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일신보』가 그려낸 1919년 감옥의 풍경 = The Image of Prison in the year 1919, depicted by 'the Mae-il Shin B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8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sing the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prison depiction. Generally speaking, the prison is the space of invisibility from outside. But, using Mae-il Shin Bo, Japanese colonial rulers depicted the prison scene in the year ...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sing the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prison depiction. Generally speaking, the prison is the space of invisibility from outside. But, using Mae-il Shin Bo, Japanese colonial rulers depicted the prison scene in the year 1919.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Japanese colonial rulers launched for political stability. At this time, they used violence to Koreans for the suppression of the March First movement. This violence showed that their rule was uncivilized and premodern rather than civilized and modern. Using prison depiction, rulers wanted to cover up this violence, and show their civilized and modern ized rule.
      At this time, the prison showed by Mae-il Shin Bo was limited. Speakers and subjects were selected by colonial rulers. Speakers were limited to prison officers and a few foreign missionaries, and subject was only the Seodaemun Prison in Seoul. Using Mae-il Shin Bo, rulers depicted the prison as the civilized and modern space, prison officers were kind, and inmates were well-behaved.
      The prison depiction using the Mae-il Shin Bo was over by April, 1920. There has the marriage of Lee-Eun(李垠) and Nashimotomiya-Masako(梨本宮方子), and the free pardon. The participants in the March First movement were invested with the role, being forgiven by Japanese colonial rulers. But Koreans didn't turn over to rulers' in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19년 『매일신보』에 이례적으로 나타났던 감옥묘사를 분석한 글이다. 일반적으로 감옥은 외부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성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1919년 식민지 통치당국은 『...

      본 논문은 1919년 『매일신보』에 이례적으로 나타났던 감옥묘사를 분석한 글이다. 일반적으로 감옥은 외부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성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1919년 식민지 통치당국은 『매일신보』 지면을 통해 감옥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그 배경과 의도를 추적한 것이다.
      3·1운동 이후 일제는 통치의 안정을 꾀하고 있었다. 그들은 강력한 무력진압으로 3·1운동을 잠재우고자 했고, 그런 폭력성은 1919년 감옥 내부에도 관철되고 있었다. 하지만 폭력적 지배는 자신들의 통치가 ‘문명·근대’적이기보다는 ‘야만·전근대’적이라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었다. 감옥 내부 처우에 대한 소문과 외국인 선교사들의 조사 및 문제제기가 등장하자, 식민통치당국은 자신들의 폭력적 행위를 감추고 자신들의 근대적이고 문명적인 통치를 감옥묘사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
      이때 『매일신보』가 보여준 감옥의 모습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 모습을 말하는 화자와 대상은 식민 통치 당국에 의해 선택되었다. 화자는 감옥 간수 혹은 몇몇 외국인 선교사로 제한되었고 대상은 식민지 경성의 서대문 감옥뿐이었다. 식민지 조선의 감옥은 ‘근대적’이고 ‘문명화’된 공간으로 설명되었고, 간수들은 ‘친절’하고 재감자는 ‘얌전’하게 묘사되었다. 이를 통해 식민 통치 안정을 대내외적으로 공표할 의도를 식민지 통치당국은 관철하고자 했다.
      『매일신보』의 감옥묘사는 1920년 4월 이은 왕세자 결혼과 은사령 시행 때까지 이어졌다. 간수로 대표되는 식민지 통치자의 선정과 관용이 부각되었고, 독립을 꿈꾸었던 재감자들은 자신의 지난 1년을 반성·후회하는 모습으로 이야기되었다. 독립을 꿈꾸었다는 사실은 ‘罪’로써 표상되었다. 3·1운동 가담자들에게 ‘日鮮融和’를 상징했던 이은왕세자 결혼을 통해 그 ‘죄’를 용서받는 역할을 부여하고자 했다.
      하지만 1919년의 감옥을 드러내는 것을 통한 통치 정당화·안정화는 성공할 수 없는 기획이었다. 통치당국은 자신들의 불안함을 숨길 수 없었고, 감옥 내부에서 벌어지고 있던 가혹한 폭력, 전근대적인 상황들을 가릴 수도 없었다. 1920년 4월『 동아일보』를 비롯한 식민지 조선인들에 의한 언론 공간이 창출되면서, 『매일신보』가 하는 이야기는 조선인들에게 영향력을 독보적으로 행사할 수 없게 되었다. 감옥은 다시 높은 담벼락 너머의 ‘비가시적 공간’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대문형무소역사관, 2006

      2 서대문형무소역사관, 2009

      3 KOREA INDEPENDENCE MOVEMENT MATERIAL,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Ⅰ) - 국제연맹편" 국가보훈처 1991

      4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5(3·1운동편Ⅰ)" 국사편찬위원회 1975

      5 전상숙,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7-36, 2009

      6 "제102호 其348, 제76호, 朝特 제193호, 宇都宮太郞(朝鮮駐箚軍司令官)→田中義一(陸軍大臣), 「西大門監獄 죄수의 만세운동」, 1919년 7월 3일,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1) , 일본육군성, 1921"

