of transition; it seeks to know what is fundamentally required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asks and alternatives are presented through reflection on Modern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dialogue with public theology. With this problem in mind, I focus on Karl Barth’s ‘Doctrine of Reconciliation’ and enter into critical dialogue with modern pedagogists; it will be a substantial research project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Korean society and Christian Educ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present how Barth’s theology in Church Dogmatics is moving toward publicity, or the public sphere in terms of the ‘Doctrine of Reconciliation.’ The paper examines the public nature and character of Barth’s theology. In particular, Karl Barth undertake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Doctrine of Reconciliation’ and examines the dimension of reconciliation and liberation. This lens helps me evaluate the calling and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along with co-humanity, as the central subject of his theological anthropology. What remains crucial is the critical implication of Barth’s theology in confronting the lordless forces that dominate State and capitalist society. This perspective will serve as the basis for reconciliation theology to establish itself as an approach to public education. Criticism and civil society theories contained in Barth’s ‘Doctrine of Reconciliation’ should be mediated and compared with liberation education. Thus liberation pedagogy based on reconciliation can emerge anew.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나, "해방후 이태영의 여성인권론과 인권, 민주화운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6) : 97-136, 2017
2 "한호일보"
3 김정수, "한국의 여성 평화 운동" 2009
4 이우정, "한국의 여성 문제" (202) : 1975
5 임희숙, "한국사회의 변화와 교회여성교육 -1960-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217-242, 2011
6 이우정, "한국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 6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전국연합회
7 정석기, "한국 기독교 여성 인물사" 쿰란출판사 2001
8 이우정, "한국 기독교 여성 백 년의 발자취" 민중사 1985
9 이효재, "한국 가족의 오늘과 내일" 1970
10 이우정, "평화와 새 인류공동체" (381) : 1990
1 이유나, "해방후 이태영의 여성인권론과 인권, 민주화운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6) : 97-136, 2017
2 "한호일보"
3 김정수, "한국의 여성 평화 운동" 2009
4 이우정, "한국의 여성 문제" (202) : 1975
5 임희숙, "한국사회의 변화와 교회여성교육 -1960-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217-242, 2011
6 이우정, "한국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 60년사" 한국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전국연합회
7 정석기, "한국 기독교 여성 인물사" 쿰란출판사 2001
8 이우정, "한국 기독교 여성 백 년의 발자취" 민중사 1985
9 이효재, "한국 가족의 오늘과 내일" 1970
10 이우정, "평화와 새 인류공동체" (381) : 1990
11 이문숙, "평화를 사랑한 한신인" 한신대학교출판부 2021
12 이우정, "평화 운동과 여성"
13 이우정, "특집 좌담 여성 해방은?" (210) : 1973
14 정선모, "작은 거인 이우정, 여성 운동으로 평화를 만들다" 2019
15 이우정,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에 보내는 메시지"
16 이문숙, "이우정 평전" 삼인 2012
17 "이우정 진정서. 박형규 목사 내란 음모 사건 관련 1973년 7월 19일(한국교회여성연합회 회장 이우정)"
18 노영희, "이우정 선생" 1985
19 이효재, "여성과 지도자" 6 (6): 1962
20 이우정, "여성과 인권" (271) : 1978
21 이우정선생고희기념논문집편찬위원회, "여성, 평화, 생명: 이우정선생고희기념논문" 經世院 1993
22 이우정, "여성 주체성 일깨우신 김재준 박사" (463) : 1995
23 최민희, "여성 인권과 민주화에 바친 이우정의 한길" 1992
24 곽라분이, "여성 운동가 이우정 선생을 그리며" 254 : 2018
25 이우정, "아세아 교회 여성 대회" (189) : 1971
26 이유나, "문익환의 삶과 분단 극복론" 선인 2014
27 "매일경제"
28 "동아일보"
29 "동아일보"
30 "동아일보"
31 "동아일보"
32 이우정, "내가 만난 조화순"
33 이우정, "남성 편향적 신학은 검토돼야" (383) : 1988
34 이우정, "남북 교류와 이산가족 문제"
35 한국교회여성연합회, "기생 관광" 가톨릭출판사 1983
36 이우정, "기독교 가정과 우리의 반성" (43) : 1961
37 이우정, "교회가 제도화되어감에 따라 심화된 여성 차별" (384) : 1988
38 이우정, "교회 여성의 나아갈 길" (334) : 1984
39 이우정, "교회 여성과 평화" (354) : 1986
40 이우정, "교회 여성과 생명 운동"
41 공덕귀, "공덕귀, 나 그들과 함께 있었네" 한국여신학자협의회 1994
42 "경향신문"
43 "경향신문"
44 이우정, "결혼을 위한 결혼은 하지 마시오" (29) : 1997
45 최만자, "1980년대 한국기독여성의 여성신학 수용과 전개 그리고 그 영향" 한국기독교역사학회 18 : 77-110, 2003
46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 운동 - 기독교 인권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스가랴 9-14장에 나타난 야웨의 주권과 세 개의 주제
코로나19의 상황 속에서 관계적 놀이의 회복에 대한 이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THEOLOGICAL THOUGH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9-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신학사상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6 | 0.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