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칸트『판단력비판』에 나타난 아름다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1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칸트는 취미 판단의 분석을 시도한다. 취미 판단의 첫 번째 계기는 판단의 성질(Qualität) 즉 무관심성으로서의 아름다움이다. 여기에서 칸트는 『취미란 미를 판정하는 능력이다』. 취미 판단은 오직 미적 판단으로서 어떤 대상이 아름다운가 또는 아름답지 않는가를 개인적 주관의 쾌와 불쾌라는 감정에 의하여 평가되는 판단이다. 칸트는 『취미판단을 규정하는 만족은 일체의 관심을 결여하고 있다』(KU §2, 5). 이는 곧 취미판단은 무관심성(disinterestedness, Uninteresse)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취미란 일체의 관심을 떠나서 만족 또는 불만족에 의하여 대상의 표상 양식을 판정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감성적인 공통감(共通感, sensus communis aestheticus)이다. 취미판단은 단지 관조적(觀照的)이다. 즉 취미판단은 대상의 현존재에 관해서 무관심하고 오직 대상의 성질을 쾌(快) ․ 불쾌(不快)의 감정에만 결부시킨다. 만족(滿足)이란 개념에서 볼 때 우리에게 쾌락을 주는 것, 선한 것을 주는 것 그리고 아름다움을 주는 것 등인데 유독 취미(趣味)에 관한 만족은 주관적이며 자유로운 만족, 그리고 실리적 혹은 효용적 만족이 아니라, 관조적인 만족인 것이다. 가령 쾌적(快適)의 만족은 동물에게도 있다. 그리고 선(善)의 만족은 이성적인 면에서만 개념화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선(善)의 개념은 이성적 활동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도덕적 행위를 입법하고 실천하는 존재는 사람뿐이다. 왜냐하면 취미(趣味)는 오성이나 이성적 작용이 아닌 순수 감정적 기능의 매개로 이루어진 것이면서 a priori한 원리를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칸트의 『무관심적 만족감(無關心的 滿足感)』은 쾌적(快適)함에 관한 판단이나 선(善)함에 관한 판단과 달리, 미(美)와 숭고(崇高)에 대한 미적 판단을 규정하는 만족감은 대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다. 대상이 아름답다고 말하고, 내가 취미(趣味, Geschmack)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나로 하여금 대상의 현존(現存, Existenz)에 좌우되도록 하는 요인이 아니라, 내가 자 자신의 내부에 있어서 이러한 표상(表象, Vorstellung)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는 의미라고 함은 아주 명확한 것이다. 미에 관한 판단에 조금이라도 관심(Interesse)이 섞여 있으면, 그 판단은 매우 편차적이며 또 순수한 취미판단이 아니라고 함은 누구나 승인하지 않으면 안된다.(KU § 2, 6) 칸트는 『관심(關心)은 대상의 현존의 표상과 결합된 만족이다』.(KU §2, 59).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그것이 다른 것을 위해서나 그 자체로서나 좋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며, 또는 감각에 즐거운 것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것은 대상의 현존에서 우리가 어떤 만족이나 이익을 원하는 욕구와 관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그것은 어떤 대상이 나에게 유용하고 이익이 되기 때문에 가지는 마음의 상태 바로 경향심이다. 그러한 경향심(傾向心)은 대상에 대한 이해관계를 생각하게 하므로 판단을 그르치게 한다. 따라서 대상의 현존과 관계된 관심을 통해 얻어진 만족은 객관적일 수 없는 만족인 것이다.
      번역하기

      칸트는 취미 판단의 분석을 시도한다. 취미 판단의 첫 번째 계기는 판단의 성질(Qualität) 즉 무관심성으로서의 아름다움이다. 여기에서 칸트는 『취미란 미를 판정하는 능력이다』. 취미 판...

