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내 지원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지원이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 교사 38...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84015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3-19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내 지원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지원이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 교사 38...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내 지원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지원이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 교사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 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지원의 수준은 동료 교사로부터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리자로부터의 지원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육활동 수행에 있어 교수 전략에 대한 자신감은 높은 반면, 생활 지도와 학습 동기 부여에 대한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경우, 규범적 몰입과 감정적 몰입이 다소 낮지만 근속 몰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학교 내 지원은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학생으로부터의 지원이 교사효능감 향상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관리자의 지원은 교사효능감보다는 조직몰입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학생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 동료 교사 간 협력 문화 조성, 관리자의 적극적인 지원 확대 등의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support in school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uch support on teachers'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support in school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uch support on teachers'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84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nd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level of support perceived by teachers was the highest among fellow teachers, and the level of support from managers was the lowest. In carrying out educational activities, confidence in teaching strategies was high, while the efficacy in life guidance and learning motivation was relatively low.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were somewhat low, but continuous commitment was relatively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support within the scho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support from student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eacher efficacy, and it was analyzed that managerial support had a more import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rew policy proposals such as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creating a culture of cooperation among fellow teachers, and expanding active support from managers to increase teachers'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창의적 체험활동의 실제적 역할에 관한 교육과정적 고찰과 미래지향적인 역할 논의
석각을 활용한 예비 초등교사 교육에 관한 시론: 국내 교육대학교 소재 석각문(石刻文)의 현황과 활용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과학 정보 탐색행동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초등교사의 교직열정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