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고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담심리학적으로는 어떻게 관여할 수 있을 지를 이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모형으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고충처리제도 자체가 적극적으로 활용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01792
2001
-
300
학술저널
193-205(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담심리학적으로는 어떻게 관여할 수 있을 지를 이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모형으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고충처리제도 자체가 적극적으로 활용되...
본 논문은 고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담심리학적으로는 어떻게 관여할 수 있을 지를 이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모형으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고충처리제도 자체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한 현실에서 고충처리에 대해 상담적인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시기 상조일 수도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고충처리 상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못한 형편이고 따라서 고충처리와 관련된 상담논문이나 상담모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실에 있는 고충처리에 대해 고충을 법적이나 행정적으로 또는 조직관리의 입장에서 처리하는 관점을 넘어서서 상담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인 상담모형은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저자의 현장에서의 상담경험과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장황한 이론의 나열보다는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게 될 상담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입장, 행동주의적 입장, 인지행동주의적 입장, 인본주의적 입장 및 실존주의적 입장으로 나누어 각각의 입장에 적합한 고충의 유형과 각각의 입장에서 설정할 수 있는 상담목표와 상담효과를 제시하였다. 실험적인 접근을 통하여 각각의 입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것은 다음 연구로 미루고 우선은 이론적으로 모형을 구성하는 데에 그쳤다.
저소득층 노인복지를 위한 의료사회사업의 연계 -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덕양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
민간의 인적자원 활용 실태 및 강화 전략 - 사회복지조직의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