      칸트는 취미 판단의 분석을 시도한다. 취미 판단의 첫 번째 계기는 판단의 성질(Qualität) 즉 무관심성으로서의 아름다움이다. 여기에서 칸트는 『취미란 미를 판정하는 능력이다』. 취미 판단은 오직 미적 판단으로서 어떤 대상이 아름다운가 또는 아름답지 않는가를 개인적 주관의 쾌와 불쾌라는 감정에 의하여 평가되는 판단이다. 칸트는 『취미판단을 규정하는 만족은 일체의 관심을 결여하고 있다』(KU §2, 5). 이는 곧 취미판단은 무관심성(disinterestedness, Uninteresse)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취미란 일체의 관심을 떠나서 만족 또는 불만족에 의하여 대상의 표상 양식을 판정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감성적인 공통감(共通感, sensus communis aestheticus)이다. 취미판단은 단지 관조적(觀照的)이다. 즉 취미판단은 대상의 현존재에 관해서 무관심하고 오직 대상의 성질을 쾌(快) ․ 불쾌(不快)의 감정에만 결부시킨다. 만족(滿足)이란 개념에서 볼 때 우리에게 쾌락을 주는 것, 선한 것을 주는 것 그리고 아름다움을 주는 것 등인데 유독 취미(趣味)에 관한 만족은 주관적이며 자유로운 만족, 그리고 실리적 혹은 효용적 만족이 아니라, 관조적인 만족인 것이다. 가령 쾌적(快適)의 만족은 동물에게도 있다. 그리고 선(善)의 만족은 이성적인 면에서만 개념화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선(善)의 개념은 이성적 활동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도덕적 행위를 입법하고 실천하는 존재는 사람뿐이다. 왜냐하면 취미(趣味)는 오성이나 이성적 작용이 아닌 순수 감정적 기능의 매개로 이루어진 것이면서 a priori한 원리를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칸트의 『무관심적 만족감(無關心的 滿足感)』은 쾌적(快適)함에 관한 판단이나 선(善)함에 관한 판단과 달리, 미(美)와 숭고(崇高)에 대한 미적 판단을 규정하는 만족감은 대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다. 대상이 아름답다고 말하고, 내가 취미(趣味, Geschmack)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나로 하여금 대상의 현존(現存, Existenz)에 좌우되도록 하는 요인이 아니라, 내가 자 자신의 내부에 있어서 이러한 표상(表象, Vorstellung)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는 의미라고 함은 아주 명확한 것이다. 미에 관한 판단에 조금이라도 관심(Interesse)이 섞여 있으면, 그 판단은 매우 편차적이며 또 순수한 취미판단이 아니라고 함은 누구나 승인하지 않으면 안된다.(KU § 2, 6) 칸트는 『관심(關心)은 대상의 현존의 표상과 결합된 만족이다』.(KU §2, 59).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그것이 다른 것을 위해서나 그 자체로서나 좋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며, 또는 감각에 즐거운 것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것은 대상의 현존에서 우리가 어떤 만족이나 이익을 원하는 욕구와 관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그것은 어떤 대상이 나에게 유용하고 이익이 되기 때문에 가지는 마음의 상태 바로 경향심이다. 그러한 경향심(傾向心)은 대상에 대한 이해관계를 생각하게 하므로 판단을 그르치게 한다. 따라서 대상의 현존과 관계된 관심을 통해 얻어진 만족은 객관적일 수 없는 만족인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hat aesthetics allows for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ational reasoning (noeta) and sensibility (aistheta) Baumgarten incorporates emotional perceptions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domain of logic in the name of aesthetics. Aesthetics, the study of pure reason, is thought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cy of logic. Aesthetics is also a discipline that provides a basis for beauty and art based on esthetics. Can we assert objectivity of universal validity like objective truth on the judgement in which objects are beautiful? In relations to this subject, Kant defines the word “hobby” as the ability to judge beauty with a restriction in relation of antimony.
      번역하기

      This thesis is that aesthetics allows for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ational reasoning (noeta) and sensibility (aistheta) Baumgarten incorporates emotional perceptions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domain of logic in the name of aesthetics. Aesthet...

      This thesis is that aesthetics allows for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ational reasoning (noeta) and sensibility (aistheta) Baumgarten incorporates emotional perceptions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domain of logic in the name of aesthetics. Aesthetics, the study of pure reason, is thought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cy of logic. Aesthetics is also a discipline that provides a basis for beauty and art based on esthetics. Can we assert objectivity of universal validity like objective truth on the judgement in which objects are beautiful? In relations to this subject, Kant defines the word “hobby” as the ability to judge beauty with a restriction in relation of antimon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아름다움에 대한 분석
      • 가. 성질ㆍ분량으로서의 아름다움
      • 나. 무관심성으로서의 아름다움
      • Abstract
      • 1. 서론
      • 2. 아름다움에 대한 분석
      • 가. 성질ㆍ분량으로서의 아름다움
      • 나. 무관심성으로서의 아름다움
      • 다. 보편성으로서의 아름다움
      • 라. 관계ㆍ양상으로서의 아름다움
      • 마. 합목적성으로서의 아름다움
      • 3. 결론
      • 참고문헌
      • 요약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F. Lyotard,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1992

