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타 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72302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The) Effect of Practicing Hatha Yoga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Electroencephalogram Patterns of Middle-aged Women

      • 형태사항

        ⅳ, 7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계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원재
        부록: p. 67-73
        참고문헌: p. 54-66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weeks of Hatha yoga practice on the respons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and electroencephalogram(EEG) patterns for middle-aged women. 28 middle-aged women without previous yoga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subjects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yoga and control groups. The yoga group practiced hatha yoga for 8 weeks, 5 times per a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From the subjects in both groups, the ANS response and EEG patterns were measured in three test sessions, prior to the experiment(pre-test),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2 groups x 3 test sessions) with repeated measures of the last factor.
      Analysis of the ANS response revealed that the low and high frequency activation of the yoga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in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4 weeks(p<.05). Heart rate variability of the yoga group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8 weeks compared to pre-test and 4 weeks, while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4 weeks and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p<.05). The control group did not display any changes in the ANS response across the test session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level of the ANS by decreasing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EEG patterns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 of yoga practice, the alpha power of F4-F3 be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4 weeks(p<.05) intervals. The alpha power of F8-F7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p<.05).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display any changes in the EEG patterns across the test session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activate positive emotion by increasing the log R-log L values of the middle and lateral frontal lobes in both hemispher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facilitate the recovery from mental fatigu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ing and learning processes. Practicing hatha yoga not only has an effect on the correction of body posture and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but also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heart by stabilizing breath control. Therefore, hatha yoga can be an effective exercise intervention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mental and physical stabilities in middle-aged wom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weeks of Hatha yoga practice on the respons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and electroencephalogram(EEG) patterns for middle-aged women. 28 middle-aged women without previous yoga e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weeks of Hatha yoga practice on the respons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and electroencephalogram(EEG) patterns for middle-aged women. 28 middle-aged women without previous yoga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subjects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yoga and control groups. The yoga group practiced hatha yoga for 8 weeks, 5 times per a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From the subjects in both groups, the ANS response and EEG patterns were measured in three test sessions, prior to the experiment(pre-test),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2 groups x 3 test sessions) with repeated measures of the last factor.
      Analysis of the ANS response revealed that the low and high frequency activation of the yoga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in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4 weeks(p<.05). Heart rate variability of the yoga group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8 weeks compared to pre-test and 4 weeks, while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4 weeks and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p<.05). The control group did not display any changes in the ANS response across the test session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level of the ANS by decreasing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EEG patterns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 of yoga practice, the alpha power of F4-F3 be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4 weeks(p<.05) intervals. The alpha power of F8-F7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weeks compared to the pre-test(p<.05).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display any changes in the EEG patterns across the test session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activate positive emotion by increasing the log R-log L values of the middle and lateral frontal lobes in both hemispher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acticing hatha yoga may facilitate the recovery from mental fatigu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ing and learning processes. Practicing hatha yoga not only has an effect on the correction of body posture and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but also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heart by stabilizing breath control. Therefore, hatha yoga can be an effective exercise intervention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mental and physical stabilities in middle-age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8주 간의 하타 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요가 수련 경험이 없는 28명의 중년여성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요가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요가그룹은 8주간 주 5회씩 하타 요가를 수련하였으며, 통제그룹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다. 두 그룹에 배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처치전, 처치 4주째, 그리고 처치 8주 후 3회에 걸쳐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변수들에 대해 두 번째 변수가 반복 측정된 그룹(2) x 측정시점(3)의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율신경계 반응에 대한 분석결과, 요가그룹의 저주파 활성도는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5), 고주파 활성도는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요가그룹의 심박변이도 역시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5), 스트레스 저항도는 처치전에 비해 처치 4주째 및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통제그룹은 자율신경계 반응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이러한 결과는 하타 요가의 수련이 교감신경의 긴장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부교감신경의 긴장도는 증가시킴으로써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뇌파패턴에 대한 분석에서도 요가 수련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요가그룹의 F4-F3 α 파워 값은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요가그룹의 F8-F7 α 파워 값은 처치전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측정시점들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반면 통제그룹의 뇌파패턴은 측정시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하타 요가의 수련이 좌우 전두엽엽의 중전두엽와 외측전두엽의 log R-log L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 정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하타 요가 수련이 정신적 피로의 회복을 촉진시키고 업무나 학습능률의 증진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타 요가의 수련은 체형교정과 체중조절에서 효과를 지님과 동시에 호흡의 안정화를 통해 심장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타 요가는 중년여성의 건강을 증진하여 심리적 및 신체적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8주 간의 하타 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요가 수련 경험이 없는 28명의 중년여성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무...

