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Factors which Affect the Mental-health of the hearing impair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9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levels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and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demographic-sociologic, psychologic, society, and communication and to suggest method for control and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ampled 181 hearing impairments using religious group, educational institution, welfare center, deaf association, and so on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vel of mental healt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factors of demographic-sociologic.
      Second, levels of hearing impairments depended on self-esteem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factors. It was found that hearing impairments who had more self-esteem hae more positive levels of mental health. The depression among self-esteem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n social disfunction, anxiety were followed the next.
      Third, support of family and friends among factors of society affected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and support of friends showed more correlation than support of family. The social disfunction among factors of society and level of mental healt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n depression, anxiety were followed the next.
      Fourth, communication types(sign, oral, writing, sign*oral) accept languages were not correlative, but writing type which is one of express languages was significantly correlative to mental health.
      Fifth, the supports of friends which major factors affected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were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n self-esteem, supports of family were followed the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ocial welfare's practice for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should be accessed variety areas base on factors of society and communication.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alization for hearing impairments of hearing impairments and communication should be improved.
      The hearing impairments is in very complex situation which is mixed various communication types as sign, oral, writhing, body language. But they sometimes are hard to communication. So they are difficult contact with peers. Social organizations would let down the bars about communication.
      Second, curriculum and society should be changed admit sign and oral language are equal.
      Third, the hearing impairments will have to exert theirselves form an organization and solidify their friendship.
      Forth, the individualized services should be execut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Finally, this indicated the necessity to promote relation organizations and service center for receiving hearing impairments themselve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levels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and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demographic-sociologic, psychologic, society, and communication and to suggest method for control and improvement of 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levels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and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demographic-sociologic, psychologic, society, and communication and to suggest method for control and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ampled 181 hearing impairments using religious group, educational institution, welfare center, deaf association, and so on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vel of mental healt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factors of demographic-sociologic.
      Second, levels of hearing impairments depended on self-esteem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factors. It was found that hearing impairments who had more self-esteem hae more positive levels of mental health. The depression among self-esteem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n social disfunction, anxiety were followed the next.
      Third, support of family and friends among factors of society affected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and support of friends showed more correlation than support of family. The social disfunction among factors of society and level of mental healt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n depression, anxiety were followed the next.
      Fourth, communication types(sign, oral, writing, sign*oral) accept languages were not correlative, but writing type which is one of express languages was significantly correlative to mental health.
      Fifth, the supports of friends which major factors affected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were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n self-esteem, supports of family were followed the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ocial welfare's practice for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should be accessed variety areas base on factors of society and communication.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hearing impairments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alization for hearing impairments of hearing impairments and communication should be improved.
      The hearing impairments is in very complex situation which is mixed various communication types as sign, oral, writhing, body language. But they sometimes are hard to communication. So they are difficult contact with peers. Social organizations would let down the bars about communication.
      Second, curriculum and society should be changed admit sign and oral language are equal.
      Third, the hearing impairments will have to exert theirselves form an organization and solidify their friendship.
      Forth, the individualized services should be execut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Finally, this indicated the necessity to promote relation organizations and service center for receiving hearing impairments themsel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의사소통 요인이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고 정신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조사연구로써,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농아인협회, 복지관, 교육기관, 종교단체 등을 이용하는 청각장애인 181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정신건강은 정신건강수준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 사회적부적응, 불안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적 요인의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보다는 친구지지가 정신건강과의 상관이 높았으며, 사회적부적응, 우울, 불안 순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소통 요인의 의사소통유형의 표현언어에서 필담이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의 수용능력에서는 구화, 표현능력에서는 구화와 필담을 사용하는 경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친구지지,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방안을 제시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의사소통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요인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이나 사회분위기가 구화와 수화를 동등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셋째, 청각장애인 자조집단을 형성하여 친구관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청각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개별적 서비스가 요구된다. 다섯째, 청각장애인 가족간의 올바른 지지역할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인 자신을 존중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 많은 홍보 및 서비스 기관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의사소통 요인이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의사소통 요인이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고 정신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조사연구로써,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농아인협회, 복지관, 교육기관, 종교단체 등을 이용하는 청각장애인 181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정신건강은 정신건강수준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수준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 사회적부적응, 불안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적 요인의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보다는 친구지지가 정신건강과의 상관이 높았으며, 사회적부적응, 우울, 불안 순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소통 요인의 의사소통유형의 표현언어에서 필담이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의 수용능력에서는 구화, 표현능력에서는 구화와 필담을 사용하는 경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친구지지,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방안을 제시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의사소통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요인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이나 사회분위기가 구화와 수화를 동등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셋째, 청각장애인 자조집단을 형성하여 친구관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청각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개별적 서비스가 요구된다. 다섯째, 청각장애인 가족간의 올바른 지지역할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인 자신을 존중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 많은 홍보 및 서비스 기관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문제 5
      • 4. 연구의 한계점 5
      • Ⅰ. 서 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문제 5
      • 4. 연구의 한계점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7
      • 2. 청각장애 특성 9
      • 3.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 12
      • 4.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
      • Ⅲ. 연구방법 21
      • 1. 연구의 개념적 틀 21
      • 2. 조사대상 22
      • 3. 조사도구 22
      • 4. 자료수집 27
      • 5. 자료분석 방법 28
      • Ⅳ. 조사결과 및 분석 29
      • 1. 조사대상자의 특성 29
      • 2. 정신건강수준(KGHQ) 35
      • 3.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수준 36
      • 4. 심리적 요인과 정신건강수준 37
      • 5. 사회적 요인과 정신건강수준 38
      • 6. 의사소통요인과 정신건강수준 39
      • 7.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45
      • 8.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49
      • Ⅴ. 고 찰 51
      • 1. 정신건강에 대한 논의 51
      • 2. 청각장애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 52
      • 3.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57
      • 4. 청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 58
      • Ⅵ. 결 론 58
      • 참고문헌 65
      • Abstract 69
      • 부 록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