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권 유형은 미국과 비슷하게 한부모여성을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접근하지만, 사회적 지원수준이 낮아 빈곤율이 매우 높은 국가군으로 결론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32411
송다영 (호서대학교)
2006
-
사회권 ; 여성사회권 ; 한부모가족 ; 노동권 ; 모성권 ; social right ; women's social right ; one-parent family ; labor right ; paternal right
KCI등재
학술저널
171-200(30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권 유형은 미국과 비슷하게 한부모여성을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접근하지만, 사회적 지원수준이 낮아 빈곤율이 매우 높은 국가군으로 결론지...
우리나라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권 유형은 미국과 비슷하게 한부모여성을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접근하지만, 사회적 지원수준이 낮아 빈곤율이 매우 높은 국가군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사회복지정책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사회권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나 사회복지정책의 사회권의 대상은 여전히 남성근로자 중심이며,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이인커플 가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증하고 있는 한부모 여성가장의 사회권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배제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겠다.Ⅴ. 결 론
참고문헌 (Reference)
1 석재은,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56 (56): 167-194, 2004
2 박경일, "프랑스, 영국 가족수당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199-231, 1996
3 on line, "인구동태통계연보"
4 장혜경, "여성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여성부 2001
5 이용우, "여성한부모 가구의 빈곤지위에 미치는 아동의 영향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22 (22): 105-131, 2006
6 김영순, "어머니에서 노동자로? 블레어정부 이후 영국 여성의 사회권 변화" 한국산업사회학회 2005
7 송다영,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95-319, 2003
8 김영란, "사회권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배제에서 포용으로" 13 : 2001
9 마경희, "사회권으로서 돌봄의 제도화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한국여성연구소 2005
10 김선민, "사회권 보장을 위한 기초연구" 사회권연구모임 2002
1 석재은,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56 (56): 167-194, 2004
2 박경일, "프랑스, 영국 가족수당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199-231, 1996
3 on line, "인구동태통계연보"
4 장혜경, "여성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여성부 2001
5 이용우, "여성한부모 가구의 빈곤지위에 미치는 아동의 영향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22 (22): 105-131, 2006
6 김영순, "어머니에서 노동자로? 블레어정부 이후 영국 여성의 사회권 변화" 한국산업사회학회 2005
7 송다영,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95-319, 2003
8 김영란, "사회권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배제에서 포용으로" 13 : 2001
9 마경희, "사회권으로서 돌봄의 제도화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한국여성연구소 2005
10 김선민, "사회권 보장을 위한 기초연구" 사회권연구모임 2002
11 류정순, "빈곤의 여성화 실태 원인 및 정책대안" 2004
12 장혜경, "모자가족 지원정책 및 서비스 연구"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05
13 장지연, "모성휴가제도의 주요 쟁점과 정책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4
14 통계청, "각년도. 경제활동인구연보"
15 송다영, "가족위기 지표에 관한 비판적 재고찰" 25 : 2004
16 송다영, "가족가치 논쟁과 여성의 사회권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2) : 231-254, 2005
17 Second,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women's social right from the perspective of one-parent family and to propose how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the study firstly classified women's social right into four groups based on employment rate and poverty rate of one-parent families of OECD countries it reviewed the combination of labor right and paternal right of United Kingdom the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women's social right had been accommodated and achieved from the two tracks among one-parent women"
18 Casper, "The gender gap:What can we learn from other countries" -605, 1994
19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20 Gauthier, A, "The State and the Famil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1 Esping-Andersen, G,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2 Knijn, t, "Social Care in the Netherlands" Ashgate 1998
23 OECD,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OECD 2002
24 Babb, P, "National Statistics:Social trends" Palgrave Macmillan 36 : 2006
25 Young, I, "Mothers, citizenship and independence A critique of pure family values" (3) : 1995
26 Childcare Commission, "Looking to the future for children and families" 2001
27 Kilkey, M, "Lone Mothers Between Paid Work and Care" Ashgate 2000
28 Sainsbury, D, "Gender, policy regimes, an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9 Orloff,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s" 1993
30 Lewis,J, "Gender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regimes" (3) : -173, 1992
31 low cost, "Findings show that the levels of social rights among one-parent women in Korea are far from securing the basic minimum of living conditions when they could not be supported by family women's social rights are limited and restricted in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 and labor market structure because any policy has not treated caregiver as qualified for social right Policies have driven one-parent women into work and maternal and paternal leave for childrearing According to the restriction of social right"
32 Finch, N, "Family Policy in the UK" 2003
33 Lister, R, "Dilemmas in engendering citizenship" Routledge 2000
34 OECD, "Babies and Bosses: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OECD 2004
35 OECD, "Babies and Bosses: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OECD 2003a
36 OECD, "Babies and Bosses: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OECD 2005
37 Fraser, N, "After the family wage A postinsdustrial thought experience" Routledge 2000
38 Esping-Andersen, G, "A new gender contrac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9 Bradshaw, J, "A comparison of child benefit packages in 22 countries" (174) : 2002
40 Levine, P, "A benefit of one's own older women's entitlement to social security retirement" 63 (63): 47-53, 2000
영국의 국가아동보육전략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발전 방안 모색:Sure Start를 중심으로
3세대가족과 핵가족의 각 세대 별 인구사회학적 부양관련 태도 및 가족관계적 특성의 차이
일본 「자녀양육지원센터」의 복지·보건연계에 대한 일고찰
일본의 노인개호(介護)서비스 공급의 다원화·시장화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4 | 1.42 | 1.617 | 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