      본 연구의 목적은 8주 간의 하타 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요가 수련 경험이 없는 28명의 중년여성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요가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요가그룹은 8주간 주 5회씩 하타 요가를 수련하였으며, 통제그룹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다. 두 그룹에 배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처치전, 처치 4주째, 그리고 처치 8주 후 3회에 걸쳐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변수들에 대해 두 번째 변수가 반복 측정된 그룹(2) x 측정시점(3)의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율신경계 반응에 대한 분석결과, 요가그룹의 저주파 활성도는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5), 고주파 활성도는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요가그룹의 심박변이도 역시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5), 스트레스 저항도는 처치전에 비해 처치 4주째 및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통제그룹은 자율신경계 반응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이러한 결과는 하타 요가의 수련이 교감신경의 긴장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부교감신경의 긴장도는 증가시킴으로써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뇌파패턴에 대한 분석에서도 요가 수련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요가그룹의 F4-F3 α 파워 값은 처치전과 처치 4주째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요가그룹의 F8-F7 α 파워 값은 처치전에 비해 처치 8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측정시점들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반면 통제그룹의 뇌파패턴은 측정시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하타 요가의 수련이 좌우 전두엽엽의 중전두엽와 외측전두엽의 log R-log L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 정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하타 요가 수련이 정신적 피로의 회복을 촉진시키고 업무나 학습능률의 증진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타 요가의 수련은 체형교정과 체중조절에서 효과를 지님과 동시에 호흡의 안정화를 통해 심장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타 요가는 중년여성의 건강을 증진하여 심리적 및 신체적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의 가설 4
      • 4. 연구의 제한점 5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의 가설 4
      • 4. 연구의 제한점 5
      • II. 이론적 배경 6
      • 1. 요가 6
      • 1) 요가 수련과 인체생리적 변화 7
      • 2) 요가의 종류 8
      • 3) 요가 수련의 8단계 11
      • 4) 호흡 및 명상 13
      • 2. 요가 수련과 자율신경계 15
      • 1) 심박변이도 16
      • 2) 자율신경과 심박변이도의 상관관계 연구 17
      • 3) 심박변이도 분석 19
      • 3. 요가 수련과 뇌파 변화 21
      • Ⅲ. 연구방법 26
      • 1. 연구대상 26
      • 2. 연구기간 26
      • 3. 실험설계 27
      • 4. 하타 요가 수련 프로그램 구성 28
      • 5.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 31
      • 1) 자율신경계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 31
      • 2) 뇌파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 31
      • 6. 통계처리 34
      • Ⅳ. 결과 35
      • 1. 자율신경계 분석 35
      • 1) 하타 요가 수련에 따른 저주파 활성도(LF) 변화 35
      • 2) 하타 요가 수련에 따른 고주파 활성도(HF) 변화 36
      • 3) 하타 요가 수련에 따른 심박변이도(HRV) 38
      • 4) 하타 요가 수련에 따른 스트레스 저항도(SDNN) 변화 39
      • 2. 뇌파 분석 41
      • 1) 하타 요가 수련에 따른 EEG 대뇌반구 α 파워 F4-F3 변화 41
      • 2) 하타 요가 수련에 따른 EEG 대뇌반구 α 파워 F8-F7 변화 42
      • Ⅴ. 논의 44
      • 1. 하타 요가 수련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44
      • 2. 하타 요가 수련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47
      • Ⅵ. 결론 52
      • 1. 하타 요가 수련과 자율신경계 52
      • 2. 하타 요가 수련과 뇌파 52
      • 참고문헌 54
      • 부록-1 67
      • 부록-2 69
      • 부록-3 73
      • 영문초록 74
      • 국문초록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