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자의 관계에서 죽음준비도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즉,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079192
대전 :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0
2010
한국어
대전
70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자의 관계에서 죽음준비도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즉,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자의 관계에서 죽음준비도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즉,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계룡시에 거주하면서 노인복지관, 경로당과 같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원에 의한 1:1 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남성노인, 배우자가 없는 노인, 자아통합감, 죽음준비도가 노년기의 죽음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노인일수록, 배우자가 없는 노인일수록, 자아통합감이 낮을수록, 죽음준비도가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죽음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 항을 만들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 자아통합감과 조절변수 죽음준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 항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죽음준비도가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커진다. 즉, 죽음준비도가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죽음준비도의 조절효과를 좀 더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죽음준비도의 평균을 중심으로, ±1 S.D 3집단으로 구분하여 회귀식을 구하였는데, 죽음준비도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죽음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미술치료, 음악치료, 신체활동 등의 프로그램 강화를 통하여 자아통합감을 높이고, 지난 삶 회상하기, 장례유형별 견학하기, 영정 사진찍기, 유언 작성하기 등의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죽음준비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