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주요 언론기사 분석연구 = An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9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se newspaper articles on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hich were reported in 11 national newspap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lassified the newspaper articles which were reported from January 1st of 1995 to July 31 of 2012 as follows: those from 1995 to 2003, those from 2004 to 2007, and those reported from 2008.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e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www.kinds.or.kr and supplemen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retrieval words used were: after school, after-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after-schoo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programs from 1995 to 2003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learning and care support, in-school extracurricular education, speciality and aptitude training, low efficacy,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responsibility, protection of neglected students, and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ose from 2004 to 2007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hole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proving diverse arts and sports activity programs at after-school academies, resistance to the re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by academy businesses, providing diverse educational opportunities, resolution of educational gaps and the bi-polarization of society. Those reported from 2008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legislation of after-school businesses required, realization of economic democracy through discouraging competitive education and reinforcing educational welfare, activation of diverse public education programs, the deprivation of selection rights from specialized education due to course-work-oriented education, expansion of programs, and providing community adolescent centers and cultural centers. The study speculated on future directions in activating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discussed the results of each exercise and suggested further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se newspaper articles on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hich were reported in 11 national newspap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lassified the newspaper articles which were reporte...

      This study aimed to analyse newspaper articles on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hich were reported in 11 national newspap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lassified the newspaper articles which were reported from January 1st of 1995 to July 31 of 2012 as follows: those from 1995 to 2003, those from 2004 to 2007, and those reported from 2008.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e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www.kinds.or.kr and supplemen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retrieval words used were: after school, after-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after-schoo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programs from 1995 to 2003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learning and care support, in-school extracurricular education, speciality and aptitude training, low efficacy,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responsibility, protection of neglected students, and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ose from 2004 to 2007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hole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proving diverse arts and sports activity programs at after-school academies, resistance to the re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by academy businesses, providing diverse educational opportunities, resolution of educational gaps and the bi-polarization of society. Those reported from 2008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legislation of after-school businesses required, realization of economic democracy through discouraging competitive education and reinforcing educational welfare, activation of diverse public education programs, the deprivation of selection rights from specialized education due to course-work-oriented education, expansion of programs, and providing community adolescent centers and cultural centers. The study speculated on future directions in activating after-school programs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discussed the results of each exercise and suggested further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11개 언론에 보도된 주요 언론기사를 분석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1995년 1월 1일부터 2013년 7월 31일까지 보도된 주요 언론기사를 1995년~2003년, 2004년~2007년, 2008년 이후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분석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에 관해 알아보았다. 언론기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카인즈(www.kinds.or.kr)를 통해 검색해서 보완했으며, 기사검색어는 방과후 학교, 방과후 교육활동, 방과후 활동이다. 분석연구 결과 1995년~2003년에는 방과후 아동지도교실의 학습․돌봄 지원, 교내과외, 특기․적성교육 실시 및 실효성 저조, 지역공동체 연계와 책무성, 방치학생 보호, 사교육비 경감 방안이 특징이다. 2004년~2007년의 특징은 참여정부의 핵심정책인 방과후 학교 전면실시, 방과후 아카데미를 통한 다양한 예체능 프로그램 제공, 학원업계의 초․중등교육법 개정 반발,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및 교육격차․사회 양극화 해소 역할 등이다. 2008년 이후의 특징은 방과후 학교 사업의 법제화 시급, 경쟁 위주의 교육완화 및 교육복지 강화를 통한 경제민주화 실현, 다양한 공교육 활성화 시책, 교과학습 위주로 다양한 특성화교육 선택권 박탈, 프로그램 확대, 지역 청소년 쉼터․문화의 장 제공 등이다. 연구자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연구문제별로 연구 결과를 논의․요약했으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11개 언론에 보도된 주요 언론기사를 분석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1995년 1월 1일부터 2013년 7월 31일까지...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11개 언론에 보도된 주요 언론기사를 분석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1995년 1월 1일부터 2013년 7월 31일까지 보도된 주요 언론기사를 1995년~2003년, 2004년~2007년, 2008년 이후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분석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에 관해 알아보았다. 언론기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카인즈(www.kinds.or.kr)를 통해 검색해서 보완했으며, 기사검색어는 방과후 학교, 방과후 교육활동, 방과후 활동이다. 분석연구 결과 1995년~2003년에는 방과후 아동지도교실의 학습․돌봄 지원, 교내과외, 특기․적성교육 실시 및 실효성 저조, 지역공동체 연계와 책무성, 방치학생 보호, 사교육비 경감 방안이 특징이다. 2004년~2007년의 특징은 참여정부의 핵심정책인 방과후 학교 전면실시, 방과후 아카데미를 통한 다양한 예체능 프로그램 제공, 학원업계의 초․중등교육법 개정 반발,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및 교육격차․사회 양극화 해소 역할 등이다. 2008년 이후의 특징은 방과후 학교 사업의 법제화 시급, 경쟁 위주의 교육완화 및 교육복지 강화를 통한 경제민주화 실현, 다양한 공교육 활성화 시책, 교과학습 위주로 다양한 특성화교육 선택권 박탈, 프로그램 확대, 지역 청소년 쉼터․문화의 장 제공 등이다. 연구자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후 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연구문제별로 연구 결과를 논의․요약했으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보"

      2 최태호, "한국의 '방과후교육' 정책 : 정책변동의 관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3 김윤복, "한국신문의 장애인관련보도 분석"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4 "한겨레신문"

