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전통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5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와 시료간의 미생물학적 차이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된장에서 종 추...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와 시료간의 미생물학적 차이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된장에서 종 추정치와 풍부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 수준에서 Firmicutes가 된장에서 97.02%, 청국장에서 99.67%를 차지하여 공통적으로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속 수준에서는 된장과 청국장에서 Bacillus가 각각 71.70%, 59.87%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PERM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된장과 청국장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biomarker를 분석하기 위해 LEfSe분석을 수행한 결과 된장에서 Bacillus subtilis, Tetragenococcus halophilus, Clostridium arbusti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였으며, 청국장에서는 Bacillus thermoamylovorans,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sakei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콩을 주원료로 하는 우리나라 대표 전통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시료별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 분포를 정의하고 전통장류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과 미생물 분포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profile the microbial composition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paste made from whole soybeans, Doenjang and Cheonggukjang, and compare their taxonomic differences, we analyzed the V3-V4 region of 16S rRNA of naturally fermented foods by using n...

      To profile the microbial composition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paste made from whole soybeans, Doenjang and Cheonggukjang, and compare their taxonomic differences, we analyzed the V3-V4 region of 16S rRNA of naturally fermented foods by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α-Diversity results showed that values indicating bacterial community abundances (OTUs) and richness (ACE, Chao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1) in Doenjang and Cheonggukjang. Firmicutes was the most common phylum in both groups, representing 97.02% and 99.67% in the Doenjang and Cheonggukjang groups, respectively. Bacillus was the most dominant genus, accounting for 71.70% and 59.87% in both groups. Linear discriminant (LDA) effect size (LEfSe) analysis was performed to reveal the significant ranking of abundant taxa in different fermented foods. A size-effect threshold of 2.0 on the logarithmic LDA score was used for discriminative functional biomarkers. On the species level, Bacillus subtilis, Tetragenococcus halophilus, and Clostridium arbusti were significantly more abundant in Doenjang than in Cheonggukjang, whereas Bacillus thermoamylovorans,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sakei were significantly more abundant in Cheonggukjang than in Doenjang.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PERMANOVA) showed that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microbial cluster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at the confidence level of p=0.001.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basic research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ermented foods and the distribu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나리, "콩 종류에 따른 청국장의 발효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2 (22): 723-732, 2013

      2 오현주,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503-1510, 2007

      3 조성호, "제주・호남권 전통된장과 고추장의 미생물 군집구조의 분석" 한국미생물학회 53 (53): 39-48, 2017

      4 권선화, "전통 장류의 체중감소 및 지질저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94-1999, 2006

      5 구경형, "전통 된장의 숙성 기간에 따른 감각・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720-728, 2014

      6 나혜진, "장류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 한국식품과학회 53 (53): 183-199, 2020

      7 이승희, "장류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 함량 조사"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65-570, 2013

      8 홍광원, "된장, 청국장 및 미소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119-1123, 2005

      9 임선영,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936-940, 2004

      10 Maziarz, M., "Using standard microbiome reference groups to simplify beta-diversity analyses and facilitate independent validation" 34 : 3249-3257, 2018

      1 이나리, "콩 종류에 따른 청국장의 발효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2 (22): 723-732, 2013

      2 오현주,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503-1510, 2007

      3 조성호, "제주・호남권 전통된장과 고추장의 미생물 군집구조의 분석" 한국미생물학회 53 (53): 39-48, 2017

      4 권선화, "전통 장류의 체중감소 및 지질저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94-1999, 2006

      5 구경형, "전통 된장의 숙성 기간에 따른 감각・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720-728, 2014

      6 나혜진, "장류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 한국식품과학회 53 (53): 183-199, 2020

      7 이승희, "장류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 함량 조사"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65-570, 2013

      8 홍광원, "된장, 청국장 및 미소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119-1123, 2005

      9 임선영,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936-940, 2004

      10 Maziarz, M., "Using standard microbiome reference groups to simplify beta-diversity analyses and facilitate independent validation" 34 : 3249-3257, 2018

      11 김용상,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전통된장 제조과정 중 세균군집구조의 분석" 한국미생물학회 47 (47): 275-280, 2011

      12 Segata, N., "Metagenomic biomarker discovery and explanation" 12 : R60-, 2011

      13 Ha, S. M., "Introducing EzBioCloud : A taxonomically united database of 16S rRNA and whole genome assemblies" 67 : 1613-1617, 2017

      14 Xia, Y., "Hypothesis testing and statistical analysis of microbiome" 4 : 138-148, 2017

      15 홍성욱, "DGGE 방법과 배양법을 이용한 강원지역 전통 발효 청국장에서 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15-520, 2013

      16 Nam, Y. D., "Bacterial diversity of cheongguk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analyzed by barcoded pyrosequencing" 28 : 135-142, 2012

      17 Illumina, "16S metagenomic sequencing library preparation protocol: Preparing 16S ribosomal RNA gene amplicons for the Illumina MiSeq system. Part no. 15044223 Rev B"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