      7 양성숙, "일제하 서대문형무소 연구 : 의병투쟁과 105인사건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8 남기정, "일제의 한국사법부 침략실화" 육법사 1978

      9 수요역사연구회,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일신보 - 1910년대" 두리미디어 2005

      10 이장낙, "우리의 벗 스코필드" 정음사 1962

      1 서대문형무소역사관, 2006

      2 서대문형무소역사관, 2009

      3 KOREA INDEPENDENCE MOVEMENT MATERIAL,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Ⅰ) - 국제연맹편" 국가보훈처 1991

      4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5(3·1운동편Ⅰ)" 국사편찬위원회 1975

      5 전상숙,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7-36, 2009

      6 "제102호 其348, 제76호, 朝特 제193호, 宇都宮太郞(朝鮮駐箚軍司令官)→田中義一(陸軍大臣), 「西大門監獄 죄수의 만세운동」, 1919년 7월 3일,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1) , 일본육군성, 1921"

      7 양성숙, "일제하 서대문형무소 연구 : 의병투쟁과 105인사건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8 남기정, "일제의 한국사법부 침략실화" 육법사 1978

      9 수요역사연구회,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일신보 - 1910년대" 두리미디어 2005

      10 이장낙, "우리의 벗 스코필드" 정음사 1962

      11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2 심훈, "심훈시집 그날이 오면" 신라출판사 1999

      13 "신한민보"

      14 이종민, "식민지하 근대감옥을 통한 통제 메카니즘 연구 : 일본의 형사처벌 체계와의 비교"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15 수요역사연구회,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 1910년대" 신서원 2002

      16 이종민, "식민지 시기 형사 처벌의 근대화에 관한 연구" 55 : 1999

      17 수요역사연구회, "식민지 동화정책과 협력 그리고 인식" 두리미디어 2007

      18 천정환, "소문所聞·방문訪問·신문新聞·격문檄文: 3·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 In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19 정성화, "서양인이 쓴 민속문헌 해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20 김삼웅, "서대문형무소 근현대사" 나남 2000

      21 "매일신보"

      22 "동아일보"

      23 "독립신문"

      24 "독립"

      25 박경목, "대한제국 말기 일제의 경성감옥 설치와 본감 ‧ 분감제 시행" 한국근현대사학회 (46) : 81-104, 2008

      26 김동인, "김동인 단편선 감자" 현대문학 2011

      27 "高警 제13199호, 「李王世殿下ノ御婚儀竝恩赦ニ對スル民情ニ干スル件」"

      28 박은식, "韓國獨立運動之血史" 維新社 2002

      29 宋奉瑀, "監獄의 鄕土色- 옴 監獄! 西大門監獄" (27) : 1931

      30 黃愛德, "監獄의 鄕土色- 大邱女監의 0141號" (27) : 1931

      31 "法務局長 橫田五郞"

      32 朝鮮總督府法務局行刑課, "朝鮮の行刑制度" 治刑協會 1938

      33 "密 제102호 其355, 제46호, 朝特 제199호, 宇都宮太郞(朝鮮駐箚軍司令官)→田中義一(陸軍大臣), 「西大門監獄 부근의 만세운동」, 1919년 7월 15일,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1) , 일본육군성"

      34 "密 제102호 其337, 제62호, 朝特 제186호, 宇都宮太郞(朝鮮駐箚軍司令官)→田中義一(陸軍大臣), 「西大門監獄 罪囚의 만세운동」, 1919년 6월 28일,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1) , 일본육군성, 1921"

      35 "密 제102호 其325, 제25호, 朝特 제174호, 宇都宮太郞(朝鮮駐箚軍司令官)→田中義一(陸軍大臣), 「西大門監獄 부근의 시위운동」, 1919년 6월 20일,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1) , 일본육군성"

      36 原奎一郞, "原敬日記 5 首相時代" 1981

      37 "京騷密 제1354호, 경기도 경무부"

      38 "京騷密 제1289호, 경기도 경무부"

      39 "京騷密 제1272호, 경기도 경무부"

      40 이정은, "《매일신보》에 나타난 3.1운동 직전의 사회상황" 4 : 1990

      41 "THE KOREAN INDEPENDENCE, In AGITATION-Articles Reprinted from the “Seoul Press”"

      42 "STORY OF RELEASED GIRL PRISONER(1)~(6)(한국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

      43 서대문형무소역사관, "3·1운동기 서대문형무소와 학생운동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개관9주년 기념"

      44 임경석, "3·1운동과 일제의 조선지배정책의 변화, In 일제식민통치연구 1:1905~1919" 백산서당 1999

      45 서대문형무소역사관, "3·1 민족대표와 서대문형무소"

      46 최우석, "3.1운동기 김윤식․이용직의 독립청원서 연구" 수선사학회 (38) : 169-194, 2011

      47 "3.1運動 獨立宣言書와 檄文" 國家報勳處 2002

      48 염복규, "1910년대 일제의 태형제도 시행과 운용" 한국역사연구회 (53) : 187-219, 2004

      49 이종민, "1910년대 근대감옥의 도입 연구" (75) : 1999

      50 Frank Herron Smith, "(The) other side of the Korean question : fresh light on some important factors" The Seoul Press 19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
      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
      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3 1.02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