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치중화(致中和) -기질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 Yulgok`s Li-Qi-Zhi-Miao and Zhi-Zhonghe - on the basis of Qi-Zhi change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01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이기(理氣)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정립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통해 심(心)·성 (性)·정(情)·의(意)의 관계를 연속선상에서 요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율곡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상적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변통의 묘리를 발휘하여 현실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율곡사상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그가 중국 정주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본질 적으로는 『중용』과 『주역』의 시중(時中)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율곡은 때(時)의 적의성이라는 점에서 시중의 중용의 의미를 중시함과 더불어 ‘치중화(致中和)’를 실천론적 이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 논문은 송대 성리학의 연장선상 위에 선 율곡이 어떠한 인식[앎]의 지평에서 현실성[때]을 담보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질변화의 교육적 태도를 통해 도덕교육방법론의 현대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Yin-Xim-Do-Xim-Shou(人心道心說), he creatively reveal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continually. On one side he suggested the way of ideal man, on the other side he was showed adaptablity to the real world. So I think Yulgok had placed emphasis on the Zhongyong(中庸) and Yijing(周易), so he point out the meaning of ShiZhong (時中). Then he had high ideals practical Zhi-Zhonghe((致中和). So This paper is to find out his foundation of epistemology, and then to know It‘s modern meaning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s Implication on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So We ca find out Ji(機) is very important the transition of Qi-Zhe(氣質).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2 최일범, "栗谷 李珥의 心性論에 대한 연구" 퇴계학연구원 (128) : 61-88, 2010

      3 "論語"

      4 배종호, "한국유학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86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채무송, "퇴계율곡 철학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7 신순정, "중용에 있어서의 앎(知)과 때(時)의 현대적 함의" 새한철학회 14 : 1998

      8 시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93

      9 이원희, "인성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성리학이 학교 교육의 근간이 될 수 있는가?"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59-79, 2014

      10 황의동, "율곡철학의 현대적 의미" 10 : 2005

      1 "栗谷全書"

      2 최일범, "栗谷 李珥의 心性論에 대한 연구" 퇴계학연구원 (128) : 61-88, 2010

      3 "論語"

      4 배종호, "한국유학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86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채무송, "퇴계율곡 철학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7 신순정, "중용에 있어서의 앎(知)과 때(時)의 현대적 함의" 새한철학회 14 : 1998

      8 시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93

      9 이원희, "인성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성리학이 학교 교육의 근간이 될 수 있는가?"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59-79, 2014

      10 황의동, "율곡철학의 현대적 의미" 10 : 2005

      11 정병연, "율곡의 인성교육론" 2000

      12 금장태, "율곡의 심성론과 인간이해" 1990

      13 이홍군, "율곡 이기론의 주자학적 계승" 10 : 2005

      14 이해영, "율곡 이기론의 기중시적 특성" 5 :

      15 한병철, "시간의 향기" 문학과지성사 [서울 ] 2013

      16 차미란, "성리학과 덕윤리학: ‘수기’(修己)와 ‘사적(私的) 윤리’의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도덕교육학회 27 (27): 23-45, 2015

      17 박재주, "동양의 도덕교육사상" 청계 2002

      18 조난심, "도덕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도덕 교육에 대한 교육철학적 연구 동향"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6) : 122-146, 2003

      19 "道德經"

      20 "退溪全書"

      21 "近思錄"

      22 "朱子語類"

      23 "性理大全"

      24 "大學"

      25 "周易"

      26 "二程全書"

      27 "中庸"

      28 이명수, "‘기자이(機自爾)’를 중심으로 본 존재론적 자기 기제" 한국철학사연구회 (49) : 191-214, 2016

      29 Blum, R, "Gilligan and Kohlberg: Implication for moral theory" 98 (98): 476-477, 1988

      30 Noddings, "Caring: A Relational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2013

      31 A. MacIntyre, "After Virtue" University of Notre Dame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1.189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