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교 학부모의 자녀교육문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년제 대학생 자녀를 둔 중산층 어머니 22명을 참여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1784
2019
-
37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9-63(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교 학부모의 자녀교육문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년제 대학생 자녀를 둔 중산층 어머니 22명을 참여자...
본 연구는 대학교 학부모의 자녀교육문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년제 대학생 자녀를 둔 중산층 어머니 22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대학합격과 더불어 참여자들은 자녀교육 상황을 ‘한 고비 넘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기저에는 대학이라는 인생의 중요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사실과 대학 진학 실패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비난을 모면했다는 안도감이 중층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한편, 대학생 자녀의 학교적응, 진로나 취업, 생활태도, 이성 관련 문제들을 경험하면서 참여자들은 자녀교육이 여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가 더 큰 무대에서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안한 학부모 노릇을 지속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일상 속 다양한 문제에 노출된 자녀들을 지켜보면서 참여자들은 이전과는 다른 문제의식을 갖고 자녀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녀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극적 투자하기’, ‘의식적 거리두기’, ‘우회적 유도하기’ 등의 차별적 전략을 사용하면서 성인이 된 자녀를 삶의 현장으로 내보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 대학생 자녀의 교육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녀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학부모로서 자신의 교육적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고, 나아가 한 개인으로서 자아를 회복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 학부모의 자녀교육 문화에 함의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llege parents’ culture of child education. To do this,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terviews was conducted. 22 middle-class mothers with 4-yea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fi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llege parents’ culture of child education. To do this,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terviews was conducted. 22 middle-class mothers with 4-yea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y had jumped one of the many hurdles that they have to overcome when their children passed the college entrance exam, This cognition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passed the first important gate of life, and that they avoided social criticism of the failure.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child education was still in progress since their children had entered college. It was because that they had to continue to play parents’ roles in situations where their children had to compete on a larger field. Second, the participants re-established the road map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made different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and context of their children to support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tri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re-establish their educational roles. Simultaneously, they also tried to find self identity as an individua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mplied in the college parents’ culture of child education were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 김경근, "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 도서출판 문음사 2004
3 남은영, "한국사회 변동과 중산층의 소비문화" 나남 2011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54 (54): 229-257, 2016
5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6 백병부,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99-117, 2011
7 Glesne. C., "질적연구자 되기❲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아카데미프레스 2017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9 Flick, U., "질적연구방법❲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도서출판 한울 2009
10 황성희, "중소도시 중산층 학부모의 자녀 사교육 지원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277-303, 2014
1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 김경근, "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 도서출판 문음사 2004
3 남은영, "한국사회 변동과 중산층의 소비문화" 나남 2011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54 (54): 229-257, 2016
5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6 백병부,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99-117, 2011
7 Glesne. C., "질적연구자 되기❲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아카데미프레스 2017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9 Flick, U., "질적연구방법❲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도서출판 한울 2009
10 황성희, "중소도시 중산층 학부모의 자녀 사교육 지원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277-303, 2014
11 조동기,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회 29 (29): 89-109, 2006
12 김미곤,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시사점" (223) : 2014
13 이민경,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59-181, 2007
14 김미숙, "중산층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중산층 학부모들의 자녀교육문화: 분당구 사례"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30, 2015
15 서수균, "중년부모와 대학생 자녀 간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971-990, 2015
16 한영주,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들의 사교육 탈출기: 사교육 경감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33-71, 2018
17 이두휴,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35-165, 2008
18 손준종, "자녀교육의 여성화에 관한 연구 ― 어머니의 역할과 경험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4) : 25-58, 2009
19 이경숙, "자녀교육과 구속적 가족의 삶"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67-292, 2010
20 나윤경,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 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55-87, 2007
21 박기남, "일 가족 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한울아카데미 2009
22 조명희, "여성의 자아지향과 일-육아 갈등: 30, 40대 중산층 기혼 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0 (20): 245-285, 2017
23 임진국, "에듀푸어: 자녀교육에 등골 휘는 부모들의 자화상" 북오션 2013
24 조규형, "서울지역 대학생의 자발적 졸업연기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105-128, 2016
25 Lareau, Annette, "불평등한 어린시절❲Unequal childhoods: Class, race, and family life ❳" 에코리브르 2012
26 최미혜, "부모의 헬리콥터형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친구관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기개발연구원 17 (17): 181-205, 2015
27 이현주,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41-59, 2010
28 이희영, "부모의 양육행동과 후기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93-123, 2005
29 권재환, "부모의 양육태도, 교수의 지지 및 학습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55-73, 2014
30 심호규, "부모의 애착수준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7 (7): 1-17, 2007
31 변수용,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39-66, 2008
32 김지연,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647-661, 2011
33 김유정,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 간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16 (16): 251-259, 2008
34 곽수란, "부모관여와 부모지원이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22, 2015
35 나윤경, "모성적 생산성과 여성 평생교육: 사회적 모성에 대한 인문학적 상상" 한국평생교육학회 20 (20): 1-21, 2014
36 노지, "대학을 그만두고자 했던 때"
37 김정은, "대학생의 영어 사교육 비용에 미치는 개인, 학교, 및 부모/가구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8 (28): 429-446, 2017
38 정지선, "대학생의 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97-130, 2009
39 김미란, "대학생들은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떻게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있는가?: 서울의 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25-65, 2014
40 심미옥, "교육열 이해를 위한 어머니 감정자본 개념의 유용성과 한계"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99-134, 2017
41 김미숙, "거주지 분리와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성남시 수정구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67-91, 2014
42 金喜福, "學父母 文化 연구 : 釜山地域 中産層의 敎育熱"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43 오경희, "The Parental Perception and Correspondence Ways through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t Home : In Busan Area" 한국교육개발원 35 (35): 83-106, 2008
44 이종각, "'학부모의 날' 행사와 변혁적 교육발전" 한국학부모학회 4 (4): 1-26, 2017
대학생 다문화 태도에 대한 다양성 경험과 대학의 구조적 다양성 효과 분석
교육훈련 직무연관성, 자기주도적 학습지원 참여, 역량평가제 실시와 인적자원성과 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다층매개효과
수업설계과정에서의 교사 협력 촉진전략 탐색 : 국내연구에 대한 Systematic Meta-aggregative Review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2-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5 | 1.65 | 1.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1 | 1.85 | 2.063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