      2 박선목, "칸트철학에로 가는 길" 부산대학교 출판부 1987

      3 김용정, "칸트철학 · 자연과 자유의 통일" 서광사 1996

      4 박선목, "칸트와 형이상학" 학문사 1983

      5 김상봉, "칸트와 숭고의 개념, 칸트와 미학" 한국칸트학회, 민음사 3 : 1997

      6 김광명, "칸트 판단력비판 연구" 철학과 현실사 2006

      7 공병혜, "칸트 미학에서 취미론과 예술론의 의미, 칸트와 미학" 한국칸트학회, 민음사 3 : 1997

      8 공병혜, "칸트 · 판단력비판" 울산대출판부 1999

      9 박선목, "취미판단의 범주에 관한 연구" 28 : 1985

      10 노영덕, "처음 만나는 미학" 렌덤 하우스 2004

      1 J. F. Lyotard,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1992

      2 박선목, "칸트철학에로 가는 길" 부산대학교 출판부 1987

      3 김용정, "칸트철학 · 자연과 자유의 통일" 서광사 1996

      4 박선목, "칸트와 형이상학" 학문사 1983

      5 김상봉, "칸트와 숭고의 개념, 칸트와 미학" 한국칸트학회, 민음사 3 : 1997

      6 김광명, "칸트 판단력비판 연구" 철학과 현실사 2006

      7 공병혜, "칸트 미학에서 취미론과 예술론의 의미, 칸트와 미학" 한국칸트학회, 민음사 3 : 1997

      8 공병혜, "칸트 · 판단력비판" 울산대출판부 1999

      9 박선목, "취미판단의 범주에 관한 연구" 28 : 1985

      10 노영덕, "처음 만나는 미학" 렌덤 하우스 2004

      11 게트만 지페르트, "미학입문" 철학과 현실사 1999

      12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역사 – 미학대계 제1권"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3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2

      14 Stolniz, J., "미학과 비평철학" 1991

      15 김상봉, "롱기누스와 숭고의 개념" 한국서양고전학회 9 : 1995

      16 박성수, "「미적 판단력비판」에 관한 연구 : 사회철학적 합리성과 관련하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17 F. Schiller, "Über das Pathetische" 525-,

      18 J.-F. Lyotard, "le Postmoderne expliqué aux enfants" 30-31,

      19 S. Monk, "The Sublime. A Study of Critical Theories in ⅩⅧ-Century England"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9-, 1960

      20 Francis Ⅹ. J. Coleman, "The Harmony of Reason A Study in Kant’s Aesthetic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74

      21 F. Schiller, "Sämtliche Werke Bd. 5" 1993

      22 S. Möbus, "Schopenhauer für Anfänger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1998

      23 "R. Hohmann, a. a. O."

      24 Kant, Immanuel, "Prolegomena zu einer Künftigen Metaphysik, die als Wissenschaft wrid auftreten können" 1783

      25 Aristotle, "Poëtica" 24-, 1449

      26 Platon, "Phaidros" 245-,

      27 Kant, Immanuel, "Observations on the Feeling of the Beautiful and Sublim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0

      28 F. Schillers Werke, "Nationalausgabe" 1943

      29 Longinus, "Longinus on the Sublime"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30 J. F. Lyotard, "Lessons on the Analytic of the Sublime" Stanford Univ. Press 1994

      31 J. F. Lyotard, "La Condition Postmoderne" Minuit 1992

      32 Kant, Immanuel, "Kritik der reinen Vernunf" Felix Meiner Verlag 1962

      33 Kant, Immanuel, "Kritik der prakitischen Vernunft" Felix Meiner Verlag 1970

      34 Kant, Immanuel, "Kritik der Urteilskraft" 1965

      35 May A. McCloskey, "Kant’s Aesthetic" Macmillan 1988

      36 Kant, Immanuel, "Kants gesammelte Schriften"

      37 Paul Guyer,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35 : 1982

      38 김용민, "KANT판단력비판의 연구" 교우사 1997

      39 Platon, "Ion" 533-,

      40 Paul Guyer, "Immanuel Kant Ⅳ" 1992

      41 Robert L. Zimmerman, "Immanuel Kant Ⅳ" 1992

      42 R. K. Elliot, "Immanuel Kant Ⅳ" 1992

      43 Kenne F. Rogerson, "Immanuel Kant Ⅳ" 1992

      44 Kant, Immanuel, "Erste Einleitung in die Kritik der Urteilskraft nach der Handschrift" 1970

      45 J. Addison, "Eighteenth-Century Critical Essays" Cornell Univ. Press 1712

      46 Nancy, J. L., "Du Sublime" 1988

      47 Carsten Zelle, "Die doppelte Ästhetik der Moderne: Revisionen des Schönen von Boileau bis Nietzsche" Stuttgart/ Weimar 1995

      48 Longinus, "De sublimitate ⅩⅩⅡ1"

      49 H. Bahr, "Das gefesselte Engagement. Zur Ideologie der kontemplativen Ästhetik Schopenhauer" 1970

      50 J. F. Lyotard, "Das Inhumane : Plaudereien über die zeit" Passagen 1989

      51 Kant, Immanuel, "Beobachtungen über des Schönen und Erhabenen" 1764

      52 Kant, Immanuel, "Beobachtungen über des Gefühl des schönen und Erhabenen" 194-,

      53 Kant, Immanuel,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ght" kademie-Ausgabe Ⅶ 1998

      54 E. Burke,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the beautiful" Routledge & Kegan Paul 19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