      5 정미리, "프랑스․독일 방과후 프로그램" 10 : 2001

      6 권기은, "특수학급의 방과후 학교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신혜련, "특수학급아동의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8 이영예, "특수학급 학생의 방과 후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과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9 김희규,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장애학생의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93-114, 2007

      10 조경윤, "특수학급 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 지도 프로그램의 욕구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1 "한국일보"

      2 최태호, "한국의 '방과후교육' 정책 : 정책변동의 관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3 김윤복, "한국신문의 장애인관련보도 분석"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4 "한겨레신문"

      5 정미리, "프랑스․독일 방과후 프로그램" 10 : 2001

      6 권기은, "특수학급의 방과후 학교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신혜련, "특수학급아동의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8 이영예, "특수학급 학생의 방과 후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과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9 김희규,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장애학생의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93-114, 2007

      10 조경윤, "특수학급 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 지도 프로그램의 욕구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11 김명순, "특수학급 아동 대상 방과후학교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요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박미경, "특수학급 방과후강사의 직무만족도와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13 임금섭, "특수학급 방과후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윤지환, "특수학급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운영실태 조사연구 : 부산지역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박경희,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학부모의 중학교 방과 후 교육활동에 관한 인식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권정미, "특수학교 초등부의 방과후 교육활동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7 이수혜, "특수학교 중등부의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이상미, "특수학교 중등부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강숙경, "특수학교 재학 중인 장애아의 방과후 지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20 류성,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표말란, "특수학교 방과후 학교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49-274, 2009

      22 노성향, "특수학교 방과후 아동지도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23 "카인즈"

      24 이언정,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와 요구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5 진보람,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학부모 인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6 안언희,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 실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7 편도식,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8 맹영임, "청소년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 운영 모델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29 김양화, "지적장애학생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학부모의 인식과 개선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9-132, 2012

      30 김양화, "지적장애학생 방과후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31 "중앙일보"

      32 김영철, "중·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방과 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3 김수동,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따른 방과후학교 운영"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51-82, 2011

      34 이애경, "정신지체아동 방과후 지도 프로그램에 관한 어머니의 욕구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35 정가옥,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방과후 학교 운영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6 김정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7 김기태, "장애인을 보는 미디어, 장애인이 보는 미디어" 한국전파진흥원 2009

      38 김정숙, "장애아동의 방과 후 지도 프로그램 이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해지역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9 강말임, "장애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40 김영남, "장애아동 방과 후 지도에 대한 프로그램 발전 방안 연구 : 학부모의 만족도조사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1 이선순, "장애 아동의 방과후 지도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특수학급 장애 아동 어머니의 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42 한경석, "인터넷신문과 종이신문" 중앙 M & B 1999

      43 김주옥, "유아특수학교 방과 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4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1995

      45 "세계일보"

      46 조수영, "성공적인 방과후학교 운영 특성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7 "서울신문"

      48 김홍원, "방과후학교의 성격 분석 및 성과 지표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49 한승희, "방과후학교: 지역사회를 넘어 학습사회로" 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06

      50 김경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가방안"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2007

      51 김현철, "방과후학교 및 EBS 수능방송의 정책 효과 분석" 교육인적자원부 2008

      52 설진화, "방과후 학교에 대한 지적장애아동 어머니들의 경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3) : 57-77, 2010

      53 이종암,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54 정귀순,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219-240, 2007

      55 김문선, "방과후 정신지체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56 김양화, "방과후 교육 국제적 동향 고찰: 독일,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43-365, 2013

      57 이경옥, "방과 후 활동이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8 이범진,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67-181, 2007

      59 김민호, "미국의 방과후 활동과 시사점"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3-27, 2012

      60 "문화일보"

      61 "동아일보"

      62 정기섭, "독일의 방과후 교육활동" 11 (11): 131-156, 2001

      63 김연석, "누구나 방과후 학교에서 최고의 다양한 교육을" 136 : 24-31, 2006

      64 신명희, "농산어촌 방과후학교에 대한 참여자 인식 조사연구 : 충북 음성군 초·중학교 교사와 학부모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

      65 김홍원, "기초학력 신장 및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방과후학교 운영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8

      66 "국민일보"

      6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에 대한 국민여론과 정책의 방향: KEDI POLL 조사 결과" 2012

      68 "경향신문"

      69 Fisman, S., "The handicapped child psychological effect of parental, marital, and sibling relationships" Pa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n 1991

      70 Cherlin, A., "Public and Private families: A Reader" MacGraw Hill 2001

      71 Schleien, S. J., "Life long leisure skills and lifestyle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rookes 1995

      72 "KBS"

      73 Tebes, J., "Impact of a positive youth development program in urban after-school settings on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substanceuse" 8 (8): 1-19, 2007

      74 Gottfredson, D., "Do after school programs reducede linquency?" 5 (5): 252-266, 2004

      75 Mason, M. J., "Culturally-based after-school arts programming forlow-income urban children : Adaptive and preventive effects" 22 (22): 133-145, 2001

      76 Little, P. M. D.,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21st century: Their potential and what it takes to achive it" Harvard Family Research Project 2008

      77 Shumow, "Academic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ERIC Digest No. 458010"

      78 교육과학기술부, "2012학년도 특수교육 운영 계획" 2012

      79 교육과학기술부, "2012학년도 방과후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2

      80 교육과학기술부, "2012 특수교육통계" 2012

      81 교육과학기술부, "2012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2

      82 교육과학기술부, "2011학년도 방과후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1

      83 교육인적자원부, "2006학년도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