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Expl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4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을 탐색하였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 흥미, 태도, 경험 수준이 고르게 분포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포토저널 면담과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 정보 탐색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은 115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및 12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들은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과학 정보 탐색행동 시도’를 중심현상으로 이를 설명하는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 결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의 핵심범주는 ‘과학 관련 지식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과학 정보 탐색행동 시도하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핵심범주의 속성 및 차원을 바탕으로 과학 정보 탐색행동 유형을 ‘적극 탐색형’, ‘탐색 중단형’, ‘소극 탐색형’, ‘탐색 회피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이 전개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을 탐색하였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 흥미, 태도, 경험 수준이 고르게 분포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을 탐색하였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 흥미, 태도, 경험 수준이 고르게 분포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포토저널 면담과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 정보 탐색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은 115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및 12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들은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과학 정보 탐색행동 시도’를 중심현상으로 이를 설명하는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 결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의 핵심범주는 ‘과학 관련 지식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과학 정보 탐색행동 시도하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핵심범주의 속성 및 차원을 바탕으로 과학 정보 탐색행동 유형을 ‘적극 탐색형’, ‘탐색 중단형’, ‘소극 탐색형’, ‘탐색 회피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이 전개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study analyzed the scienc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hrough photo journal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presented a balanced distribution in terms of curiosity, interest, attitudes, and level of experience in scie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derived into 115 concepts, 25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e derived categories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as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 or 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all centered on the phenomenon of ‘attempting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Second, the core categ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as identified as ‘attempting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o fill an information gap about scientific knowledge or phenomena’. In addition, based on the properties and dimensions of the core category, the types of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specified as four types: ‘active seeking type’, ‘discontinued seeking type’, ‘passive seeking type’, and ‘avoidance seeking type’.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discussed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heir behavior and exploring strategies to promote it.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study analyzed the scienc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hrough photo journal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

      This study explor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study analyzed the scienc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hrough photo journal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presented a balanced distribution in terms of curiosity, interest, attitudes, and level of experience in scie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derived into 115 concepts, 25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e derived categories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as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 or 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all centered on the phenomenon of ‘attempting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Second, the core categ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as identified as ‘attempting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o fill an information gap about scientific knowledge or phenomena’. In addition, based on the properties and dimensions of the core category, the types of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specified as four types: ‘active seeking type’, ‘discontinued seeking type’, ‘passive seeking type’, and ‘avoidance seeking type’.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discussed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heir behavior and exploring strategies to promote i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