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들뢰즈의 철학으로 본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 Education Based on Deleuzeʼs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1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들뢰즈의 사상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들뢰즈의 공간론, 교육론, 예술론에 대한 1, 2차 저작들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현 예술장르 중심 표현기능 교육에 대응하는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원리로써 <도서관 공간에서의 예술을 통한 창조>를 제안하였다.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 예술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도서관이라는 기호가 제기하는 물음을 탐구하고 이를 촉매제로 삼아 도서관에 작품을 제작, 감상해 보게 하는 시간을 마련해 주어서 학습자들이 창조의 경험을 갖게 하는 교육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과 같이 정형화된 기능을 가진 공간 속에서 미술을 통해 창조를 이루어내는 대안적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있는 기획자나 연구자들에게 이론적 배경을 더하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들뢰즈의 사상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들뢰즈의 공간론, 교육론, 예술론에 대한 1, 2차 저작...

      본 연구는 들뢰즈의 사상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들뢰즈의 공간론, 교육론, 예술론에 대한 1, 2차 저작들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현 예술장르 중심 표현기능 교육에 대응하는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원리로써 <도서관 공간에서의 예술을 통한 창조>를 제안하였다.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 예술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도서관이라는 기호가 제기하는 물음을 탐구하고 이를 촉매제로 삼아 도서관에 작품을 제작, 감상해 보게 하는 시간을 마련해 주어서 학습자들이 창조의 경험을 갖게 하는 교육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과 같이 정형화된 기능을 가진 공간 속에서 미술을 통해 창조를 이루어내는 대안적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있는 기획자나 연구자들에게 이론적 배경을 더하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Deleuzeʼs philosophy.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Deleuzeʼs first and second works on space, learning and art. As a result of the study, I suggested ʻcreation through art in a library spaceʼ as the basic principle of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ainst current art genre-centered expression education.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vides learners with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question raised by the signs of the library and use it as a catalyst to create and appreciate art works in the library.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enables learn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a creation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d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planners and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alternat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produces creativity through art in a space with a formal function such as a libra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Deleuzeʼs philosophy.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Deleuzeʼs first and second works on s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Deleuzeʼs philosophy.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Deleuzeʼs first and second works on space, learning and art. As a result of the study, I suggested ʻcreation through art in a library spaceʼ as the basic principle of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ainst current art genre-centered expression education.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vides learners with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question raised by the signs of the library and use it as a catalyst to create and appreciate art works in the library. Alternative librar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enables learn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a creation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d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planners and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alternat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produces creativity through art in a space with a formal function such as a libr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현(現)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 Ⅲ. 이론적 배경 Ⅳ. 들뢰즈의 철학을 토대로 한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Ⅴ. 결 론
      • Ⅰ. 서론 Ⅱ. 현(現)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 Ⅲ. 이론적 배경 Ⅳ. 들뢰즈의 철학을 토대로 한 대안적 도서관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Ⅴ. 결 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